'철학/가치론연습'에 해당되는 글 27건

  1. 2008.06.27 국제연합 : 세계의회인가, 제국주의의 도구인가?
  2. 2008.06.27 다극화되어가는 세계의 발생
  3. 2008.06.12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_ 가치론 연습
  4. 2008.06.03 시리아나(2005)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5. 2008.06.02 Dogme 95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6. 2008.05.21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2.10~1956.8.14]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7. 2008.05.21 지가 베르토프 Dziga Vertov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8. 2008.05.21 세르게이에이젠슈타인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9. 2008.05.18 마야데런 <오후의 올가미>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10. 2008.05.14 신즉물주의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국제연합 : 세계의회인가, 제국주의의 도구인가?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27. 12:58

United Nations: ’World Parliament’ or Tool of Imperialism?, by Robin Clapp 
국제 연합 : ‘세계 의회’ 인가 제국주의의 도구인가?, by Robin Clapp
Chinaworker, Thu, 12 Jul 2007.

간단요약============================================================================================
이글은 현재의 국제연합, 즉 UN이 세계의 의회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가? 아니면, 미국이라는 제국주의국가의 도구로서만 기능하고 있는 가를 다양한 사례와 논증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한마디로 UN은 세계의회, 세계평화라는 이름으로 전세계를 기만하고 있으며, 미국을 도와 전 세계의 제국주의를 꿈꾸는 쓰레기같은 것이다.
====================================================================================================

[Today’s United Nations boasts 192 member states, an annual budget of $4.19 billion. Since 1989 China has deployed over 7,000 troops and policemen to UN ’peace-keeping’ missions – from the Congo to Haiti.]

[오늘날 국제 연합은 192개의 동맹국, 41억 9000만 달러의 연간 예산을 자랑한다. 1989 이래로 중국은 국제 연합 '평화유지' 사절단에  7,000명 이상의 군대와 경찰관들을 배치하고 있다. - 콩고에서 아이티 섬까지. ]

from The Socialist (weekly paper of the CWI in England & Wales),
사회주의자로부터 (영국 & 웨일스의 주간지 CWI)

Despite the failure of the United Nations (UN) since its inception to prevent and resolve wars and conflicts, and its inability to eradicate crushing poverty and prevent climate change on a world scale, many (including those on the political left during last year’s Lebanon war), continue to promote it as a ’world parliament’. But the UN is beholden to the world’s major capitalist powers and cannot play an independent role. Only socialism could provide a framework for genuine internationalism.
UN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UN이 시작된 이래로 전쟁과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고, 극심한 가난을 뿌리째 뽑고, 세계적인 규모의 기후 변화를 예방하는 것에 대한 UN의 무능력은 많이 있다 (작년 레바논 전쟁동안 정치적으로 남겨진 그들을 포함하여),  UN은 ‘세계 의회’로서 그것을 진행하기를 계속한다. 그러나 UN은 세계의 주요 자본가 세력에 신세를 지고 있고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없다. 오직 사회주의만이 참된 국제주의를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다.

Just two months after the United States dropped atomic bombs on Japan bringing the Second World War to an end at the cost of 120,000 civilian lives, 51 countries agreed on 24 October 1945 to ratify the Charter giving birth to the United Nations. Unveiling an emblem showing the world in the ’olive branches of peace’, the Charter proclaimed the intention of member states to strive for friendly relations between nations, maintenance of world peace, the elimination of poverty, disease and illiteracy and the principles of justice, human dignity and the well-being of all people.
 일본이 가져온 세계 2차 대전을 끝내기 위해  120,000명의 시민들의 생명을 대가로 하였던, 미국이 일본에 원자폭탄을 떨어뜨린 지 불과 2개월 후에 51개의 국가는 1945년 10월 24일 UN의 헌장 탄생의 비준에 대하여 동의했다.  세계에  ‘평화의 올리브 가지’ 상징을 보여주는 것을 시작으로, 헌장은 국가간에 우호적인 관계를 위해 애쓰고, 세계 평화의 유지를 위해 애쓰고, 빈곤, 질병 그리고 문맹의 제거를 위해 애쓰고, 정의의 원칙을 위해 애쓰고, 인간의 존엄성과 모든 사람의 행복을 위해 애쓰는 회원국의 목적을 선언했다.

Over 60 years have passed since these honeyed words gave hope to war-shattered men and women that a future based on peace and prosperity might at last be built. But these decades have witnessed the growth of an unprecedented wealth gap between rich and poor, the displacement of millions of people forced to flee from war and ethnic cleansing, the threat of fiendish new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 spread of international terrorism, an HIV epidemic that has stricken 2.3 million children and hardly a day of peace across the planet.

이 달콤한 말들이 전쟁으로 산산이 부서진 남자와 여자에게 평화와 번영에 기초한 미래가 마침내 만들어질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주었던 이래로 60년 이상이 흘렀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 목격되었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유례없는 부의 차이의 증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바꾸어 놓는 강제된 전쟁과 인종 청소로부터의 달아남, 잔인한 새로운 대량 살상 무기의 위협, 국제 테러의 확산, 230만 명의 아이를 병에 걸리게 한 HIV 전염병, 그리고 평화가 전 세계로 확산되는 일은 하루도 없었다.

Today the UN boasts 192 member states, an annual budget of $4.19 billion and specialised agencies such as the Children Fund (UNICEF) and the World Food Programme (WFP). Other agencies carry out work relating to specific fields such as trade, communications, transport, agriculture and development.

오늘날, UN은 192개의 동맹국, 41억 9000만 달러의 연간 예산 그리고 아동기금(UNICEF)과 세계식량계획(WFP)과 같은 전문화된 기관을 자랑한다. 다른 기관은 무역, 통신, 운송, 농업 그리고 발달과 같은 특정 분야에 관련이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Little influence
힘이 없는 영향력

Yet despite its expertise in providing aid and humanitarian assistance, like its forerunner the hapless League of Nations, the UN is at best essentially reactive, unable to independently and decisively stamp its influence upon events. This is not accidental. It cannot be an effective 'world parliament' nor ’world peacekeeper’ when its policies and actions are determined by the interests of the main imperialist powers, especially the US ruling class. Since 1945 the United States has been the dominant force in the UN. In the Korean War of 1950-1953 fought under the United Nations Joint Command, 90% of all army personnel, 93% of air power and 86% of naval power came from the US.

그러나 원조와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는 전문성에도 불구하고, 그 전신단체인 불행한 국가연맹과 마찬가지로, UN은 본질적으로 기껏해야 수동적이고 중대사건들에 막강한 영향력을 독립적이고 결정적으로 행사할 수 없다. 이렇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UN은 효과적인 ‘세계국회’도 아니고 ‘세계 평화 유지자’도 아니다. UN유엔의 정책과 활동들은 주요 제국주의 세력들 특히 미국의 지배계층의 이해관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1945년 이래로 미국은 유엔에서 지배세력이었다.  1950년부터 1953년까지 유엔공동군이 참전한 한국 전쟁 시, 공동 군중 육군의 90%, 공군의 93%, 해군의 86%가 미국 출신이었다.

Washington is supposed to provide 22% of the UN budget, but has often withheld huge sums owed in order to force compliance with its wishes. These arrears currently stand at $1.3 billion. The five permanent members of the UN Security Council - the US, Britain, France, Russia and China - each possess the power of veto, which means that decisions taken by that body can be blocked by any one. Any spheres of influence enjoyed by these countries is thus protected.

워싱턴은 국제 연합 예산의 22%를 제공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자주 거대한 금액을 지불할 의무를 보류한다. 그것이 바라는 대로 힘에 순종하기 위해, 이 분담금 체납은 현재 13억 달러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5개 상임이사국들은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그리고 중국― 각각 veto권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단체에 의해 선택된 결정이 누군가에 의해서 막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국가들이 즐겨왔던 영향력의 어느 영역이던지 그리하여 보호를 받는다.

For instance, the UN intervened in the Biafra war in Nigeria in the 1960s but did nothing when US-ally Indonesia annexed East Timor in 1975. The UN remained tight lipped when China annexed Tibet, looked the other way when US President Nixon blasted neutral Cambodia and Laos during the Vietnam War and more recently carried on without comment during 1994-1996 while Russia conducted a vicious repression against Chechyna. None of the major powers will tolerate their fundamental interests being challenged by the UN. When rival states follow divergent paths, the UN is paralysed.

예를 들면, UN이 1960년대에 나이지리아에서의 Biafra 전쟁에 개입하였지만 어떤 것도 하지 않았고, 미국의 동맹국 인도네시아가 1975년에 동티모르를 합병하였을 때 어떤 것도 하지 않았다.  UN은 중국이 티베트를 합병하였을 때,  미국 대통령 닉슨이 베트남 전쟁 동안에 중립국 캄보디아와 라오스를 폭파하였을 때도 여전히 외면했다. 그리고 더욱 최근에는 비판 없이 계속해서 수행한다. 러시아가 1994-1996년 동안 Chechyna에 대해서 비난받을만한 진압을 하였던 동안에, UN에 의해 그들의 기본적인 권리가 도전받을 때 어떠한 주요국들도 참지 않을 것이다. 경쟁국들이 다른 길을 따를 때, UN은 쓸모없게 된다.

In a capitalist world based on the nation state and private ownership of property there can be no such thing as a stable ’international community’. Tony Blair blurted this out when he admitted in a rare moment of candour that nations act ”in their own self interest”, before hastily adding the qualification that ”our self-interest and our mutual interest are today inextricably woven together.”

자본가 세계에 기초한 민족 국가와 사유재산권에는 안정된 ‘국제 사회’ 같은 것이 있을 수 없다. 토니 블레어는 이것을 무심코 말했다. 그는 공평무사하게 잠깐 동안 인정했다. “그들 자신의 이익”을 위한 연합의 행동을.  “우리의 자신의 이익과 우리의 서로의 이익은 오늘날 서로 풀 수 없게 짜여 있다.” 는 조건을 서둘러 더하기 전에.

Despite all the talk of morality and the integrity of international agreements, policy is decided by what is in the imperialist powers' own interests. A state's foreign policy is a continuation of its domestic policy. War and military actions are not fought to defend ideals, but undertaken to maintain and expand prestige, power and spheres of influence. To the victor comes the treasure.

국제적인 협약들의 도덕성과 성실의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정책은 제국주의자 자신의 관심에 의해 결정된다. 국가의 외교 정책은 국내 정책의 연속이다. 전쟁과 군사 행동은 이상을 방어하기 위하여 싸우지 않지만, 권력의 세력, 권력 그리고 세력의 영역을 유지하고 확장할 의무를 지닌다. 승리자에게 보물이 온다.

Events in the last 15 years have begun however to open the eyes of millions of workers and youth not only to the impotence of the UN, but also the way that the big powers use it to legitimise their various economic and military crimes. America's military occupation of Iraq has severely undermined the perception of those who believed the UN was a genuinely independent arbiter between nations. The integrity of the UN has been dealt a grave blow, shattering that myth for millions. All the key world powers have interests in the Middle East and the surrounding region. Sometimes, as in the case of China and Russia, these interests are partly geographical. But this area is particularly vital for them because of oil.

최근 15년간의 사건들은 노동자들과 젊은이들 수백만 명에게 유엔의 무능뿐 아니라 강대국들이 경제적, 군사적 범죄 합리화를 위해 유엔을 이용한다는 것에 눈을 뜨게 만들었다. 미국의 이라크 무력 점령은 유엔이 국가들 사이에서 성실하게 독립적으로 중재한다고 믿던 사람들의 인식을 심각하게 손상시켰다. 심각한 타격을 다루는 유엔의 완전성은 수백만 명의 신화를 깨뜨렸다. 모든 핵심 세계열강들은 중동과 그 주변 지역에  관심을 가진다. 때로는 중국과 러시아 경우처럼, 이 관심들은 일부는 지역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특히 석유 때문에 그들에게 무척 중요하다.



Military superpower
군사상의 초강대국

Following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US believed itself to have recovered from the ’Vietnam syndrome’ – the military paralysis brought about by nightmares of its defeat in South East Asia. As an unrivalled military super power the US orchestrated a decisive military victory over Iraq after Saddam tried to annex Kuwait in 1991. Henceforth US imperialism thought it would have a new golden age, in which it would tolerate no objections to its strategic ambitions from other powers or the UN.

냉전의 종식과 소련의 붕괴에 뒤이어 미국은 ‘베트남 증후군’-남동 아시아에서의 패배의 악몽이 가져온 군사적 마비-에서 회복되었다고 믿었다. 무적의 군사적 초강대국 미국은 이라크에 대해 중대한 군사적 승리를 조정하였다. 1991년 사담이 쿠웨이트를 합병하려고 한 이후. 그리하여 미국 제국주의는 새로운 황금시기를 맞이했는데, 이 시대에 다른 강대국이나 유엔으로부터 자신의 전략적인 야심들에 대한 반대들을 참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After 9/11, in determination to demonstrate might against 'terrorism' and those countries making up the so-called ’axis of evil’, Bush and his neo-con advisors plotted the downfall of Iraqi president Saddam Hussein, an ally in the 1980s whom the US had funded when their preoccupation was to overthrow the Shiite regime of Khomeini in Iran. At that time, the west ensured that no action arose from the UN resolutions criticising Saddam’s use of chemical weapons against Iran and Iraqi Kurds. Iraq was already on its knees as a result of UN-imposed sanctions following the 1991 war. According to UNICEF, 500,000 children perished in the decade following that war due to shortages of medicine and health treatment. At the time the US Secretary of State, Madeleine Albright, infamously commented that ”we think the price is worth paying”.

9/11 이후 ‘테러리즘’과 그 국가들이 만든 소위 ‘악의 축’이라 불리는 국가들에 대항하는 군사력을 과시하고자 하는 결정에서, 부시와 그의 네오콘 참모들은 이라크 대통령 사담 후세인의 실각을 음모로 꾸몄다. 1980년대에는 동맹으로 미국이 원조하였던, 그들의 주요 관심사가 이란의 호메이니의 Shiite(시아파) 정권을 전복하는 것이었을 때는. 당시에 서방은 이란과 이라크 쿠르드족에 대항하여 사담이 화학무기 사용하는 것을 비판하는 유엔 결의안으로부터 아무 행동도 취해지지 않을 것을 확신했다. 이라크는 이미 무릎을 꿇고 있었다. 1991년 전쟁 다음에 유엔이 부과한 제재의 결과로. UNICEF에 따르면, 전쟁이후 10년간 50만 명의 어린이들이 죽어갔다. 의료품과 건강 치료의 부족 때문에, 당시 미 국무장관 Madeleine Albright 는 파렴치한 의견을 말했다. “우리는 대가를 치를 만 했다고 생각한다.”. 고


It was alleged that Saddam still possesse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t the end of 2002 the US obtained the passing of Resolution 1441 through the UN Security Council which demanded that Iraq fully comply with UN weapons inspectors. This however was merely a diplomatic ploy. The increasingly bellicose statements coming from Washington caused deep unease among the other major powers, with France and Germany outspokenly cautioning against hasty military action, hoping that containment might achieve ’regime change’ without war.

사담은 여전히 대량 살상 무기를 소유했다고 주장되었다. 2002년 말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이라크가 유엔의 무기사찰에 완전히 협조하기를 요구하는 1441결의안의 통과를 획득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외교적 책략이었다.
워싱턴으로부터 호전적인 진술이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다른 주요 강국들 사이에  불안감이 깊어졌는데, 프랑스와 독일은 전쟁 없이 ‘정권교체’를 이루기를 바라는 경솔한 군사적 행동에 대해 공공연하게 비난했다.
  
Mass opposition to the war drums culminated in demonstrations of 30 million in 600 cities across the world on 15 February 2003. Workers marched demanding ’No war for oil’. The UN Security Council was split and there was widespread understanding that Bush, with faithful Blair in tow, was intent on either 'capturing' the UN and bending it to his purposes, or bypassing it. When the former tactic stalled, the US acted anyway, laying waste to Iraq in the guise of exporting democracy.
전쟁의 북소리에 대한 일반 대중의 반대는 2003년 2월 15일 전 세계적으로 600개의 도시의 3천만 명 사람들이 시위에서 정점에 달했다. 노동자들은 '석유를 위한 전쟁 반대'를 요구하며 행진했다.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는 분열했다. 그리고 충실한 블레어와 한 패로 부시가 유엔을 장악하여 자기 목적대로 굴복시키거나 무시해버리거나 혹은 둘 다 였다고 다들 이해하고 있었다. 이전의 책략으로 시간을 끌면서, 미국은 어쨌든 행동한다. 이라크를 민주주의를 수출한다는 구실로 황폐화한다. 

Four years on, the situation is catastrophic and Bush is a chastened president. Over 650,000 Iraqis have perished, more than 4 million have fled their homes, 37,000 civilians are being detained and the chasm between ethnic and religious groups is widening as the big regional powers circle over resources like jostling vultures. A former senior US military official commented: ”Iraq's government is a mobile phone number that doesn’t answer. Iraq probably can't be fixed”. There is no easy exit strategy for US imperialism, despite deployment of extra troops and highly-publicised security surges. The entire Middle East has been further destabilised, with the UN envoy for Lebanon-Syria warning: ”Now there seems to be four epicentres of conflict in the region with their own dynamics, the Iraqi issue, the Iranian issues, the Syrian-Lebanon issues, and of course the heart of hearts, the Palestinian-Israeli issue”.

4년 연속 상황은 파국으로 갔고, 부시는 누그러진 대통령이다. 65만 명의 이라크 사람들이 죽어갔고, 4백만 명 이상이 그들의 집에서 달아났으며, 3만 7천명의 민간인이 억류되고, 인종적 종교적 집단 간의 차이는 더 커지고 있다. 떠미는 독수리 같이 커다란 지역적 세력들이 자원 위를 맴도는 것처럼. 전직 고위 미국 군대 관리는 말했다. "이라크 정부는 응답이 없는 휴대전화 번호이다. 이라크는 아마 고정될 수 없을 것이다.” 미국 제국주의에 대한 쉬운 탈출 전략은 없다.  추가군대의 배치와 안전의 증대가 고도로 공포되었어도. 전체 중동의 정권은 더더욱 불안정화 되었다. 유엔 특사가 레바논 -시리아 경고와 함께 말했다. : “자체의 역동성을 지닌 지역 갈등에는 4개의 진원지가 있는 것 같다, 이라크 문제, 이란 문제, 시리아-레바논 문제, 그리고 물론 핵심중 핵심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문제이다.”

After years of deriding and downplaying the significance of the UN, in desperation the Bush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take the Iraq question back to the UN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claiming belatedly that ”the UN has great expertise that is badly needed in Iraq”. The US plan is expected to call for involvement in overseeing Iraq’s full transition to a ’normal democratic state’.

UN의 중요성을 조롱하고 경시한 그 후, 필사적으로 부시 행정부는 9월의 유엔 총회에  이라크 문제를 다시 가져간 것으로 예상되었다.  "유엔은 이라크가 무척 필요로 하는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뒤늦게 주장하면서. 미국의 계획은 이라크가 ‘정상적인 민주 국가’로 완전 이행되는 것을 감독하는데 관여하도록 요청받을 것을 기대한다. 

In essence they would like blue-helmeted UN peacekeepers to take some of the bullets. But the only big change under UN control would be that, instead of domination by one occupying power, decisions would be taken collectively by the leading imperialist powers. Socialists argue that the real alternative to US occupation is the withdrawal of all foreign armies and the right of the Iraqi people to determine their own future.

본래 그들은 푸른 헬멧을 쓴 유엔 평화유지군이 총알 몇 개를 가지기를 원한다. 그러나 유엔 통제하의 유일한 큰 변화는 하나의 점유 세력에 의한 지배 대신 결정이 선도하는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집단적으로 행해진다는 것이다. 사회주의자들은 미국 점령의 현실의 대안은 모든 외국 군대의 철수와 이라크 국민들이 그들 자신의 미래를 결정할 권리라고 주장한다.

Keeping the peace
평화를 소유하는 것

United Nations’ peacekeeping interventions are often controversial affairs and lay bare the UN’s inability to keep the peace when there is no peace to keep. The Security Council has been forced to explicitly accept responsibility for failing to prevent the 1994 genocide in Rwanda in which 800,000 people were killed. On the eve of the atrocities most of the 2,500 peacekeepers were withdrawn after the deaths of 10 Belgian soldiers, thereby sending a green light to the killers. Moreover much of the subsequent UN aid was channelled through former Rwandan government officials who controlled refugee camps in Congo. Many of these camp leaders were implicated in the campaign of genocide.

UN의 평화유지활동 개입은 종종 논쟁거리가 되는 사건이고 평화가 유지되지 않는 때에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것은 UN의 무능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안전보장이사회는 80만 명이 죽은 1994년 르완다의 인종 대량 학살을 막지 못한 책임을 명백히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잔학사태가 일어나기 전날 밤에, 벨기에군인 10명의 죽음 이후 2500명의 평화 유지군 대부분이 철수함으로써, 학살자들에게는 파란 불이 켜진 것이다. 게다가 그 사태 이후의 유엔의 원조는 콩고에 있는 피난민수용소를 통제하던 과거 르완다 정부 공무원들을 통해 전달되었다. 이 수용소의 지도자 상당수가 인종 대량 학살사태에 연루되었다.

Similarly, the UN was widely criticised for rehabilitating the forces of the Khmer Rouge in Cambodia, even going so far as to provide them with funds for the 1993 election. This policy suited both the US and China, both of which wanted to shore up any opposition to Vietnam. Then there is the shame of Srebrenica in Bosnia in 1995, where Serb forces overran a so-called UN safe area, butchering 7,000 men and boys in Europe’s worst massacre since World War Two.
마찬가지로, 유엔은 캄보디아 크메르 루즈군의 세력을 회복하게 하여 많은 비난을 받았다.  심지어 그들에게 1993년 선거 자금까지 제공해주었다. 이런 정책은 미국과 중국 모두에 적합 했는데, 그 두 나라는 베트남에 대한 반대가 더욱 확산되기를 원했던 것이다. 그 다음에는 1995년 보스니아에서 발생한 스레브레니차 치욕사건을 들 수 있는데,  세르비아 군대가 소위 유엔안전지대라 불렸던 스레브레니차에 침입해 7천명의 남자와 소년들을 죽였으니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잔인한 대량학살 이었다.

Then UN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later wrung his hands and concluded that ”peacekeepers must never again be deployed into an environment in which there is no ceasefire or peace agreement”. In a sick postscript, the perpetrators of this massacre, Bosnian-Serb leader Karadzic and General Mladic are still in hiding, having thwarted the UN’s attempts to bring them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at The Hague.

그 후 유엔 사무총장 Kofi Annan은 후에 손을 쥐어짜며 결론을 내렸다. "평화유지군은 휴전협정이나 평화협정이 맺어지지 않은 곳에 다시는 배치하여서는 안 된다"  가슴 아픈 후기지만, 이 대량 학살의 주범들인 보스니안 -세르비아 지도자 Karadzic 과d General Mladic 장군은 아직도 숨어있다. 그들을 헤이그 국제사법재판소에 세우려는 유엔의 시도를 방해하면서.


Working class
노동자 계급

As humanitarian crises multiply today, the UN is still often confined to the fringes.
인도주의적 위기들이 증가하는 오늘날, 유엔은 여전히 주변에 머물러 있다.

Savage fighting between ethnic African rebels and pro-government Janjaweed militia in Sudan’s vast western Darfur region has led to 200,000 deaths since 2003. A beleaguered 7,000 strong African Union force has been unable to stop the fighting and only now does it seem possible that UN troops will be permitted to enter the arena to try and uphold the Darfur Peace Agreement signed a year ago.

수단의 아프리카 민족 반역자와 비정부군 Janjaweed (잔자위드) 민병대 사이의 맹렬한 싸움은 수단의 광대한 서부 Darfur(다이푸르) 지역에서 2003년 이후 20만 명을 죽게 했다. 포위된 7천명의 아프리카 연합군은 그 싸움을 그만두기가 불가능했고 요즈음에서야 유엔군이 그 지역에 진입을 허용 받아 1년 전 서명된  Darfur 평화협정을 시도 및 지원할 것이다.

The impasse in Israel-Palestine is one of the clearest examples of the UN's inability to resolve complex crises. Despite first proposing a two-state solution in 1947, today the situation seems more intractable than ever.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난국은 복잡한 위기 해결에 있어 유엔의 무능을 보여주는 가장 명확한 예중의 하나이다. 1947년에 양국의 첫 제안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상황은 이전보다 더욱 처치 곤란해졌다.

In 1967 the UN drew up its famous Resolution 242 calling upon Israel to return the Palestinian occupied territories taken in the Six Day war. Nothing happened. In 1974 the UN General Assembly reaffirmed in grandiloquent terms the inalienable rights of the Palestinian people to self-determination, national independence and sovereignty, and to return to the homeland from which they had been deposed in successive waves since 1947. Now the UN pursues again a vision of two states, Israel and Palestine, living side by side within secure and recognised borders. But what forces can translate these words into deeds? Not the representatives of the world’s imperialist powers and Israeli capitalism.

1967년에 유엔은 유명한 242 결의안을 내놓았다. 이스라엘에게 6일 전쟁에서 점령된 지역들을 팔레스타인에게 돌라주라고 요청하는. 그러나 아무 성과가 없었다. 1974년에 유엔 총회는 장황한 말을 써가며 재확인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들인 자결권, 국가의 독립과 주권, 그리고 1947년 이래 계속된 풍파로 쫓겨난 고향땅으로 돌아가도록 재확인 했다. 지금 유엔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두개의 국가가 안전하고 확정된 경계선 안에서 협력하는 이상을 또 다시 추구한다. 그러나 어떤 세력이 이 언어들을 행동으로 바꿀 수 있을까? 세계의 제국주의 세력과 이스라엘 자본주의의 대표자들은 할 수 없다.

The outgoing UN Middle East envoy Alvaro de Soto has castigated the role of the US. ”There is a seeming reflex, in any given situation where the UN is to take a position, to ask first how Israel or Washington will react rather than what is the right position to take.”
퇴임한 유엔 중동 특사 Alvaro de Soto는 미국의 역할을 혹평했다. "어떤 상황이 주어지던 간에 UN이 취하는 그럴듯한 반사 작용이 있다. 그것은 무엇이 취해야 할 올바른 태도인가 묻기보다, 먼저 이스라엘이나 워싱턴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를 묻는 것이다.

The UN's reputation is at a particularly low point after being sidelined in the Iraq war. The growth of the anti-capitalist movement, World Social Forums and the outpouring of aid from the pockets of millions of ordinary people following the Tsunami in 2005 all underline a growing struggle to refashion our planet and to build links across continents that can challenge the hegemony of the capitalist class.

UN의 평판은 이라크 전쟁에서 방관자로 존재한 이후에 특히 최저 수준이다. 반자본주의 운동의 성장, 세계 사회 포럼과 2005년의 쓰나미(지진성 해일) 이후 보통 사람들 수백만 명의 주머니로부터 쇄도한 도움은 모두 투쟁의 증가를 강조한다. 우리의 지구를 개조하고 자본주의 계급의 헤게모니에 도전할 수 있는 대륙 횡단 연결 고리를 건설하기위한.

The struggle against the disastrous effects of climate change has ignited worldwide movements. Climate change is a global phenomenon requiring a global solution. Harmful gas emissions in the US grew a staggering 18% between 1990 and 2004 and remain the highest in the world in per capita terms. It is the dominant economic agencies – the World Bank, IMF, World Trade Organization and World Economic Forum - all of which serve the interests of the rich and the oligarchs, that are standing in the way of producing a climate change treaty that can reduce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80% before 2050.
기후 변화의 끔찍한 결과에 대항하는 투쟁은 범세계적인 운동에 불을 붙였다.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 해결을 요구하는 전 지구적 현상이다. 미국의 유해가스 방출은 1990년과 2004년 사이에 오락가락하며 18% 성장을 했고, 1인당 전 세계 최고이다. 그것은 지배적인 경제 기관들로 -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세계무역기구, 세계경제포럼 - 모두 부유층과 소수의 독재자의 이익에 봉사하고, 2050년 이전까지 80%의 세계적인 온실 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후 변화 조약을 만드는 것을 가로막고 있다. 

The UN may threaten Iran with new sanctions if it continues to defy demands to stop uranium enrichment and can wave resolutions at North Korea unless it closes down its nuclear facilities. At the same time the capitalist UN has no mechanism to tell the big powers how to behave, as it is controlled by them. To really change the world and protect it for future generations means abolishing capitalism. That is the job of the working class acting internationally. Then, and only then, will we have a real uniting of peoples across the planet.
유엔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중단하라는 요구를 무시하면 새로운 제재를 가하겠다고 위협할지도 모른다. 그리고 북한이 핵시설을 폐쇄하지 않는 한 결의안을 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자본주의자인 유엔은 강대국들에 의해 조종되고 있기 때문에 강대국들에게 어떻게 처신해야 한다고 말할 아무런 메커니즘이 없다, 진짜로 세계를 변화시키고 미래 세대를 보호하려면 자본주의를 폐기해야 한다. 그것이 국제적으로 행동하는 노동계급의 일이다. 그 때, 오직 그때만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이 진짜 연합하게 될 것이다.

UN admits to failing in the fight against poverty
UN은 빈곤에 대한 투쟁에서 실패하는 것에 동의한다.

At the United Nations in 2000, eight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were agreed by 147 countries. These range from halving extreme poverty to halting the spread of HIV/AIDS and providing universal primary education, all by the target date of 2015. However, a recent progress report published by the UN indicates that these MDGs will not be met for sub-Saharan Africa – the poorest region of the world. And worldwide, despite some progress, other MDGs are falling short.

2000년, 유엔에서 8개 밀레니엄 발전 목표에 147개국이 동의했다. 이것들은 극빈을 반으로 줄이는 것부터 HIV/AIDS 바이러스의 확산 저지 및 보편적 초등교육 제공, 이 모든 것을 목표년도인 2015년까지 해내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유엔이 출판한 최근의 중간보고서는 지적한다. 이 MDGs가 세계의 최빈곤지역인 사하라 아프리카 이남에서는 이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그리고 범세계적으로 약간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다른 MDGs가 부족하다.

In summary, the UN report states:
요약하여 유엔 보고서는 진술한다. :

- In sub-Saharan Africa one in 16 women still die from treatable and preventable complication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에서는 16명당 1명의 여성이 여전히 죽는다. 임신과 출산의 치료할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 The target of halving the proportion of underweight children will be missed by 30 million children
- 체중미달 아동의 비율을 반으로 줄이는 목표는 3천만 아동에 의해 이루지 못할 것이다.

- The number of people dying from AIDS worldwide increased to 2.9 million in 2006, and prevention measures are failing to keep pace with the growth of the epidemic.
- 전 세계적으로 AIDS로 죽는 사람 수는 2006년에는 29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예방법은 전염병의 증가와 보조를 맞추는데 실패하고 있다.

- Half the population of the developing world lack basic sanitation. The world is likely to miss the target by almost 600 million people.
- 개발도상국의 인구의 절반은 기본위생이 부족하다. 세계는 거의 6억 명의 사람들에 의해 목표를 이루지 못할 것 같다.

- Widening income inequality is of particular concern in Eastern Asia, where the share of consumption of the poorest people declined dramatically between 1990 and 2004.
- 1990 and 2004. 심화된 소득불균형은 특히 동 아시아의 관심사인데, 동아시아에서는 는 극빈층 소비 비율이 1990년과 2004년 사이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 Most economies have failed to provid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heir youth.
- 대부분의 경제는 젊은이들에게 고용기회를 제공하는데 실패했다.

- Emissions of carbon dioxide, the primary contributor to global climate change, rose from 23 billion metric tons in 1990 to 29 billion metric tons in 2004. Climate change is projected to have serious economic and social impacts, which will impede progress towards the MDGs.
- 이산화탄소의 방출은 지구 기후 변화의 주된 요인인데, 1990년 230억 톤에서 2004년 290억 톤으로 증가했다. 기후 변화는 심각한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것은 MDGs 진행을 방해할 것이다.


With a masterly understatement the report says: “To some extent, these situations reflect the fact that the benefits of economic growth in the developing world have been unequally shared.”
교묘하게  발뺌하듯 보고서는 말한다. :" 다소 이 상황들은 개발도상국에서의 경제 성장의 혜택이 불평등하게 분배되는 사실을 반영한다." 

Therein lies the problem. The ruling classes in the most advanced capitalist countries (ACC), while pontificating on the plight of the world's poor, continue to pursue a ’neo-liberal’ agenda – ie privatization, ’free trade’ (while subsidising industries and exports in the ACC), labour market deregulation, unrestricted movement of capital, etc - that results in sucking wealth out of the poorest countries and swelling the assets of the big corporations and the super-rich.
거기에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발전된 자본주의 국가들(ACC)의 지배계급들은, 세계의 가난의 곤경에 대해 점잔을 빼며 말하는 동시에 ‘신자유주의’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 즉 민영화, 지유무역, (자본주의 국가들이 기업들과 수출에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노동시장 비 규제, 자유로운 자본의 이동, 등등 - 이것은 최빈국의 부를 다 빨아먹고 거대 기업과 초 부유층의 재산을 부풀린다.

To facilitate such arrangements the world's big powers often cultivate local capitalists and corrupt politicians in the ex-colonial countries. And within the ACC the wealth gap between the social classes is also widening to an extent not seen for generations. The move towards equality will only happen when the workers and small farmers who produce the wealth take over the econom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nd run it democratically under a socialist plan of production.
세계의 강대국들의 그러한 배치는 종종 지방에서 경작하던 자본가와 이전 식민지 국가의 부패한 정치가를 활성화한다. 그리고 발전된 자본주의 국가들 안에서도 사회 계층들끼리의 격차 또한 확대되고 있다. 세대를 거쳐 그 정도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평등을 향한 움직임은 오직 부를 생산하는 노동자들과 소농들이 국가적으로, 국제적으로 경제를 획득하여, 차지하여 생산의 사회주의적 계획 하에서 그것을 민주적으로 운영할 때 일어난다.

The aim of the super-rich capitalists is to accumulate more and more personal wealth. The objective of the majority under socialism will be to create a better life for humankind as a whole.
초 부유층 자본가들의 목적은 더 많은 개인의 부를 축적하는 것이다. 사회주의 하에서의 다수의 목적은 인류 전체를 위해 더 좋은 삶을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

다극화되어가는 세계의 발생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27. 12:53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다극화한 세계의 증가

by Dilip Hiro


간단요약 ==========================================================================================
이 글은 언론, 경제, 군사 등 다방면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라고 하는 미국에 대항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와 러시아,
중국 등의 나라의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현재 점점 쇠퇴해가고 있으며, 더이상 미국에게 계속 기대고 있다가는 같이 몰락의 길을 가고 말것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역시 미국으로부터 멀어지고, 다른 나라와 협조하여 발전을 이룩해나가야 할 것이다.
====================================================================================================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e United States stood tall - militarily invincible, economically unrivalled, diplomatically uncontestable, and the dominating force on information channels worldwide. The next century was to be the true "American century," with the rest of the world molding itself in the image of the sole superpower.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에 따라 미국은 우뚝 서게 되었다. - 무적의 군사, 경제적으로 무적이고, 외교적으로 논쟁할 수 없고, 세계의 정보 채널을 지배하는 힘. 다음 세기는 진정으로 “미국의 세기” 가 될 것이다.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 그 자신이 유일한 초강대국의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Yet, with not even a decade of this century behind us, we are already witnessing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in which new powers are challenging different aspects of American supremacy -- Russia and China in the forefront, with regional powers Venezuela and Iran forming the second rank. These emergent powers are primed to erode American hegemony, not confront it, singly or jointly.

그러나 금세기에 들어선지 10년도 채 못 되어 우리들은 이미 새로운 세력이 미국 패권의 다른 측면에 도전하는 다극화 세계가 시작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 선두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있고, 지역 강대국 베네수엘라와 이란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떠오르는 세력은  미국의 헤게모니를 좀먹기 위해 정면으로 맞서지 않고, 단독으로 또는 서로 연대하여 준비한다.

How and why has the world evolved in this way so soon? The Bush administration's debacle in Iraq is certainly a major factor in this transformation, a classic example of an imperialist power, brimming with hubris, over-extending itself. To the relief of many -- in the U. S. and elsewhere -- the Iraq fiasco has demonstrated the striking limitations of power for the globe's highest-tech, most destructive military machine. In Iraq, Brent Scowcroft,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two U.S. presidents, concedes in a recent op-ed, "We are being wrestled to a draw by opponents who are not even an organized state adversary."

어떻게 그리고 왜 세계는 이러한 방식으로 빠르게 발전되어 가는가?  이라크에서  부시 행정부의 패배는 오만으로 가득차고 그 자신이 지나치게 확대된 제국주의 권력의 고전적인 예로서 확실히 이 변화의 주요한 요인이다. 다수의 구조를 위해서 - 미국과 다른 곳에서 - 이라크 실패는 세계 최고 기술의 파괴적인 군사무기에 의한 힘에 의한 공격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라크에서, 2명의 미국 대통령의 국가 안보 보좌관이었던 Brent Scowcroft는 최근 신문의 특집기사에서 시인했다. "우리는 심지어 국가 수준도 안 되는 반대자들에 의해 끌려가며 싸우고 있다.”

The invasion and subsequent disastrous occupation of Iraq and the mismanaged military campaign in Afghanistan have crippled the credibility of the United States. The scandals at Abu Ghraib prison in Iraq and Guantanamo in Cuba, along with the widely publicized murders of Iraqi civilians in Haditha, have badly tarnished America's moral self-image. In the latest opinion poll, even in a secular state and member of NATO like Turkey, only 9% of Turks have a "favorable view" of the U.S. (down from 52% just five years ago).

이라크를 침공했다가 재앙으로 변한 점령,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어설픈 군사 행동은 미국의 신용에 장애를 가져왔다. 이라크의 Abu Ghraib(아부 그레이브) 수용소와 쿠바의 Guantanamo(관타나모) 수용소에서의 스캔들, Haditha(하디타)의 이라크 민간인들의 널리 선전된 살인과 함께, 미국의 도덕적 자부심을 더럽힌다.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심지어 비종교적 국가이고, NATO의 멤버인 터키 같은 국가에서도, 터키사람의 오직 9 %만이 미국에 “호의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5년 전 52 %에서부터 하락)

Yet there are other explanations -- unrelated to Washington's glaring misadventures -- for the current transformation in international affairs. These include, above all, the tightening market in oil and natural gas, which has enhanced the power of hydrocarbon-rich nations as never before; the rapid economic expansion of the mega-nations China and India; the transformation of China into the globe's leading manufacturing base; and the end of the Anglo-American duopoly in international television news.

그러나 거기에는 다른 설명들이 있다. ― 워싱턴의 지독한 불운과는 관계가 없다. - 국제적인 사건에서의 최근의 변화에는. 이것은 무엇보다 석유와 천연 가스의 긴축시장 문제를 포함한다. 석유가 풍부한 국가들은 전례 없이 힘이 커졌다. ;  중국과 인도 같은 인구대국이 급속한 경제 성장을 했고 ; 세계를 이끄는 제조업 기반이 된 중국의 변화 ; 그리고 국제적인 텔레비전 뉴스에서 미국과 영국의 독점 체제가 끝났다.

Many Channels, Diverse Perceptions
많은 Channel, 다양한 이해

During the 1991 Gulf War, only CNN and the BBC had correspondents in Baghdad. So the international TV audience, irrespective of its location, saw the conflict through their lenses. Twelve years later, when the Bush administration, backed by British Prime Minister Tony Blair, invaded Iraq, Al Jazeera Arabic broke this duopoly. It relayed images -- and facts -- that contradicted the Pentagon's presentatio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world witnessed two versions of an ongoing war in real time. So credible was the Al Jazeera Arabic version that many television companies outside the Arabic-speaking world -- in Europe, Asia and Latin America -- showed its clips.

1991년 걸프 전 때, 오직 CNN과 BBC만이 바그다드에 특파원을 두었다. 그래서 국제적인 TV 시청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그들의 렌즈를 통하여 충돌을 보았다.  12 년뒤, 부시 행정부가 영국 총리 토니 블레어에 의해 후원을 받아 이라크에 침입하였을 때, 아랍의 Al Jazeera는 이 양대 강국의 패권을 깨뜨렸다. 그것은 이미지를 교체했다 - 그리고 사실들 - 미국 국방부의 발표를 반박했다. 사상 처음으로, 세계는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전쟁의 두 가지 버전을 목격했다.  그래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랍의 버전인 Al Jazeera였다. 아랍 밖의 텔레비전 회사들은 - 생생한 세계 - 유럽, 아시아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알자지라의 영상을 보여주었다. 

Though, in theory, the growth of cable television worldwide raised the prospect of ending the Anglo-American duopoly in 24-hour TV news, not much had happened due to the exorbitant cost of gathering and editing TV news. It was only the arrival of Al Jazeera English, funded by the hydrocarbon-rich emirate of Qatar -- with its declared policy of offering a global perspective from an Arab and Muslim angle -- that, in 2006, finally broke the long-established mold.

이론적으로 볼 때 케이블 텔레비전의 세계적인 성장은 24시간 TV news에서의 미국과 영국의 독점체제가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TV 뉴스의 자료를 모으고 편집하는 터무니없는 비용 때문에.  오직  Al Jazeera 영어방송만이  도착한다. 석유가 풍부한 카타르의 아랍에미리트의 기금으로. ― 그것은 세계적인 관점의 정책을 선언한다. 2006년, 비로소 오랫동안 수립된 틀을 깨뜨렸다. 

Soon France 24 came on the air, broadcasting in English and French from a French viewpoint, followed in mid-2007 by the English-language Press TV, which aimed to provide an Iranian perspective. Russia was next in line for 24-hour TV news in English for the global audience. Meanwhile, spurred by Venezuelan President Hugo Chavez, Telesur, a pan-Latin-American TV channel based in Caracas, began competing with CNN in Spanish for a mass audience.

곧이어 프랑스 24가 영어와 불어로 프랑스의 시각에서 방송을 하기 시작했으며 , 그것에 뒤이어 2007년 중반에 Press TV가 영어 방송을 하였다. 이란 사람의 관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러시아도 뒤를 이어 전 세계 관객을 위한 24시간 TV뉴스를 영어로 하였다. 한편, 베네수엘라 대통령 Hugo Chavez에 의해 박차가 가해진 Caracas에 위치한 pan-Latin-American TV 채널인 텔레수르는 일반대중을 위한 스페인어 방송으로 CNN과 경쟁하기 시작하였다.


As with Qatar, so with Russia and Venezuela, the funding for these TV news ventures has come from soaring national hydrocarbon incomes -- a factor draining American hegemony not just in imagery but in reality.

카타르처럼, 러시아와 베네수엘라는 이들 TV 뉴스 벤처사업을 위해 자금을 조달한다.  치솟는 석유 수입을 통해 - 미국인의 헤게모니를 줄이려는 원인이다.  단지 이미지만이 아니라 실제로.

Russia, an Energy Superpower
러시아, 에너지 강대국

Under President Vladimir Putin, Russia has more than recovered from the economic chaos that followe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fter effectively renationalizing the energy industry through state-controlled corporations, he began deploying its economic clout to further Russia's foreign policy interests.

Vladimir Putin 대통령 때,  러시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에 따른 경제적인 혼란으로부터 회복되었다. 국가의 지배를 받는 회사를 통한 에너지 산업의 효과적인 국영화 이후에, 그는 경제적인 영향력을 재배치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외교 정책 이익을 위해.

In 2005, Russia overtook the United States, becoming the second largest oil producer in the world. Its oil income now amounts to $679 million a day. European countries dependent on imported Russian oil now include Hungary, Poland, Germany, and even Britain.

2005년, 러시아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석유 생산국으로 떠오르면서 미국을 따라잡았다. 석유 수입은 현재 하루에 6억 7900만 달러에 달한다.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데 의존한다. 현재 헝가리, 폴란드, 독일은 물론 영국까지 포함돼있다. 

Russia is also the largest producer of natural gas on the planet, with three-fifths of its gas exports going to the 27-member European Union (EU). Bulgaria, Estonia, Finland, and Slovakia get 100% of their natural gas from Russia; Turkey, 66%; Poland, 58%; Germany 41%; and France 25%. Gazprom, the biggest natural gas enterprise on Earth, has established stakes in sixteen EU countries. In 2006, the Kremlin's foreign reserves stood at $315 billion, up from a paltry $12 billion in 1999. Little wonder that, in July 2006 on the eve of the G8 summit in St Petersburg, Putin rejected an energy charter proposed by the Western leaders.

러시아는 또한 천연가스의 가장 큰 생산자이다.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가스 중 5분의 3이 27 곳의 EU 회원국 27개국에 수출된다.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고 슬로바키아는 러시아로부터 그들의 천연가스의 100 %를 얻는다. 터키는 66 %, 폴란드는 58 %, 독일은 41%, 프랑스는 25 %를 수입한다. 지구에서 가장 큰 천연가스 회사인 Gazprom(가스프롬)은 16개의 EU 국가에 회사를 설립했다.  2006년에, 크렘린 궁의 외환 보유액은 3150억 달러로, 1999년에 얼마 안 되는 120억 달러에서 급증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의 2006년 7월 G8 회담의 전날, 푸틴은 서부 지도자들에 의해 제안된 에너지 헌장을 거절했던 것은 이상할게 없다. 

Soaring foreign-exchange reserves, new ballistic missiles, and closer links with a prospering China -- with which it conducted joint military exercises on China's Shandong Peninsula in August 2005 -- enabled Putin to deal with his American counterpart, President George W. Bush, as an equal, not mincing his words when appraising American policies.

급증하는 외환보유액, 새로운 탄도 미사일, 그리고 번영하는 중국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 그것은 2005년 8월 중국의 산둥 반도에서 연합 군사 훈련이 수행된 것과 함께 ― 강화된 푸틴은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와 동등하게 의논했다. 미국 정책을 평가할 때 기탄없이 말했다. 

"One country, the United States, has overstepped its national boundaries in every way," Putin told the 43rd Munich Trans-Atlantic conference on security policy in February 2007. "This is visible in the economic,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ies it imposes on other nations...This is very dangerous."

 "미국은 모든 면에서 국경의 한계를 넘어섰다.” 푸틴은 2007년 2월에 열린 43번째 뮌헨 안보 정책 대서양 항로 동맹에서 말했다. "이것은 명백히 다른 국가의 경제, 정치, 문화와 교육 정책에 강제한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현상이다.”

Condemning the concept of a "unipolar world," he added: "However one might embellish this term, at the end of the day it describes a scenario in which there is one center of authority, one center of force, one center of decision-making...It is a world in which there is one master, one sovereign. And this is pernicious." His views fell on receptive ears in the capitals of most Asian, Africa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단극 세계”의 개념을 강하게 비난하면서 그는 덧붙였다. : "그러나 하나는 이 기간을 장식할지도 모른다. 결국 그것은 한 시나리오에서 묘사한다. 거기에는 하나의 권력의 중심, 하나의 힘의 중심, 하나의 정책결정의 중심이다. 그 세계에는 하나의 지도자가 있고, 하나의 주권자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유해하다.” 그의 견해는 대부분의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수도에서 경청했다.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Moscow and Washington was noted, among others, by analysts and policy-makers in the hydrocarbon-rich Persian Gulf region. Commenting on the visit that Putin paid to long-time U.S. allies Saudi Arabia and Qatar after the Munich conference, Abdel Aziz Sagar, chairman of the Gulf Research Center, wrote in the Doha-based newspaper The Peninsula that Russia and Gulf Arab countries, once rivals from opposite ideological camps, had found a common agenda of oil, anti-terrorism, and arms sales. "The altered focus takes place in a milieu where the Gulf countries are signaling their keenness to keep all geopolitical options open, reviewing the utility of the United States as the sole security guarantor, and contemplating a collective security mechanism that involves a host of international players."

모스크바와 워싱턴 사이의 관계의 변화, 그 중에서도 특히 석유가 풍부한 페르시아 만 지역에서의 분석자와 정책입안자들에 의해 그러한 변화가 감지되었다. 페르시아 만 연구 센터의 의장 Abdel Aziz Sagar는 Munich 회담이 있은 후, 푸틴이 오랜 미국의 동맹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에 방문한 것에 대해 논평을 하면서, Doha(카타르의 수도)지역의 신문 The Peninsula에 기고하기를, 한 때 상반되는 이데올로기 진영의 적대국들이었던 러시아와 걸프 만의 아랍 국가들이 석유, 반테러주의, 무기판매에 대한 공동의제를 찾아냈다고 하였다. “초점변화의 조짐이 일어나고 있다. 일체의 지정학적 선택 가능성들을 열어두려는 민감한 신호를 걸프 국가들이 보내는 분위기속에서, 유일한 안전보장국가 신분의 미국의 효용성을 검토하고 동시에 여러 활동국가들이 관련되는 집단안보체제를 재고하면서”

In April 2007, the Kremlin issued a major foreign policy document. "The myth about the unipolar world fell apart once and for all in Iraq," it stated. "A strong, more self-confident Russ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positive changes in the world."

2007년 4월, 크렘린 궁은 주요 외교 정책 문서를 발행하였다. "단극 세계의 신화는 이라크에서 한 번에 무너졌다” 그것은 언급했다. "강력하고, 자신감에 차있는 러시아는 세계의 긍정적인 변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The Kremlin's increasingly tense relations with Washington were in tune with Russian popular opinion. A poll taken during the run-up to the 2006 G8 summit revealed that 58% of Russians regarded America as an "unfriendly country." It has proved to be a trend. This July, for instance, Major Gen Alexandr Vladimirov told the mass circulation newspaper Komsolskya Pravada that war with the United States was a "possibility" in the next ten to fifteen years.

워싱턴과 크렘린 궁의 증대되는 긴장 관계는 러시아의 민중들의 의견과 조화된다. 2006 G8 정상회담이 열릴 당시의 여론조사는 러시아 국민들의 58 %가 미국을 “비우호적인 국가” 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것은 추세가 되었음이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7월에 Gen Alexandr Vladimirov는 대량 발행 부수 신문 Komsolskya Pravada에서 미국과의 전쟁은 향후 10년에서 15 년 내에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Chavez Rides High
의기양양한 Chavez

Such sentiments resonated with Hugo Chavez. While visiting Moscow in June 2007, he urged Russians to return to the ideas of Vladimir Lenin, especially his anti-imperialism. "The Americans don't want Russia to keep rising," he said. "But Russia has risen again as a center of power, and we, the people of the world, need Russia to become stronger."

그러한 생각은 Hugo Chavez도 동조했다. 2007년 6월 모스크바를 방문하는 동안에, 그는  러시아 사람들이 Vladimir Lenin의 정신을 되돌릴 것을 주장했다.  특히 그의 반제국주의를 "미국은 러시아가 성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가 말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권력의 중심으로 다시 떠올랐고, 그리고 우리들, 전 세계의 사람들은 러시아가 더 강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Chavez finalized a $1 billion deal to purchase five diesel submarines to defend Venezuela's oil-rich undersea shelf and thwart any possible future economic embargo imposed by Washington. By then, Venezuela had become the second largest buyer of Russian weaponry. (Algeria topped the list, another indication of a growing multipolarity in world affairs.) Venezuela acquired the distinction of being the first country to receive a license from Russia to manufacture the famed AK-47 assault rifle.

Chavez는 5개의 디젤 잠수함을 구입하기위해 10억 달러에 최종 계약을 했다. 베네수엘라의 석유가 풍부한 해저의 대륙붕을 지키고, 워싱턴이 미래의 경제적인 통상 정지를 강제하게 될 가능성에서 지키기 위해. 베네수엘라는 이미 러시아 무기를 가장 많이 사들이는 2번째로 고객이 되었다. (알제리는 리스트의 최상위를 차지했다. 이는 국제정치에서 성장하는 다극성의 또 다른 징조이다.) 베네수엘라는 러시아로부터 자격증을 받은 첫 번째 국가가 된 특별대우를 획득했다. 유명한 AK-47 돌격용 자동 소총을 제조하기 위한. 

By channeling some of his country's oil money to needy Venezuelans, Chavez broadened his base of support. Much to the chagrin of the Bush White House, he trounced his sole political rival, Manuel Rosales, in a December 2006 presidential contest with 61% of the vote. Equally humiliating to the Bush administration, Venezuela was, by then, giving more foreign aid to needy Latin American states than it was.

가난한 베네수엘라 사람들에게 그의 국가의 오일머니(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돈)의 몇몇 channeling을 하는 것으로, Chavez는 그의 지지 기반을 넓혔다. 백악관의 부시에게는 매우 유감스럽게도, 그는 그의 유일한 정치적 경쟁자인 Manuel Rosales을 완승했다.  2006년 12월의 대통령 선거에서 61 % 득표하여. 부시 행정부에게 동등하게 굴욕적이다.  베네수엘라는 그때까지보다 가난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 더 많은 대외 원조를 했다. 

Following his reelection, Chavez vigorously pursued the concept of forming an anti-imperialist alliance in Latin America as well as globally. He strengthened Venezuela's ties not only with such Latin countries as Bolivia, Cuba, Ecuador, Nicaragua, and debt-ridden Argentina, but also with Iran and Belarus.

재선 후, Chavez는 반제국주의 동맹을 형성하는 생각을 활발하게 추구하였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서.  그는 베네수엘라의 유대를 강화했다. 볼리비아, 쿠바, 에콰도르, 니카라과, 그리고 빚에 허덕이는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이란과 벨로루시(폴란드에 인접한 독립 국가 연합의 하나)와의 

By the time he arrived in Tehran from Moscow (via Minsk) in June 2007, the 180 economic and political accords his government had signed with Tehran were already yielding tangible results. Iranian-designed cars and tractors were coming off assembly lines in Venezuela. "[The] cooperation of independent countries like Iran and Venezuela has an effective role in defeating the policies of imperialism and saving nations," Chavez declared in Tehran.

그가 2007년 6월, 모스크바(Minsk을 통하여)로부터 테헤란에 도착했을 때까지, 180개 경제와 정치적 협정을 맺다. 그의 정부는 테헤란과 계약을 체결했다. 이미 확실한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란 사람이 디자인한 자동차와 트랙터가 베네수엘라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란과 베네수엘라 같은 독립 국가들의 협력은 제국주의의 정책을 좌절시키고 여러 나라를 구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Stuck in the quagmire of Iraq and lashed by the gusty winds of rocketing oil prices, the Bush administration finds its area of maneuver woefully limited when dealing with a rising hydrocarbon power. To the insults that Chavez keeps hurling at Bush, the American response has been vapid. The reason is the crippling dependence of the United States on imported petroleum which accounts for 60% of its total consumed. Venezuela is the fourth largest source of U.S imported oil after Canada, Mexico, and Saudi Arabia; and some refineries in the U.S are designed specifically to refine heavy Venezuelan oil.

이라크의 꼼짝할 수 없는 곤경에 빠지고 치솟는 유가의 바람에 의해 공격당한 부시 행정부는 슬픔에 가득차서 제한된 책략의 지역을 찾는다. Chavez가 계속해서 부시에게 모욕을 하는데도 미국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그 이유는 미국이 소비하는 석유의 6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베네수엘라는 캐나다, 멕시코,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의 뒤를 이어 미국이 가장 많이 석유를 수입하는 4번째 국가이다.; 그리고 미국에 있는 몇 개의 정제소는 특별히 베네수엘라의 중유를 정제한다.

In Chavez's scheme to undermine the "sole superpower," China has an important role. During an August 2006 visit to Beijing, his fourth in seven years, he announced that Venezuela would triple its oil exports to China to 500,000 barrels per day in three years, a jump that suited both sides. Chavez wants to diversify Venezuela's buyer base to reduce its reliance on exports to the U.S and China's leaders are keen to diversify their hydrocarbon imports away from the Middle East, where American influence remains strong.

“유일한 초강대국”에 타격을 주려는 Chavez의 구상에, 중국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6년 8월 7년 간 4번째에 해당하는 베이징 방문 동안, 그는 베네수엘라가 3년 내에 중국에 대한 석유 수출량을 현재보다 3배 많은 하루에 50만 배럴 까지 늘이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도약은 양측에 적합하다.  Chavez는 베네수엘라의 바이어의 기초를 다양화하기를 원했다.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중국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석유 수입을 다양화하고자 했다.  미국의 영향력이 강한 중동으로부터 떨어져. 

"The support of China is very important [to us] from the political and moral point of view," Chavez declared. Along with a joint refinery project, China agreed to build thirteen oil drilling platforms, supply eighteen oil tankers, and collaborate with the state-owned company, Petroleos de Venezuela S.A. (PdVSA), in exploring a new oilfield in the Orinoco Basin.

 "중국의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우리에게]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에서” Chavez는 선언했다. 공동 정제소 연구 과제와 더불어, 중국은 13개의 석유 시추탑을 건설학고 18개의 유조선을 공급하기로 했다. 그리고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기업 S.A.(PdVSA)페데베사와 협력하기로 했다.   새로운 유전지역인 Orinoco Basin을 조사하는 것을 

China on a Stratospheric Trajectory
성층권 궤도위의 중국

So dramatic has been the growth of the state-run company PetroChina that, in mid-2007, it was second only to Exxon Mobil in its market value among energy corporations. Indeed, that year three Chinese companies made it onto the list of the world's ten most highly valued corporations. Only the U.S. had more with five. China's foreign reserves of over $1 trillion have now surpassed Japan's. With its gross domestic product soaring past Germany's, China ranks number three in the world economy.

중국의 국영 석유기업 페트로차이나의 성장도 극적이다.  2007년 중반, 페트로차이나는 전 세계 에너지 기업 중 시장가치로  Exxon Mobil에 이어 2위를 했다. 실제로, 그 해에 3개의 중국 회사들은 높은 가치를 가진 세계의 10대 회사의 리스트에 올랐다. 미국이 5개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1조 달러를 넘어서며 지금 일본의 외환 보유액을 능가하였다. 국내총생산(GDP)도 독일을 능가하며, 중국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으로 떠올랐다. 

In the diplomatic arena, Chinese leaders broke new ground in 1996 by sponsoring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consisting of four adjoining countries: Russia and the three former Soviet Socialist republics of Kazakhstan, Kyrgyzstan, and Tajikistan. The SCO started as a cooperative organization with a focus on countering drug-smuggling and terrorism. Later, the SCO invited Uzbekistan to join, even though it does not abut China. In 2003, the SCO broadened its scope by including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its charter. That, in turn, led it to grant observer status to Pakistan, India, and Mongolia -- all adjoining China -- and Iran which does not. When the U.S. applied for observer status, it was rejected, an embarrassing setback for Washington, which enjoyed such status at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외교 분야에서도, 중국 지도자들은  1996년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4개의 인접 국가들로 구성된 : 러시아와 이전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세 나라 였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SCO는 마약 밀수와 테러에 대응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협력 기구로서 출발하였다. 이후, SCO는 우즈베키스탄이 참여하도록 초대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국과 인접하지 않았을지라도. 2003년, SCO는 그의 헌장에 지역 경제 협력기구의 성격이 포함되면서 범위가 확장되었다. 차례로 옵서버의 자격으로 중국과 인접한 파키스탄, 인도, 그리고 몽골과 중국과 인접하지 않은 이란까지 끌어들였다. 미국이 옵서버의 자격에 참여하기를 원했을 때, 그것은 거부당했다. 동남아시아연합(ASEAN)에서 옵서버 지위를 누려온 미국으로서는 당혹스러운 사건이었다.

In early August 2007, on the eve of an SCO summit in the Kyrgyz capital of Bishkek, the group conducted its first joint military exercises, codenamed Peace Mission 2007, in the Russian Ural region of Chelyabinsk. "The SCO is destined to play a vital role in ensuring international security," said Ednan Karabayev, foreign minister of Kyrgyzstan.

2007년 8월 초,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에서 SCO 정상회의가 열리기 전날, SCO가 수행하는 첫 번째 합동군사훈련이 실시되었다.  '평화임무 2007'이라는 코드명을 붙인. 러시아의 남부 첼랴빈스크 시에서. "SCO는 국제안보에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키르기스스탄의 에드난 카라바예프 외교장관은 말했다.
In late 2006, as the host of a China-Africa Forum in Beijing attended by leaders of 48 of 53 African nations, China left the U.S. woefully behind in the diplomatic race for that continent (and its hydrocarbon and other resources). In return for Africa's oil, iron ore, copper, and cotton, China sold low-priced goods to Africans, and assisted African counties in building or improving roads, railways, ports, hydro-electric dams,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schools. "The western approach of imposing its values and political system on other countries is not acceptable to China," said Africa specialist Wang Hongyi of the China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We focus on mutual development."

2006년 말,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포럼에는 53개의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48개국의 지도자들이 참여했다. 중국이 미국을 비참하게 따돌렸다. 외교 경쟁에서(그리고 석유와 다른 자원들도). 아프리카의 석유, 철광, 구리, 면화 등을 수입하는 대가로 중국은 저가의 상품을 판매했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도로, 철도, 항만, 수력발전소, 통신설비, 학교 등을 건설하고 개량하는 사업에 협력했다. "다른 나라에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가치와 정치체제를 강제하려는 서구적 접근방식은 중국이 용납할 수 없는 것" 이라고 중국의 국제문제연구소에서 아프리카 전문가로 일하는 왕홍이는 말했다. "우리는 상호발전을 초점을 맞추고 있다."
To reduce the cost of transporting petroleum from Africa and the Middle East, China began constructing a trans-Burma oil pipeline from the Bay of Bengal to its southern province of Yunan, thereby shortening the delivery distance now traveled by tankers. This undermined Washington's campaign to isolate Myanmar. (Earlier, Sudan, boycotted by Washington, had emerged as a leading supplier of African oil to China.) In addition, Chinese oil companies were competing fiercely with their Western counterparts in getting access to hydrocarbon reserve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중국은 아프리카와 중동으로부터의 석유 수송비용을 줄이기 위해, 미얀마를 경유하는 석유 파이프라인 공사에 착수했다. 그 파이프라인은 미얀마의 남쪽 지방 유난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수송 거리를 줄여준다. 기존의 유조선을 이용한 방법보다. 이러한 사업은 미국이 미얀마를 고립시키려는 계획에 차질을 가져다주었다. (일찍이 미국에서 수입거부조치를 해왔던 수단은 중국에서는 아프리카의 선도적인 석유공급원으로 등장했다.) 게다가 중국의 석유 회사들은 서구 석유 회사들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석유 자원 개발 대한 접근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China's oil diplomacy is putting the country on a collision course with the U.S. and Western Europe, which have imposed sanctions on some of the countries where China is doing business," comments William Mellor of Bloomberg News. The sentiment is echoed by the other side. "I see China and the U.S. coming into conflict over energy in the years ahead," says Jin Riguang, an oil-and-gas advisor to the Chinese government and a member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uncil.

“중국의 석유 외교는 미국과 서구 유럽과의 충돌을 야기 하고 있다. 미국과 서구 유럽은 중국과 비즈니스를 하는 몇몇 나라들에 제재를 가하고 있다.” Bloomberg 뉴스의 윌리엄 멜러가 말했다. 그런 경향은 다른 면에서도 엿보인다. “앞으로 중국과 미국은 에너지를 두고 충돌하게 될 것이다.” 중국 정부의 석유․가스부문 고문이자 중국인민정치자문회 상임위원회 회원인 진 리광이 말했다.

China's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has spurred the modernization of its military as well. The test-firing of the country's first anti-satellite missile, which successfully destroyed a defunct Chinese weather satellite in January 2007, dramatically demonstrated its growing technological prowess. An alarmed Washington had already noted an 18% increase in China's 2007 defense budget. Attributing the rise to extra spending on missiles, electronic warfare, and other high-tech items, Liao Xilong, commander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s general logistics department, said: "The present day world is no longer peaceful and to protect national security, stabil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we must suitably increase spending on military modernization."

중국의 산업화와 현대화는 군사 현대화에도 역시 박차를 가했다.  2007년 1월 중국은 첫 번째 위성 공격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여, 자국의 기상 위성을 성공적으로 폭파시켰다. 이것은 중국의 무기 기술이 극적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놀란 미국은 이미 2007년 중국의 국방 예산이 18% 증가했음에 주목한 바 있다. 중국의 국방 예산 증가는 미사일, 전자 무기와 다른 하이테크 장비에 대한 지출 증가에 기인한다며, 인민해방군 일반 병참부 사령관 리야오 실롱은 말했다. “오늘날 세계는 더 이상 평화롭지 않으며 국가 안보, 안전과 영토보전을 위해서 우리는 적당한 수준으로 군현대화에 대한 지출을 증가시켜야한다.”

China's declared budget of $45 billion was a tiny fraction of the Pentagon's $459 billion one. Yet, in May 2007, a Pentagon report noted China's "rapid rise as a regional and economic power with global aspirations" and claimed that it was planning to project military farther afield from the Taiwan Straits into the Asia-Pacific region in preparation for possible conflicts over territory or resources.
중국의 공식 국방 예산은 450억 달러로 미국 펜타곤의 4590억 달러에 비하면 매우 적지만, 2007년 5월 미 국방부의 한 보고서는 ‘야심을 가진 중국의 지역적․ 경제적 파워의 급속한 성장’에 주목한 바 있다. 그리고 그것이 대만 해협을 넘어 아시아-태평양에 이르는 지역에서 이후에 일어날 수 있는 영토 또는 자원에 대한 군사적인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The Sole Superpower in the Sweep of History
역사를 휩쓴 유일한 초강대국
 
This disparate challenge to American global primacy stems as much from sharpening conflicts over natural resources, particularly oil and natural gas, as from ideological differences over democracy, American style, or human rights, as conceived and promoted by Western policy-makers. Perceptions about national (and imperial) identity and history are at stake as well.

이런 미국의 패권에 대한 도전은 차이를 보인다. 천연자원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를 둘러싼 충돌에서 더 첨예한 갈등을 보인다. 민주주의, 미국식, 또는 인권 같은 서구 정책결정자들의 상상과 달리. 국가에 관한 예외는 (그리고 제국의) 생각과는 달리 정체성과 역사성은 마찬가지로 stake하다.

It is noteworthy that Russian officials applauding the swift rise of post-Soviet Russia refer fondly to the pre-Bolshevik Revolution era when, according to them, Tsarist Russia was a Great Power. Equally, Chinese leaders remain proud of their country's long imperial past as unique among nations.
그것은 주목할 만하다. 러시아 공직자들이 과거 소련의 급속한 성장을 언급하며 박수를 보내면서 볼셰비키 혁명 이전 시대의 제정 러시아가 패권 국가였다는 것을 언급하는 걸 좋아했다는 것은. 동일하게, 중국의 지도자들도 여전히 중국이 오랜 기간 동안 지역 내에서 최고 권력을 가졌었다는 것을 자랑스러워한다.

When viewed globally and in the great stretch of history, the notion of American exceptionalism that drove the neoconservatives to proclaim the Project for the New American Century in the late 20th century -- adopted so wholeheartedly by the Bush administration in this one -- is nothing new. Other superpowers have been there before and they, too, have witnessed the loss of their prime position to rising powers.

세계적 시각으로 그리고 유구한 역사의 관점에서, 미국 예외론의 의견은 신보수주의로 하여금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미국의 시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주장하도록 만드는 - 부시 정부가 성실하게 채택한 - 새로운 것이 아니다. 다른 초강대국들도 자국의 독보적인 지위가 감소하고 새로운 권력이 등장하는 것을 목격했을 때 그렇게 했었다.

No superpower in modern times has maintained its supremacy for more than several generations. And, however exceptional its leaders may have thought themselves, the United States, already clearly past its zenith, has no chance of becoming an exception to this age-old pattern of history.
현대사에서 어떠한 초강대국도 몇 세대를 거쳐 패권을 유지한 사례가 없다. 그러나 미국 지도자들은 자국은 예외라고 생각해왔다. 미국은 이미 분명히 쇠퇴하고 있고, 오랜 역사의 패턴에서 벗어나 예외적 존재가 될 가능성은 결코 없다.

Dilip Hiro is the author of Secrets and Lies: Operation "Iraqi Freedom" and, most recently, Blood of the Earth: The Battle for the World's Vanishing Oil Resources, both published by Nation Books.

Dilip Hiro는 『 비밀과 거짓말: “이라크 자유” 작전』과 최근 『지구의 혈액 : 고갈되는 석유자원을 둘러싼 세계전쟁』의 작가이다. Nation Books에서 두 권을 출간한.

This article first appeared on Tomdispatch.com, a weblog of the Nation Institute, which offers a steady flow of alternate sources, news, and opinion from Tom Engelhardt, long time editor in publishing, co-founder of the American Empire Project and author of Mission Unaccomplished (Nation Books), the first collection of Tomdispatch interviews.]

이 논설은 처음으로 국가가 설립한 웹로그 Tomdispatch.com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것은 다른 출처의 지속적인 흐름, 뉴스와 의견을 제공한다. Tom Engelhardt로부터, 오랫동안 출판사 편집자였고, American Empire Project의 공동설립자이며, Mission naccomplished (Nation Books)의 저자이고, Tomdispatch 인터뷰의 첫번째 collection이다.

: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_ 가치론 연습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12. 15:16

Theses on realism and film, by Mike Wayne (***==ikj)

1 October 07,

International Socialism, Issue: 116

Theses on realism and film

by Mike Wayne

At the beginning of the film 28 Weeks Later Robert Carlyle’s character, Don, is holed up in a cottage with his wife and some other strangers, trying to survive as the Rage virus sweeps the UK, turning people into zombie-like flesh devouring razies. As we expect, the hideaway is discovered and attacked by said zombies. Don and his wife are separated as they run through the house in the ensuing chaos. She is trying to protect a young boy (not their own). Then they are briefly rejoined on opposite sides of a room. He tells her to leave the boy. She doesn’t. Suddenly the zombies invade the room and he flees, leaving her to what seems like certain death. Outside the cottage he starts running and looks back. He sees his wife at the window, banging on the glass. He keeps running.

영화 28주 후의 시작 부분에서 로버트 칼라일의 캐릭터, Don은 그의 아내와 다른 낯선 자들과 함께 숨어있었고, 살아 남기위해 시도하였다. 분노바이러스가 영국을 휩쓸자마자 사람들은 인간의 살을 게걸스럽게 먹는 미친 좀비로 변하여 갔다. 우리가 기대했듯이, 은신처는 발각되고 좀비라고 불리는 것들에게 공격당했다. Don과 그의 아내는 뒤이은 혼란 속에 집으로 도망가자마자 나뉘어졌다. 그녀는 어린 소년(그들의 자식이 아닌)을 보호하려고 하였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간단하게 방의 반대편에 다시 모였다. 그는 그녀에 소년을 떠나라고 말했다. 그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갑자기 좀비들이 방으로 밀어닥치고, 그는 도망갔다. 죽음을 맞이하게 될 그녀를 남겨두고, 오두막 밖으로 그는 도망가기 시작했고, 뒤를 돌아봤다. 그는 창문에서 유리를 두드리는 그의 아내를 보았다. 그는 계속 도망갔다.

This opening to the film is shocking and, we might say, accords with an initial but hopefully uncontroversial definition of realism. Realism in film requires a plausible range of character action and interaction within the specific circumstances depicted.

이 영화의 오프닝은 충격적이며, 우리는 말하게 될 것이다. 처음이지만 희망적이고 논쟁할 수 없는 리얼리즘의 정의와 일치한다고. 영화에서 리얼리즘은 특수한 상황 속에서 그럴듯한 주인공의 행동에 대한 범위와 상호작용이 묘사된다.

From a materialist perspective all the key terms here flow from the “specific circumstances”—”range” (diversity), “character” (individuals with traits and motivation), “action” (agency) and “interaction” (how individuals relate to each other as the result of socialised behavioural norms). Thus the opening of 28 Weeks Later is “plausible” because we recognise that the solidarity of interpersonal love could simply shatter in a moment of barely imaginable terror.

유물론자의 견해에서 보면 모든 핵심적인 용어가 다음으로부터 나온다. “특별한 상황”- “범위”(다양성), “등장인물”(특성과 동기를 가진 개인들), “행동”(작용)과 “상호작용”(사회화되고 행동 양식화된 규범의 결과로서 어떻게 개인들이 서로 연관되는지). 그러므로 28주 후의 오프닝은 그럴듯하다. 왜냐하면 우리는 대인관계의 연대적인 사랑이 겨우 상상할 수 있는 테러의 순간 속에서 간단하게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To add to the plausibility we also witness, in this opening scene, the old man who owns the cottage sacrificing himself so that his wife can live. But she in turn dies because she is not willing to leave him quickly enough to escape. Thus we have a range of actions contrasted with each other as well as different outcomes. This range of actions raises the issue for the audience of judgement and evaluation, to which we will return.

이 오프닝 신에서 우리는 그럴듯함이 가미된 것을 또 목격하게 되는데, 오두막을 소유한 노인은 그의 아내를 살리기 위해서 자신을 희생한다. 그러나 그녀는 다음에 죽게 된다. 왜냐하면 그녀는 충분히 탈출할 수 있는데도 그를 남겨두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결과만큼 각각 다른 대조를 이루는 행동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이 행동의 범위는 관객에게 판단과 평가의 문제를 불러일으킨다. 이것은 나중에 다루도록 하겠다.

But surely, some will say, the “specific circumstances” that drive the characters to act in such desperate ways, namely flesh eating crazies, is highly implausible. Doesn’t this compromise any claim the film might have to being “realistic”?

그러나 확실히, 어떤 이는 말할 것이다. 그러한 절망적인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주인공을 몰고 가는 “특별한 상황”, 다시 말해 인간의 살을 먹는 좀비들이 있는 상황은 매우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이것은 영화가 사실적이어야 한다는 어떤 주장과 타협할 수 있는가?

The initial definition of realism, given above, orients us towards what we might call the “referential” dimension of realism: how does this representation measure up to what we expect, or what a film might help us discover about the real world? But there is another dimension to the question of realism, inseparably tied up with the “referential” question. For the opening of the film is so shocking because the character who runs away, leaving his wife to certain death, is a film star, Robert Carlyle. He is the biggest star of this film, and the opening scenes set him up as “our” main character, surely the hero of the film. His action feels particularly realistic because it goes against our expectations of the “action” and “interaction” of the hero, expectations that have been shaped by mainstream, overwhelmingly Hollywood, cinema.

리얼리즘의 최초의 정의는, 우리에게 리얼리즘의 “지시적” 차원라고 부르게 될 것으로 향하도록 한다.(얼마나 이 표현이 우리가 기대한 것과 일치할 수 있겠는가? 영화가 실재세계에 관해 아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가?) 그러나 리얼리즘의 질문에 대한 또 다른 특성이 있다. 분리할 수 없는 “지시적” 질문에 얽매여 있다. 영화의 오프닝이 너무 충격적인 것은 확실히 죽게 될, 그녀의 아내를 두고 도망가는 주인공이 영화스타인 로버트 칼라일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 영화에서 굉장한 스타이며, 오프닝 신에서 당연히 그를 우리 영화의 영웅인 중요 캐릭터로 세워졌다. 그의 행동은 특별하게 사실적으로 느껴진다. 왜냐하면 영웅의 “행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우리의 기대와 반대로 갔기 때문이다. 그 기대는 압도적인 할리우드 영화의 주류에 의해 형성 지어진 것이다.

This introduces a very important second dimension to the realism debate. What we judge to be realistic is not just an assessment of how a film or scene relates to what we know of in the real world. Realism always involves an aesthetic judgement about how this vision of the real has been produced and how it relates to, or is in dialogue with, other representations. Realism is always in some sense an innovation, a break or some modification in the “audio-visual” toolkit of representation. It always stands in some relationship (which also includes borrowing and adapting) with other traditions and specific films, inviting acts of comparison.

이 소개는 리얼리즘 논쟁에 두 번째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리얼리즘라고 판단하는 것은 실제 세계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영화나 장면이 얼마만큼 연관되어 있느냐는 평가는 아니다. 리얼리즘은 언제나 실제에 대한 비전이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 와 얼마나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미적 판단을 포함하거나 다른 표현들과의 논쟁에 놓여있다. 리얼리즘은 항상 어떤 의미에서 재현의 “시청각”도구 내에서의 혁신이고, 변경점이거나 어떤 변형이다. 그것은 언제나 비교할 만한 무언가를 끌어들이는 다른 전통과 특별한 영화와의 어떤 관계 속에 놓여있다.

But to return to the earlier question: can the generic framework of the horror film and the specific subset of the “zombie film” be described as “realistic”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plausibility of “specific circumstances”?

그러나 초기의 질문으로 돌아가서: 공포영화의 일반적인 구조와 “좀비영화”의 특별한 부분이 “특별한 상황”의 그럴듯함의 정의에 따라 리얼리즘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The answer is “y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specific circumstances” depicted (zombies) becomes even more highly mediated than in the case of the specific action of Carlyle leaving his wife. Realism as a film genre provides a pool of conventions transcending the individual film, conventions that provide a kind of playground for the imagination. The figure of the zombie is certainly fertile territory for a Marxist analysis of capitalism. Like many monsters in the horror genre, the zombie is ambiguously placed between victim and aggressor. It is the complete Other and yet strangely familiar (like film itself vis-a-vis the real), and this ambiguit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 critique of social norms.

그 대답은 그렇다. 그러나 실제 세계와 “특별한 상황” 사이의 관계가 묘사했던 (좀비들), 아내를 남겨두는 칼라일의 특별한 행동의 경우에서보다 훨씬 더 고도로 매개되어있다. 영화장르로서의 리얼리즘은 독립영화를 초월하는 공동 관습의 저장고를 제공한다. 그 관습은 상상력의 넓은 영역을 제공한다. [좀비라는 인물은은 분명히 비옥한 토지이다. 자본주의의 맑스주의 분석가들에게.] 공포장르의 많은 괴물들 같이, 좀비는 애매모호하게 희생자와 공격자로 나타난다. 그것은 완전히 다른 것이지만 이상하게도 친숙하며(영화 스스로가 실재를 마주하는 것 같이), 그리고 이 애매성은 사회적 규범에 대한 비평의 가능성에 열려있다.

But more specifically, the zombie figure is a combination of both the masses and the ultimate commodity, where complete “thinghood” reigns. To be the “living dead” is the perfect image of life under capitalism. At this level,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a fictional world do not at all have to correspond with our everyday notions of “the realistic”. The most fantastical settings/scenarios can function, as Marxist cultural theorist Fredric Jameson has said, allegorically in relation to the real. Real world dynamics and processes are converted into stories and images that manageably deal with and represent them.1 What are often highly abstract concepts, such as reification, are given concrete form (here “zombiefication”).

그러나 더욱 특별하게도, 좀비라는 인물은 물질과 최고의 상품의 결합물이고, 완벽한 “사물성”이 지배하는 곳이다. “살아있는 죽음”이 되는 것은 자본주의 아래의 삶의 완전한 상상이다. 이 수준에서, 허구적 세계의 “특별한 상황”은 “사실적인 것”에 관한 우리의 모든 개념과 전혀 일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맑스주의 문화 이론가인 Fredric Jameson이 말했듯이, 대부분의 환상적인 설정/시나리오는 실재와 관련하여 비유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세계의 역동성과 과정은 쉽게 처리할 수 있고 표현될 수 있는 이야기들과 상상으로 전환되어질 수 있다. 굉장히 고도화된 추상적 개념들, 사물화(物化)와 같은 것들은 구체화된 형태로 주어진다. (여기서는 “좀비화”)

This second dimension to realism, the representational dimension, immediately begins to intertwine with another. Representation stimulates our aesthetic judgements and evaluations but these in turn inevitably invoke cognitive and moral judgements (as well as provoking a response from our “feelings”, which we have a much less developed language for analysing). We are provoked into a series of judgements (moral and cognitive) by the way the representation of the failure of love and solidarity in 28 Weeks Later differs from other representations.

리얼리즘에 대한 이 두 번째 차원, 재현화된 차원은, 즉시 다른 것과 얽히어 시작된다. 구상은 우리의 미적 판단과 평가를 자극하지만 이것들은 다음에 불가피하게 지적이고 윤리적인 판단을 호소한다. (우리의 “감정”으로부터의 반응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그 “감정”은 우리가 분석하기에는 말로서는 모자라다). [우리는 다른 표현과 차이가 나는 (지적이고, 윤리적인) 판단의 연속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28주 후에서 사랑과 연대의 실패에 대한 표현과 그 방식에 의해]

If it had been any other character than the one played by the star, Robert Carlyle, then the force and persistence of our judgement of his actions would not have been so strong in subsequent scenes, when he is re-united with his children. Typically a character who does what this character does is marked within the narrative as simply “a coward” or “a baddy”. This simplifies our moral judgements because it abstracts the action from the “specific circumstances” (the grounds for a proper materialist understanding) and instead imputes a fixed quality intrinsic to the individual. The concrete experience which this film offers us, the viewer, and the process of reflection on this experience constitute the third dimension of realism.

[만약 그 스타, 로버트 칼라일이 연기했던 것보다 다른 어떤 성격이었다면, 그의 행동에 대한 우리 판단의 힘과 고집은 다음의 신에서 그렇게 강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가 그의 아이들과 다시 만났을 때.] 이러한 성격을 할 수 있었던 전형적인 캐릭터는 단순히 “겁쟁이”나 “악인”과 같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내어졌다. 이 단순화는 우리의 윤리적 판단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특별한 상황”(순수 유물론자들이 이해를 위한 근거)으로부터의 추상화된 행동이고, 대신에 개인들에게 본질적으로 고정된 특성을 전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가 관객인, 우리에게 제공하는 구체화된 경험과 이 경험에 대한 반성의 과정은 리얼리즘의 세 번째 차원을 구성한다.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hold these three dimensions together in some sort of relationship: how this film relates to the real (the referential); how this film relates, as a mode of representation itself, to other representations (the representational); and how the viewer relates to this film, to the questions and problems it poses (the reflexive). These are the three “Rs” of realism.

어떤 종류의 관계 속에서 이 세 가지 차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중요하다. <얼마나 이 영화가 실제와 관련 있는지(지시하고 있는 것); 스스로의 재현 양식으로서, 이 영화가 다른 재현에 대해서 얼마나 관련 있는지, (재현화); 그리고 관객이 이 영화에 얼마나 관련되는지, 이 영화가 주장하는 질문과 문제에 대해서 (반응성).> 이것들은 리얼리즘의 세 가지 “Rs"이다.

Realism and Film

리얼리즘과 영화

The question of “realism” has had a complicated relationship to the concept of naturalism within film theory and, to varying degrees, film practice. The concept of naturalism predates the emergence of cinema and, as an aesthetic term, was associated with mid-19th century literature and drama (eg Zola and Strindberg). It has a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the concept of realism not least because, like realism, “character and action were seen as affected or determined by environment, which especially in a social and social-physical sense had then to be accurately describ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any account of life”.

“리얼리즘”의 문제는 영화 역사 내에서 자연주의 개념과 변화하는 수준, 실습 영화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왔다. 자연주의의 개념은 영화의 발생보다 앞서며, 미적 언어로서, 19세기 중반 문화, 연극과 관련이 있다. (예, Zola, Strindberg) [자연주의는 리얼리즘 개념과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적어도, 리얼리즘같이, “성격과 연기는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거나 결정이 되는 것처럼 보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 환경은 특별히 사회적이고, 사회-자연과학적인 의식 안에서 어떤 삶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되어져야 하는 것”]

From a Marxist perspective, however, “environment” is multi-levelled, and not all forces at work within an environment are necessarily immediately apparent. People’s actions cannot be understood as simply conditioned by their immediate circumstances. Yet the main basis for film’s claim on the real was often felt to be the camera’s capacity to provide a record of phenomena within their immediate environment. It was a record compellingly similar to the phenomenon it recorded and one which appeared to owe a lot to a mechanical automaticity that diminished the “distortions” of human subjectivity, so fitting in with the dominant, positivist, model of scientific enquiry. And as a record it could observe with a scientific accuracy that transcended the limits of the human eye, as in Eadweard Muybridge’s famous “horse in motion” photos.

그러나 맑스주의 관점에서 보면, “환경”은 다양한 차원이며, 환경 안에서 작용하는 모든 힘이 직접적이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분명하다. 사람들의 행동은 그들의 직접적인 환경에 의해 간단하게 조건 지어진 것으로서 이해되어질 수 없다. 아직도 실제에 바탕을 둔 주요 영화의 기본 주장은 그들의 직접적인 환경 내에서의 현상들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는 카메라의 역량이라고 종종 느껴질 수 있다. 그것은 기록된 현상에 대한 강제적이고 비슷한 기록이고, 인간의 주관성의 “왜곡”을 줄이려고 하는 기계적인 자동성에 많이 기인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지고, 지배적이고 실증적인, 과학적 탐구에 너무도 적절하다. [그리고 기록으로서의 그것은 인간 눈의 한계를 초월하는 과학적인 정확성으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에드워드 마이브리지의 유명한 “움직이는 말” 사진에서처럼.]

All this meant early debates about film inherited those that had accumulated around naturalism, but, confusingly, the term realism was universally applied because of film’s mimetic (imitative) power. Added to this, an often social democratic mode of detailed cinematic observation was extended to the working class in the aftermath of the Russian Revolution of 1917, which gave the “realist” form of the photographic image a real social content (from the New Objectivity movement in the Germany of the Weimar Republic to the Griersonian documentary and Mass Observation movements in the UK in the 1930s and 1940s).

영화가 그러한 것들을 물려받았다는 것에 관한 초기부터의 논쟁이 의미하는 모든 것은 자연주의 곳곳에서부터 축적되어져 왔지만, 혼란스럽게도, 리얼리즘의 용어에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졌다. 그것은 영화의 모방의 힘 때문이다.[ 이것에 더해서, 1917년의 러시아 혁명의 여파 속에서, 세밀한 영화적인 관찰의 사회적 민주적인 양식은 노동자 계급에 확대되어졌다. 실제 사회적인 내용을 담은 사진 이미지의 리얼리즘적인 형태를 가져온 1917년의 러시아 혁명] (독일 바이마르공화국에서 신즉물주의 움직임으로부터 1930년과 1940년대 영국에서 Griersonian documentary와 여론조사 운동에 이르기까지)

One Marxist theorist, associated mainly with literature, who tried to maintain a distinction between naturalism and realism was Georg Lukács. He charged naturalism with naturalising the status quo—treating it as a fact of nature—and missing the deeper (mediated) dynamics of social change going on under the surface of life. Obsessing with small mundane details drained of broader social significance, naturalism failed to select and arrange actively from all of life’s vast canvas the socially significant events and actions that could make sense of the world. Lukács even metaphorically associated these failings of literary naturalism with a particular “mechanical” medium: the “photographic reproduction of the immediately perceptible superfice of the external world”.4

주로 문학과 관련된 한 맑스주의 이론가인 Georg Lukács는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사이의 구분을 주장하려 했었다. 그는 현상유지와 삶의 표면 아래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사회적 변화의 깊이를 놓치고 있는 자연주의를 책망하였다. [작고 평범하고 사소한 일에 사로잡힘으로써 더 넓은 의미의 사회적 의미를 고갈시키는 자연주의는 모든 삶의 다양한 무대로부터 활발하게 선택하고 조정하는 것을 실패했다. 세계에 대한 감각을 만들 수 있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사건들과 행동들의 무대] Lukács는 심지어 문학의 자연주의에 대한 이런 실패들이 특별한 “기계적인” 수단과 은유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하였다. 특별한 “기계적인” 수단 : “외부 세계의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표면에 대한 사진의 재생산”

The film theorist who most eloquently articulated widespread cultural assumptions about the “realism” of the cinematographic and photographic image (Lukács’s perceptible external world) was Andre Bazin. He championed film-makers who put their faith in the capacity of the image to unfold the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 of a scene without obtrusive editing or expressionistic “distortions” of the mise en scène (the staging of the action through sets, lighting, figure movement and so forth).

영화와 사진의 이미지(Lukács의 인지할 수 있는 외부세계)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널리 퍼진 문화적 가설을 뚜렷하고 분명하게 표현한 영화 이론가는 Andre Bazin이다. 그는 영화제작자로서 활동하였다. 현란한 편집이나 표현주의적인 “왜곡”없는 연출에 의한 장면의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로서의 그들의 신념을 집어넣은 영화제작자로서 활동하였다. (세트, 조명, 인물의 움직임 등등을 통한 행동의 각색)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naturalism and realism can be best seen in the work of Ken Loach, whose films often crisscross over the borderline between these traditions. Where Loach’s stories are set in the context of revolutionary change, as in Land and Freedom (1995) and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2005), his films seem to combine a naturalistic attention to ordinary details, using Bazin’s favoured photographic style, with a brand of narrative realism closer to Lukácsian realism.

자연주의와 리얼리즘의 집합점과 분산점은 Ken Loach의 작업에서 잘 나타나 보일 수 있다. 그의 영화는 종종 이 전통들 사이의 경계선을 넘어 교차한다. 랜드와 프리덤(1995)과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2005)에서와 같이 혁명적인 변화의 관계 속에서 Loach의 이야기들은 시작된다. [그의 영화들은 자연주의적 관심을 일상적이고 사소한 일로 결합시키는 것처럼 보인다. Bazin의 유명했던 사진의 스타일을 사용하여, 루카치적인 리얼리즘에 가까운 서술적 리얼리즘의 브랜드와 함께]

Bazin’s tendency to equate naturalism and realism in film through the downplaying of authorial agency and subjectivity was criticised by others, who said it blocked film off from becoming an art form. The American avant-garde film-maker Maya Deren (who had a background in Trotskyist politics) dissected the many contradictions of this dominant naturalist/realist position in her 1946 essay, “Anagram of Ideas on Art, Form and Film”.

[작가의 작용과 주관성의 경시를 통해서 영화 안에서의 자연주의와 리얼리즘을 동등시하는 Bazin의 경향은 다른 이들에게 비판받았다.] 그것이 하나의 예술 형태가 되려는 것으로부터 영화를 차단한다고 주장하는 다른 이들. 미국의 아방가르드 영화제작자인 Maya Deren (그녀는 트로츠키적인 정치의 배경을 가지고 있다.)은 그녀는 1946년 에세이 “Anagram of Ideas on Art, Form and Film(예술, 형식 그리고 영화에 관한 이념의 철자바꾸기)”에서 이 지배적인 자연주의/리얼리즘의 위치에 대한 많은 모순을 분석 비판하였다.

Here Deren attacked the “current tendency to exalt the documentary as the supreme achievement of film”, pointing out the contradictory impulses behind this exaltation. On the one hand there is the claim of objectivity, but on the other there is the positive evaluation given to documentary films which display “lyricism or a use of dramatic devices”. Deren, quoting a documentary film-maker who admits to the various levels of selection and choices required to produce a documentary, concludes that only a cinematic form that openly admits that cultural heights require the “conscious manipulation of its material from an intensely motivated point of view” makes sense.

여기서 Deren은 “영화의 최고 성공으로서의 다큐멘터리를 칭찬하는 현재의 경향”을 공격했고, 이러한 칭찬 뒤에 모순적인 충동을 지적했다. 한편으로는 객관적인 주장이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정미나 드라마틱한 장치의 사용”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화에 가져다준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 Deren이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자의 말을 인용했듯이, 선택의 다양한 수준과 선택은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요구되며, 문화적인 절정은 강력하게 동기화된 견해로부터 소재의 의도적인 조작을 요구한다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고 결론 내렸다.

Deren also brilliantly attacked the positivist model of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a model that saw them as passively reflecting reality—which many naturalist/realist film practices tended to ground themselves in. As she put it:

Deren은 또한 자연주의의 실증적인 모델과 사회 과학들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수동적인 실제의 반영으로서 보여진 모델- 많은 자연주의/리얼리즘의 영화의 실천들은 그들 스스로를 땅에 떨어뜨리려는 경향이 있다. 그녀가 써놓았듯이,

Even in science—or rather, above all in science—the pivotal characteristic of man’s method is a violation of natural integrity. He has dedicated himself to the effort to intervene upon it, to dissemble the ostensibly inviolate whole, to emancipate the element from the context in which it “naturally” occurs, and to manipulate it in the creation of a new contextual whole—a new, original state of matter and reality—which is specifically the product of his intervention… The task of creating forms as dynamic as the relationships in natural phenomena is the central problem of both the scientist and the artist.8

과학에서조차도, - 좀더 정확히 말해, 특히 과학에서- 인간의 방식에 대한 핵심적인 특성 자연적인 본성의 침해이다. 그는 스스로 그것에 관하여 개입하기 위해, 표면상 침해되지 않은 전체를 무시하기위해, “자연스러운” 발생 속에서의 관계로부터 요소를 끊어버리기 위해, 새로운 관계의 전체의 창조 속에서 그것을 조작하려하고 노력한다. -사건과 실재의 새롭고, 본질적인 단계- 그것은 특별히 그의 개입에 의한 산물이다. 자연 현상 속에서의 관계만큼 역동적인 창조적인 형태의 작업은 과학과 예술 모두의 중요 문제이다.

Of course it was precisely the image of the objective scientist, observing without violating the “natural integrity” of the object under investigation, that underpinned both positivist science and Bazin’s model of the ideal film-maker as someone who preserved the temporal and spatial integrity of the scene with long shots and deep focus photography.

물론 그것은 객관적인 과학자의 정확한 이미지이다. 조사 중에 사물의 자연적인 본성을 침해하지 않는 관찰을 하는, 실증적인 과학과 이상적인 영화 제작자에 대한 Bazin의 모델 모두를 지지하는 롱샷과 딥포커스 사진으로 장면의 시간과 공간의 본성을 유지하였던 어떤 사람으로서

Curiously, given the materialism of her approach (evident in the passage quoted above), Deren sharply divided film off from having any of the cognitive possibilities of science. Instead, laying the basis for the later avant-garde of the 1960s and 1970s, she saw the role of film as constructing a ritualistic experience intoxicated with a playful manipulation and disruption of cinematic conventions (match on action, point of view shot, temporal continuity and so forth). Her influence can be detected in a film like David Lynch’s Lost Highway (1997).

이상하게도, 그녀에게 주어진 유물론적인 접근법에서(인용구절에서 분명히 주장했던), Deren은 뚜렷하게 과학의 인식력 있는 가능성들의 소유로부터 영화를 나누었다. 대신에, 1960년과 1970년의 후기 아방가르드에 대한 기초를 세우면서, 그녀는 의식주의적인 경험의 구성이 장난스런 조작으로 흥분시키는 영화의 규칙과 영화의 협정들의 붕괴를 보여주었다. (액션의 조화, 촬영 견해, 시간의 계속성 등) 그녀의 영향은 David Lynch감독의 로스트 하이웨이(1997)과 같은 영화에서 발견될 수 있다.

Deren’s turn away from the real in the 1940s came after a period of avant-garde experimentation across the art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s. Practitioners had often posed their play with artistic form as a search for modes of expression suitable to a modern world of urban living, mass culture, technologies of communication and social convulsions. In film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rgei Eisenstein and Dziga Vertov blazed a trail for developing film forms that could deal with the collective dynamics of social life. Here the emphasis was placed on montage editing (editing which brings different images into collision with each other, rather than continuity editing which establishes temporal and spatial continuity from one shot to the next).

1940년 Deren의 실재로부터의 외면은 1차 2차세계대전 사이에 예술과 교차하여 아방가르드 실험의 기간에도 계속되었다. 실천자들은 종종 예술적인 형태와 함께 그들의 활동을 도시생활, 대중문화, 커뮤니케이션의 기술과 사회적 격동의 현대 세계에 적당한 표현의 방식을 추구하는 자세를 취하였다. Sergei Eisenstein과 Dziga Vertov의 영화 이론과 실천에서 사회적 삶의 집합적인 동력들을 처리할 수 있는 발전도상의 영화 형식을 개척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몽타주 편집에 있다. (서로 다른 이미지들을 충돌시켜 가져다주는 편집, 한 장면에서 다음 장면까지 시간적이고 공간적인 연속성을 확립시키는 계속적인 편집보다 낫다.

But despite this referential orientation within what is sometimes called political modernism, no theoretical synthesis emerged in this period which could do three things simultaneously: (1) articulate a theory of realism from a position that was more than the advocacy of a particular approach or method (surrealism, constructivism, montage, etc); (2) provide a substantive account of the nature of the real (against which any example of realism must be judged); and (3) identify the problems involved in producing realist art in the age of advanced capitalism.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지시적인 지향은 때때로 정치적인 모더니즘이라 불리는 것 안에 있으며, 어떤 이론적인 종합도 이 기간 동안 세 가지 것을 동시에 할 수 있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1) 특별한 접근이나 방법의 옹호보다 더 많은 견해로부터 리얼리즘과 유기적으로 통합된 이론(초현실주의, 구성주의, 몽타주 등) (2) 실제의 본성에 대한 가치 있는 평가를 제공하는 것(평가되어져야 하는 리얼리즘 어떤 사례들에 관해서) 그리고 (3) 선진자본주의의 시대에 리얼리즘 예술을 만들어내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증명하는 것

Bertolt Brecht came closest to producing such a theory of realism in a series of short essays designed to critique Lukács. The latter had not only produced a very comprehensive critique of naturalism in literature, but he was also hostile to the sort of modernist currents that provided Brecht with much of his inspiration. Yet Brecht’s extremely effective riposte, which declared that a concept of realism “must be wide and political, sovereign over all conventions”, was not published until the late 1960s.

Bertolt Brecht는 Lukács를 비판하기 위해 계획된 짧은 에세이의 시리즈에서 그러한 리얼리즘의 이론을 만들어내는데 가장 가까 왔다. 후자는 문학에서의 자연주의의 매우 종합적인 비판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그는 또한 일종의 Brecht에게 매우 종합적인 비판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그의 영감의 대부분을 제공했던, 현대적인 흐름들에 적대적이었다. 그러나 Brecht의 극단적이고, 효과적인 반격은, 리얼리즘의 개념은 모든 협정들을 넘어서 광범위하고 정치적이고 독립적이어야 함을 주장했던, 1960년대 후반까지 출판되지 못했다.

Within film studies the 1970s saw a sharp turn away from the concept of realism. Any distinctions between realism and naturalism were collapsed, and any sense of realism itself as a complex and differentiated tradition was erased. The sort of avant-garde critique of realism made by Maya Deren returned with a vengeance, now underpinned by a heady brew of structuralism, post-structuralism, psychoanalysis and sometimes Althusserian Marxism.

1970년대 영화 연구들에서 리얼리즘 개념으로부터 뚜렷한 외면이 목격됐다. 리얼리즘과 자연주의 사이의 어떤 구별들도 사라져갔고, 리얼리즘 어떤 의미도 그 스스로 복잡해져갔고, 구별 지어진 전통은 지워졌다. Maya Deren에 의해 만들어진 리얼리즘의 아방가르드적 비평은 철저하게 돌아왔다. 현재 격렬한 구조주의에 의해 지지되었던, 후기 구조주의, 정신분석학과 때때로 아튀세르의 마르크스주의로.

Realist aesthetics, it was argued, encouraged a naive belief in the ability of the camera and of film to present an unmediated access to the real and, with this, uncritical modes of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whether fictional or real social actors in documentary). In masking the production of meaning a certain naturalness was accorded to the “content” of the film rather than seeing the content as a construct (the outcome of choices and decisions which have often been made as the result of ideological assumptions).

논쟁되어져왔고, 북돋아왔던, 미학의 리얼리즘은 카메라와 영화의 능력 안에서의 순수한 믿음을 실재에 대한 접근이 매개되지 않고 보여주는 카메라와 영화. 그리고 이것과 함께, 등장인물을 무비판적인 형식으로 동일시한다. (다큐멘터리 내에서 허구이거나 실제의 사회적 인물이든지 안던지 간에) 의미의 생산의 마스킹 과정에서 확실한 자연스러움은 구조로서의 내용을 보는 것보다 더 영화의 “내용”에 일치되어진다. 선택의 결과와 결정들은 종종 이데올로기적인 가설의 결과로서 만들어져왔다.)

This critique was certainly a strand of thought in the political modernism of the 1920s and 1930s. But what theorists like Brecht and Walter Benjamin never forgot was that questions of “form” always had their roots in a broader social content that was dynamic and contradictory. By contrast the avant-garde approach of the 1970s separated the question of form off from its broader social context.

이 비평은 확실하게 1920년대와 30년대의 정치적 모더니즘의 사상의 뿌리이다. 그러나 Brcht와 Walter Benjamin과 같은 이론가들이 결코 잊고 있지 않은 것은 바로 “형식”의 문제가 항상 역동적이고 모순적인 더 넓은 사회적 내용 속에 그들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1970년대의 아방가르드적인 접근과 대비해서 더 넓은 사회적 의미로부터 형식의 문제를 분리했었다.

This sweeping dismissal of anything that might remotely be termed “realism” produced an extremely reductive account of mainstream cinema.

“리얼리즘”이라고 불리게 될 어떤 것의 싹 쓸어버리는 무시는 주류 영화의 극단적이며 환원적인 설명을 생산했다.

For example, even in 28 Weeks Later there are modifications and subversions of conventions and audience expectations that might be the occasion for a critical awareness of the mediated nature of representation in general. After the initial opening, where we see Don leaving his wife, the audience expects some sort of narrative arc of redemption for this character. But that is rather brutally put paid to a little later on. This refusal to follow through on the expected story structure is similar to the kind of playful unravelling of narrative conventions in a Godard film of the 1960s. Indeed 28 Weeks Later is not a million miles away from the nihilism of Godard’s Weekend (1967).

예를 들어, 28주후에서 조차, 변형과 관례의 전복이 있고, 관객의 기대는 연출의 매개된 자연의 비판적 인식에 대한 경우가 될 것이다. 처음의 오프닝 후에, Don이 그의 아내를 떠나는 것을 보게 되면서, 관객은 이 주인공에 대한 일종의 구원의 이야기 구조를 기대한다. 그러나 오히려 조금 나중에 잔혹하게 결말난다. 예상되는 이야기 구조를 끝까지 추구하는 것에 대한 이 거절은 1960년대 Godard 영화에서의 서술적 관례들의 장난스런 해명의 종류와 비슷하다. 실로 28주후는 Godard의 영화 Weekend(1967)의 허무주의와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By the 1980s the rejection of realist aesthetics had become a rejection of realism as a philosophical proposition with the rise of postmodernism. Postmodern theory (if not always postmodern art) abolished the referential dimension of realism and moved away from the avant-garde’s vision of the work of art as autonomous and having universal codes of representation. Instead postmodernism grounded the representational dimension entirely in the linguistic or discursive “community” of different identities and groups, each with its own aesthetic, moral and cognitive schemas. Within such a worldview any notion of shared interests, a shared world, or grounds for a meaningful dialogue between identities became difficult to sustain. This is why the three “Rs” of realism must be thought of as inseparable.

1980년대에 현실주의 미학에 대한 거절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부흥과 함께 철학적인 제안으로서 리얼리즘의 거절이 되어버렸다. 포스트모던 이론(항상 포스트 모던 예술이 아니라면)은 리얼리즘의 지시적 차원을 폐지하고 자발적인 예술의 작업인 아방가르드의 비젼으로부터 옮겨가고, 연출의 보편적인 코드를 가진다. 대신에 포스트 모더니즘은 완전히 연출적인 수준에 근거를 두고 있다. 언어학이나 서로 다른 개인들의 산만한 “사회”와 그룹 안에서, 각각 미적이고, 윤리적이며, 인식적인 윤곽을 가지고 그러한 세계관 안에서 공유된 관심들, 공유된 세계의 어떤 개념들이나 개인들 사이에 의미있는 의견교환을 위한 준비는 유지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것이 리얼리즘의 세가지 “Rs"가 나눌 수 없는 것으로서의 생각되어져야 할 이유이다.

Despite the decline of postmodernism, the concept of realism has yet to recover from the intellectual assault it sustained. This should not be an acceptable situation for Marxists, however, for whom the concept of realism remains central as a philosophical principle. On aesthetic matters, realism does not hold quite the same universal applicability. It may, for example, be less relevant to a lot of music or poetry. But in film (and in the novel), where storytelling of an extremely diverse sort predominates, realism deserves the priority which Marxists have traditionally accorded it. And so what follow are 11 theses on realism and then some elaborations in an attempt to provide some ammunition for the left on the question of realism.

포스트모더니즘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리얼리즘의 개념은 아직 그것을 유지하는 지적인 습격으로부터 복구되지 않았다. 이것은 맑스주의자들에게 받아들일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에게 리얼리즘의 개념은 철학적인 원리로서 중심에 남아있다. 미적인 수단으로서, 리얼리즘은 같은 보편적 응용가능성으로 적용될 수 없다. 예를 들어, 그것은 아마도 많은 음악이나 시에 더 적게 상응할 것이다. 그러나 영화에서(그리고 소설에서), 매우 다른 종류의 이야기들이 우세하는 곳에서, 리얼리즘은 맑스주의자들이 전통적으로 그것을 따라왔듯이 우선할만한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것은 11가지 리얼리즘에 관한 11가지 테제와 약간의 상세한 말들이다. 리얼리즘의 문제에 남겨진 것에 관한 어떤 공격수단을 제공하는 시도 속에

------------------------

11 Theses on Realism

Realism is the exploration of aspects of the conflict-ridden and contradictory nature of social relationships.

리얼리즘은 갈등으로 점철된 측면의 탐구와 사회적 관계의 모순적 성질을 띠고 있다.

II

The contribution which realism makes to the development of our thinking and feeling (identification/empathy) is also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our consciousness of the social conditions that shape our thinking and feeling.

리얼리즘은 우리의 생각을 개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감정(일체감/공감)은 또한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형성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우리 의식의 발전에 기여한다.

III

Realism must overcome the socially determined limitations on cognition and feeling that inevitably impact on its own form and content.

리얼리즘은 그것의 형식과 내용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끼치는 인식과 감정에 있어 사회적으로 한정된 제한들을 극복해야 한다.

IV

Form is the conversion into aesthetics of what are socially and historically conditioned ways of seeing.

형식은 사회적으로나 역사적으로 조건 지어진 시각기법의 미적인 전환이다.

V

The common mistake of discussions around cinematic realism in the West is to fixate on a particular form of representation as “realistic”, based on superficial appraisals of “life-likeness”.

서양에서 영화적 리얼리즘에 입각한 논의의 공통된 실수는 “삶과 같음”의 형식적인 평가에 기반을 둔 “사실적인” 재현의 특별한 형식에 리얼리즘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VI

The history of forms expands the repertoire available for potential realist culture, but no form offers any guarantees of realist work.

형식의 역사는 가능한 리얼리즘 문화를 가능하게 하는 레퍼토리로 확장한다. 그러나 어떠한 형식도 리얼리즘의 작업에 대한 어떤 보증도 제공하지 않는다.

VII

Critiques and affirmations of particular forms may be more or less valid in particular instances and contexts, but no analysis of such forms can be assumed to be universally and timelessly appropriate; but neither can it be assumed that the reproduction of forms, with or without modification, in any new context, automatically repudiates earlier critiques or confirms earlier affirmations.

특별한 형식에 대한 비평과 긍정은 특별한 경우와 정황에 있어서 다소 효과적일 것이지만, 그러한 형식에 대한 어떤 분석도 보편적이고 영원하게 전유한다고 당연하게 생각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어떤 새로운 정황에 있어서, 변형이 있든지 없든지, 형식의 재생산이라고 생각되어질 수는 없다. 자동적으로 더 이른 비평을 거부하던지 더 이른 확정을 단정한다던지 간에

VIII

The content of realism may stretch from the personal and the intimate all the way to the epochal, historical and global.

리얼리즘의 내용은 개인적이고 친숙한 것으로부터 획기적이고, 역사적이고, 세계적인 범위로 확장해 갈 것이다.

IX

Realism interrogates the dogmas of the day as they are propagated, honed and defended by dominant social interests in every sphere of life. Realism expands the critical faculties of the public sphere and any instance of it is ultimately part of a broader collective praxis.

리얼리즘은 모든 삶의 범위 안에서의 지배적인 사회적 관심들에 의해 선전되고, 불평되고, 옹호되었던 시대의 독단적인 견해를 계속 문제 삼아야 한다. 리얼리즘은 공적인 범위의 비평적인 능력을 확대하고 모든 경우는 더 넓은 집단적인 실습의 최후의 분야이다.

X

The economically induced impediments to adequate thought, feeling and ultimately practice include: the false universality of the commodity form (all men are equal in exchange and in the eyes of the law); and the false concreteness of the commodity form, where physical materiality (this person, this object, this place) is shorn of the web of social interconnections/relations that are its conditions of existence.

돈은 충분한 생각과 감정에 장애를 유발하고, 결국에 실천은 다음을 야기한다. 상품 형식의 거짓된 보편성(모든 인간은 매매와 법의 시야에서 평등하다.) 그리고 상품형식의 거짓된 구체화, 물리적 물질성(이 사람, 이 물체, 이 장소)은 사회적 상호연결/관계들의 웹망이 공유되고 있는 것처럼 보는 존재의 조건들이다.

XI

Realism requires developing the mediations (interlinkages) between social agents (intersubjectivity) and between social agents and the circumstances they find themselves in (their object world). The mediations of capital are fundamentally dissymmetrical, dislocated and antithetical to an association “in which the free development of each is the condition for the free development of all” (Marx).

리얼리즘은 사회적 행위자들(상호 주체) 사이에 매개체(연결)와 그리고 사회적 행위자들과 그들이 (그들의 객관적 세계에서) 그들 스스로를 찾아내는 상황을 발전시킬 것을 요구한다. 자본의 매개들은 근본적으로 “각 개인의 자유로운 발전은 모두의 자유로운 발전을 위한 조건이 된다(맑스)”라는 연합사회에 비대칭되고, 어긋나고, 대조된다.

Some elaborations

Thesis I.

This defines realism in relation to an aim—the exploration, with some degree of complexity, of social relations—and immediately insists that the central feature of social relations that ought to occupy realism is their conflict-ridden and contradictory nature. The absence of conflict and the erasure of contradiction must be viewed, from the realist position, as problematic. Thus realism is to some extent thrown into conflict both with the classical aesthetic principles based around harmony and unity and with the contemporary injunctions of the mass media to “entertain”.

하나의 목표를 향한 관계 속에서 이 리얼리즘에 대한 정의들과 - 사회적 관계들의 약간의 복잡한 수준의 설명 - 리얼리즘을 사용하는 사회적 관계의 주요한 형태에 대한 즉각적인 요구들은 그들의 만연한 갈등과 모순적인 본성이다. 갈등의 부재와 모순의 제거는 개연적인 것으로서의 사실적인 자세로부터 고려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리얼리즘은 어느 정도 갈등 속으로 내몰렸다. 조화와 통일성의 주위에 기초를 두는 고전적인 미학의 원리와 “entertain"하기 위한 현시대적 대중매체의 개입과 함께

Conflict and contradiction are distinct if interlinked terms: the former refers to frictions between social agents (individuals and groups)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way social practices and the conflicts they generate between agents become internalised within those agents, thus dividing them against themselves as well as others (this in particular is where the richness of drama is often to be found). The social relations in question here—and the ones out of which and in response to which realism in the modern epoch emerges (at first in literature)—are of course capitalist.

갈등과 모순은 서로 연결된 의미들이라면, 구별된다. 전자는 사회적 행위자들(개인들과 그룹들) 사이에 마찰을 가져오는 반면에 후자는 사회적 실천 수단이나 갈등을 가져온다. 그리고 중재자들은 내면화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을 자신들과 나누는 것이 된다. (그중에서도 이것은 드라마의 호화가 종종 발견되어지는 곳에서) 여기서 문제되는 사회적 관계들은 당연히 자본주의적인 관례이다. 거기에서부터 온 것과 근대시기에 리얼리즘에서 나온(문학에서 처음에)

Art, wrote the Bolshevik writer Aleksandr Voronsky, “is the cognition of life in the form of sensual, imaginative contemplation”.11 Film, as with all forms of art, has its own peculiar laws of cognition, its own mod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so this “contemplation” is not in any way a passive process. Developing a theme that has run through much Marxist cultural theory in the 20th century, Voronsky argues that art has the potential of retuning our perceptions of life that have become dulled by the routines and habits of an alienated world. This disjuncture between everyday modes of seeing (often saturated with ideological reflexes) and more adequate cognition was central to Marx’s scientific project in Capital. It is also central to artistic realism.

볼셰비키의 작가 Aleksandr Voronsky는 예술은 “관능적이고, 상상력 풍부한 명상의 형태 안에서 삶의 인식이다.” 예술의 모든 형식으로서의 영화는 자신만의 독특한 인식의 법칙, 자신만의 생산과 소비에 관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 “명상” 어떤 식으로든 수동적인 과정들이 아니다. 테마의 발전은 20세기에 많은 맑스주의 문화이론을 통해서 떠올랐고, Voronsky는 예술은 소외된 세계의 습관과 관례에 의해 무디게 되어버린 삶에 대한 우리 인식의 잠재된 조율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각(종종 이데올로기적 반작용으로 충만했던)의 모든 형태 사이의 분리와 더욱 충분한 인식은 자본주의에서 맑스의 과학적 연구에 중요했다. 그것은 또한 예술적 리얼리즘에 중요하다.

Thesis II.

Realism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thinking and, as consciousness is embodied, feeling) and consciousness of the social conditions (our social being, as Marx put it) shaping our consciousness. Realism is an inherently reflexive project because it develops consciousness’s awareness of its own material basis.

리얼리즘은 의식(생각과 구체화된 된 의식, 감정) 사이의 관계와사회적 조건(맑스가 이야기했듯이, 사회적 존재)에 대한 의식의 우리의 의식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탐구한다. 리얼리즘은 본래적으로 반영적인 연구이다. 왜냐하면 그것만의 물질적 토대에 대한 의식의 자각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It is worth underscoring that affect is as important as cognition, since to separate the one from the other is to collapse once more into a disembodied consciousness, whereas the whole point of realism is to reconnect mind and body, the latter being the first material condition of existence for consciousness, even as it is entwined with the wider material conditions of social relations.

감정은 인식만큼 중요하게 강조할 값어치가 있다. 하나를 다른 것으로부터 나누는 것은 실체가 없는 의식으로 붕괴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하여 리얼리즘의 전체적인 상태는 몸과 마음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고, 후자는 의식을 위한 존재의 첫 번째 물질적 조건이 되고, 마침 그것이 사회적 관계의 더 넓은 물질적 조건들과 엉키었을 때에,

Identification with other represented social agents is a particularly powerful feature of cinema because of its combination of movement (which replicates agency) and iconic resemblance of photographed people, whether fictional characters or real “social actors”. The alignment between spectator and spectacle, which the process of identification seeks to effect in dominant cinema, is often primarily affective, outed through our socially sedimented “heart” or “guts” via narrative and editing techniques. Yet the trace of some cognitive caveats that the standard Hollywood film has to negotiate is evident in the fact that our primary figures of identification (the cop, the teacher, the soldier) are usually distanced from the institutions and bureaucracies they are located in. While fantastically inflating the individual at one level, at another level it implies that these social structures are not really “working”, making for a fissured and contradictory process of identification. A more realistic representation would look for a rebalancing of the relation between cognition and feeling, liberating the latter from sentimentalism, but certainly not eradicating feeling.

[다른 묘사된 사회적 중재자들과의 일체화는 특히 영화의 강력한 특성이다. 운동의 조합(반복된 작용)과 사진에 찍힌 사람들의 유사성 때문에, 허구적 등장인물들이나 실제 “사회적인 인물”이라하더라도.] 관객과 볼거리 사이의 일치는, 동일화의 과정이 지배적인 영화에 영향을 끼치려고 하는, 흔히들 우선적으로 감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쪼개진 우리의 “마음”이나 “감정”을 이야기와 편집기술을 통하여 전했다. 표준 할리우드 영화가 협상해야 했던 어떤 인식적인 경고의 흔적은 동일시(경찰, 선생, 군인)의 중요한 인물들이 실질적으로 그들이 몸 담고 있는 기관과 관료로부터 거리지어진다는 사실에서 분명해진다. 반면에 터무니없게 과장된 개인에게, 한 기준에서, 또 다른 기준에서, 이러한 사회적 구조들은 진정한 “노동”이 아니라는 것을 함축하며, 일체화의 과정을 쪼개고, 모순되게 몰아간다. 더 많은 리얼리즘적 표현은 인식과 감정 사이의 관계의 재조정을 기대하게 될 것이고, 감정주의로부터 후자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지만, 분명하게 감정을 뿌리 뽑는 것은 아니다.

Thesis III.

If realism is grounded in an exploration of the conflict-ridden and contradictory nature of social relations, and if it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and those relations, then it must also overcome the limitations which social being has imparted to culture itself. This overcoming is to be found at both the level of content (and here the extension of representation to new, hitherto invisible or forgotten, marginalised or culturally disempowered social agents has been a significant feature of realism and naturalism) and form.

만약 리얼리즘이 갈등으로 만연하고 사회적 관계들의 모순적인 상황의 설명을 위해 있다면, 그리고 만약 의식과 그러한 관계들 사이에 관계에 관해서 설명해야 한다면, 그것은 또한 반드시 문화 그 자체에 주어진 사회적 존재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이러한 극복은 내용(그리고 여기서 새로운 것을 표현하기 위한 확장, 지금까지는 보이지 않거나 잊어버린,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리얼리즘과 자연주의의 중요한 특성이었던 사회적 행위자들로부터 문화적으로 권력을 빼앗었던)과 형식의 수준 모두에서 찾아질 수 있는 것이다.

Thesis IV.

This defines cultural forms as modes of “seeing”. In the cinema this means literally sensuous visuality as well as “seeing” as a metaphor for comprehension and understanding. Such ways of seeing are the conversion into a particular medium of ways of seeing that are grounded in technology (including the technology of the medium itself), social relations, political conjunctures and philosophy. There’s a wonderful image in Errol Morris’s documentary, The Fog of War (2004)—a critical account of the life of former US defence secretary Robert McNamar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e was a statistician for General Curtis LeMay’s bombing raids over Japan. In one scene we see the bomb bay doors open over Japan, but instead of bombs falling out numbers are superimposed, dropping through the sky to the land below. This is what Walter Benjamin would call a “dialectical image”—crystallising in a flash a whole philosophical argument about how rational scientific knowledge has become yoked, under capitalism, to the most barbaric and irrational actions. This is an example of a way of seeing that is critical of how others (McNamara and the war machine) see.

이것은 “보기”의 형태로서 문화적 형식을 정의한다. 영화에서 이것은 이해와 함축을 위한 은유로서의 “보기”만큼 글자그대로 감각적인 시각성을 의미한다. 그러한 보기의 방법들은 보기의 방법들의 특별한 수단으로의 전환이다. 그러한 수단들은 기술(수단 그 자체로서의 기술을 포함하여), 사회적 관계들, 정치적 국면과 철학에 입각한다. Errol Morris의 다큐멘터리, The Fog of War(2004)-전 미국무부 장관 Robert McNamara의 삶에 대한 비평적인 설명-에서 환상적인 장면이 있다. 2차 세계 대전 동안에 그는 Curtis LeMay의 일본에 대한 폭탄 공습에 관한 통계학자였다. 한 장면에서 우리는 일본 위에서 폭탄투하실의 문이 열리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대신에 떨어지는 폭탄의 수들이 겹쳐지고, 하늘에서 땅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끝난다. 이것이 Walter Benjamin이 “변증법적인 이미지”라고 부르게 될 것이다. 합리적인 과학적 지식이 자본주의 아래 대부분의 야만적이고 불합리한 행동들과 어떻게 결합되는지에 관한 전체적인 철학적 논쟁이 한 순간에 결정화되어 보여진다. 이것은 다른 이들(McNamar와 전쟁광)이 어떻게 보는지에 관해 비판적으로 보기의 방법에 관한 하나의 예이다.

But the previous theses tell us that ways of seeing may convert precisely those structured impediments to understanding that are part and parcel of ways of being. The star system and its buttressing of “the hero” would be a case in point. But every form, including the star system, is always potentially a site of struggle, as the example of 28 Weeks Later suggests.

그러나 이전의 테제들은 우리에게 보기의 방식이 구조화된 장애물들을 존재의 방법의 한 부분인 이해로 정확하게 전환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타 시스템과 “영웅”에 관한 그것의 지지는 적절한 경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스타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은 투쟁의 중요한 위치이다. 28주 후의 한 예가 제안한 것처럼

Every cut in a film makes a choice not only about what to see, but how to see (comprehend) what we have just seen (and will see). Jonathan Nossiter’s documentary Mondovino (2004) charts the global battle in the wine business between small-scale producers using artisanal working practices, for whom wine-making is an art and above all a use-value, and large_scale producers operating globally with mass production methods, for whom the commercial value of wine ultimately trumps its use-value. In an interview with one large-scale US wine producer and his wife next to his swimming pool, we hear how they designed their garden and bought their trees, shrubs and bushes from Italy. This, we are told is a statement, a “showcase for our wines, our lifestyles, our commitments to charity”. On the word “charity” the film cuts to an automatic machine swimming around the pool, evidently cleaning it. This cut hints at a level of luxury and commodity fetishism that works to counterpoint the philanthropic image being projected by the interviewee and his wife, and presupposes the realist proposition of a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social environment (being) which it is important to take account of when making judgements about the interviewee’s discourse.

영화에서 모든 컷이 선택하는 것은 보는 것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이제껏 봤던(그리고 보게 될) 것을 어떻게 알게 되는 지이다. Jonathan Nossiter의 다큐멘터리 Mondvino(2004) 와인 사업에서의 세계적인 투쟁을 기록했다. 와인 제작은 하나의 예술이고 무엇보다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기는 장인의 작업 기술들을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생산자들과 대량 생산 방법으로 세계적으로 경영하는 거대한 규모의 생산자들, 그들은 와인의 상업적인 가치를 그것의 사용가치의 으뜸으로 한다. 한 거대 규모의 미국 와인 생산자와 부인이 소유한 수영장에서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들이 어떻게 이탈리아로부터 그들의 정원과 나무, 관목, 관목 숲을 사오는지에 관해 들었다. 우리에게 전해진 이것은 “우리의 와인들, 우리의 삶의 방식들, 우리의 자비를 위한 헌신을 보여준다”라고 하는 진술이다. “자비”라는 말이 끝나자마자, 영화는 수영장 주위를 헤엄치는 자동기계를 편집하는데, 분명하게 그것을 잘 표현한 것이다. 이 컷은 사치와 상품의 물신화의 차원에서 넌지시 비춘다. 인터뷰 받은 사람과 그의 부인에 의해 비추어진 인정 많은 이미지를 대조하여 작업한, 의식과 사회적 환경(존재) 사이의 관계에 관한 리얼리즘적 명제를 전제하고 있다. 인터뷰 받은 사람의 담화에 관해 언제 판단해야 하는가는 중요한 일이다.

Thesis V.

Discussions of form that separate it from content an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constitute a fetishisation of form that short circuits our critical faculties rather than fostering them. Within the West conventions that have reproduced certain spatio-temporal understandings, causal linkages and often fairly thin and conventionalised character motivations have laid undisputed claim to the mantle of realist art. Within cinema Hollywood is often the yardstick against which realism is defined. But forms, whether institutionalised by Hollywood or developed elsewhere, cannot be realist in and of themselves; nor should any form or genre (no matter how apparently “fantastic”) be seen as inherently unusable from a realist perspective.

내용과 역사적인 정황으로부터 그것을 분리하는 형식에 관한 담론은형식의 맹목적 숭배를 구성한다. 그것들을 키우는 것보다는 차라리 우리의 비평적인능력들을 간단하게 한다. 서양의 관습 안에서 일정한 시공간에 관한 이해들과 인과적 연결들을 재생산해내고, 종종 분명히 희박하고 관습화된 등장인물의 동기부여는 사실적 예술의 장막에 분명한 주장을 하고 있다. 영화 내에서의 범주는 종종 할리우드가 리얼리즘의 정의에 관해 판단, 비교의 척도이다. 그러나 형식, 할리우드나 발전된 그 밖의 어느 곳에서 규정되어지든 말든 간에, 리얼리즘이 될 수 없고, 스스로도 될 수 없거나, 어떤 형식이나 장르도 리얼리즘적 이해로부터 본래적으로 쓸모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But what has tended to happen is that the use of a particular style, such as grainy film stock, hand held cameras, and zoom lens, has often been enough to convince critics that this or that film (fiction or documentary) has grasped the social and historical dynamics it deals with. And yet, great film though it is in many ways, The Battle Of Algiers (Gillo Pontecorvo, 1965) today largely escapes critical scrutiny because it conforms to a popular and, within the West, still widely held notion of “realism”.

그러나 무엇이 일어날 경향인지는, 이를테면 거친 영화 필름, 핸드 헬드 카메라들, 그리고 줌 렌즈와 같은, 특별한 스타일의 사용은 종종 비평가들을 확신시키기에는 충분했었다. 이 영화나 저 영화(창작이나 다큐멘터리)가 포착하려 했던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역동성을 다루려했던,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록 여러 가지 면이 있지만, 위대한 영화 The Battle of Algiers(알제리전투, Gillo Pontecorvo, 1965), 오늘날 비평의 감시를 벗어났다. 왜냐하면 대중성을 따랐고, 서구 내에서, 여전히 넓게 “리얼리즘”의 개념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Similarly, the Dogme 95 manifesto famously identified a ten-point set of rules that were intended to be antithetical to the overly elaborate big budget studio production. These rules were to be adhered to with an ironic determination every bit as rigidly as Hollywood sticks to its rules and conventions. But the cognitive and emotional power of the Dogme film Festen (Thomas Vinterberg, 1998) derives from the articulation of a form designed to strip away cinematic over-elaboration and “artifice” with a story content that strips away the layers of social artifice that conceal the corruption of a bourgeois family. The form allows the film to attack its subject matter with a ferocity appropriate to the content, reinventing the country house genre along the way.

비슷하게, Dogme 95는 유명하게 명시한 10가지 규칙들을 설정하여 성명을 발표하였다. 지나치게 복잡한 거대 예산 스튜디오 프로덕션과 대조를 이루려 했다. 이러한 규칙들은 할리우드가 그들의 규칙들과 관습들을 고집하는 것만큼 완고하게 여러 면에서 반어적인 결정들을 충실히 하려 했다. 그러나 Dogme film Festen (Thomas Vinterberg, 1998)의 인식과 감정적인 힘은 형식의 정확한 표현으로부터 비롯되며, 지나치게 복잡한 것을 벗겨내고, 유산자 계층의 부패를 숨기는 사회적인 기교의 층등을 벗겨내는 이야기 내용을 담은 “기술”을 기획했다. 그 형식은 영화를 허락한다. 잔인성을 가지고 그것의 주제를 공격하는 영화가 그 내용에 적절하게, 컨츄리 하우스 장르가 따르는 방식을 재창조한,

Thesis VI.

Once life-likeness, however variably defined in accord with prevailing cinematic fashions, has ceased to be a reliable criterion for realism, then the vast and diverse and unfolding history of forms becomes available to realism. One day perhaps the game aesthetics of Run Lola Run (Tom Tykwer, 1998), with its repetition-with-slight-difference narrative structure and Polaroid snapshots of the future trajectories of marginal characters Lola makes contact with on her running mission, will be harnessed to a story about the random and arbitrary outcomes of a market economy out of control. Certainly the film hints tantalisingly at how its formal strategies are bursting out of the straitjacket of the irreversible linear narrative structure. But as it is, Run Lola Run can hardly be credited with much in the way of cognitive reach.

그러나 한번이라도 살아있는 듯한 느낌은 유행하는 영화의 패션과 일치하여 다양하게 정의되었지만, 그것은 리얼리즘의 믿을만한 기준으로 사라지게 되었고, 방대함과 다양성과 형식의 전개 역사는 리얼리즘에 이용가능하게 되었다. 어느 날 아마도 Run Lola Run(Tom Tykwer, 1998)의 게임의 미학은, 그것의 반복과 함께, -약간의 차이나는 서술적 구조와 함께, 그리고 폴라로이드 스냅샵. 주변인물인 Lola가 그녀의 수행 미션과 마주치게 만드는 미래의 궤도에 대해서, 통제할 수 없는 시장경제의 무작위적이고 임의대로의 결과에 관한 이야기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확실하게 그 영화는 기대를 부추기도록 암시한다. 공식적인 계획들이 뒤집을 수 없는 일직선의 서술적 구조의 엄격한 제한들을 어떻게 갑자기 터뜨리는지에 관해.] 그러나 그대로, Run Lola Run은 거의 믿어질 수 없었다. 대부분의 인식적인 방면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고

Similarly, Steven Soderberg’s Traffic (2000) suggests the unrealised potential of numerous narrative strands that barely connect the characters but do revolve around drugs. But the potential to expand economic and social dynamics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while also decentring the causal agency of the individual character is badly undermined by a predominant focalisation on how rich white elites are affected by drugs, by stereotypical character development and by the failure to ground the drugs trade in anything other than “bad people”.

비슷하게, Steven Soderberg의 Traffic(2000)은 실현되지 않은 잠재적인 다수의 서술적 요소들, 거의 연결되기 힘들 것 같은 주인공들에 관하여 시사하였지만 마약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그 잠재성은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역동성을 지리적이고 문화적으로 확장하지만 또한 개별적인 주인공들의 인과적 작용의 벗어남은 대단하게 파헤쳐진다. [두드러진 초점의 집중을 통해, 어떻게 부유한 화이트 엘리트들이 마약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지에 관한, 진부한 캐릭터의 전개와 “나쁜 사람들”를 제외한 마약거래의 실패에 의해]

But with Syriana (2006), directed by Steven Gaghan, the screenwriter of Traffic, and produced by Steven Soderberg, a modified version of these formal strategies achieves considerably more as an example of realist cinema. Here the multiple strands are more strongly connected, not necessarily in terms of characters meeting each other but in terms of th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Those actions are in turn grounded not in their personal moralities (good or bad) but in their location within the institutions, organisations and structures of global capitalism. Finally, whereas Traffic was overly focused on the white American elites, this film traverses the spectrum of class and geography, charting the narrative trajectory of a young man from Pakistan working in the Middle East, getting shafted by a Western oil company, beaten up by the police of a generic Middle Eastern dictatorship, and becoming gradually seduced into an act of terrorism by Islamic fundamentalists.

그러나 Traffic의 시나리와 작가인, Steven Gaghan에 의해 연출되었고, Steven Soderberg에 의해 제작되었던 Syriana(2006)은, 이러한 공식적인 방법의 변형된 버전이 이 영화의 한 사례로서 더욱 크게 성공하였다. [여기서 다양한 요소들은 더욱 강력하게 연결되어졌다. 각각의 주인공들 간의 만남에 의해서가 아닌, 그들의 행동의 결과에 의해서.] 그러한 행동들이 이번에는 그들의 개인적인 도덕성들에(좋음과 나쁨) 기초를 두고 있지 않지만 제도와 조직과 세계적 자본주의 구조들 안에 그들의 위치를 기초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Traffic이 지나치게 미국의 화이트엘리트들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이 영화는 계층과 지역의 스펙트럼을 자세히 고찰하고 있으며, 중동에서 파키스탄의 노동자 출신인 젊은이의 서술적 궤도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는 서양의 석유회사에 의해 속임을 당하게 되고, 일반적인 중동의 독재정권의 경찰에게 두들겨 맞고, 점차적으로 이슬람 근본주의자들로부터 테러행위를 하게끔 꼬임을 당하게 된다.

For all these reasons Syriana is also a substantially better investigation of state and corporate capital links and conflicts than not only Traffic but also the overly praised British film The Constant Gardener (Fernando Meirelles, 2005), which tries but largely fails to interrogate the pharmaceutical industry’s activities in Africa. The Constant Gardener, for example, utterly fails to disprove the long established critique of the classical narrative’s simplistic problem-solution structure, with its preposterous ending whereby public exposure brings down the bad individual civil servant who wants to cover up unethical practices. For this film it appears to be bad apples that are the problem, whereas for Syriana, it is the barrel itself.

[이러한 모든 이유 때문에, Syrian는 또한 국가에 대한 조사와 자본으로 연결된 회사와 투쟁을 Traffic 뿐만 아니라 극찬된 영국 영화 The Constant Gardener (Fernando Meirelles, 2005) 역시 더 실질적으로 표현했다. 아프리카에서의 제약 회사의 활동을 심문하려했던 것을 실패한 내용을 다룬,] [예를 들어, Constant Gardener는 고전적인 이야기의 문제와 해결의 구조에 관해 극적으로 단순화하는 것에 관한 오랫동안 확립된 비평을 논박하는 데는 순전히 실패하였다. 비윤리적인 행위들을 감추기를 원하는 나쁜 개별적인 공무원들을 공적으로 폭로하는 터무니없는 결과와 함께.] 이 영화에 있어서, 암적인 존재가 문제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 반하여 Syriana는 그것 자체로 the barrel(?)이다.

Thesis VII.

There is a long history of debates about realism. There is the critique of naturalism (which itself has been open to a wide range of definitions), the critique of illusionism, the critique of the classical narrative, the Brechtian critique, surrealism (as a critique and critiques of its critique), Third Cinema and so forth. Such debates provide important resources for us today. A constant balancing act has to be attempted between a radical historicism, which would say that these forms and their critiques are only valid within their particular contexts, and the temptation to mechanically apply a given critique of forms to new contexts and practices.

리얼리즘에 관한 논의의 오랜 역사가 있다. 자연주의의 비판 (그것 자체로 정의의 넓은 범위에 열려있었던), 환상주의의 비판, 고전적 서술에 관한 비판, 브레히트적인 비판, 초현실주의(비판과 그것의 비판에 대한 비판으로서), 제 3영화 등등이 있다. 그러한 논의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방편을 제공한다. 끊임없이 조화로운 행동은 합리적인 실증주의와 유혹 사이에서 시도하려 해왔다. 이러한 형식들과 그들의 비평들이 오직 그들의 특별한 배경 하에서만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는 합리적인 실증주의와 새로운 배경들과 실천들이 주어진 형식의 비평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려는 유혹 사이에.

Those who say Brechtianism constitutes an answer and those who say that Brecht’s time has passed seem equally unhelpful. Peter Watkins’ epic La Commune (1999) would certainly suggest that there is life in the Brechtian dog yet.12 At the same time some of the categories which have been used to dismiss less obviously reflexive and “experimental” forms of documentary as naively realist, and therefore not really realist, might well have underestimated the complexity and combination of formal strategies at a micro level at work beneath the catch-all critique of “realism”. In short our overarching theoretical categories must be enriched (rather than simply confirmed) by proceeding on a case by case basis.

브레히트주의를 말하는 그들은 하나의 답을 구성하였고, 브레히트의 시대가 지나갔다고 말하는 그들은 똑같이 유용해보이지는 않는다. [Peter Watkins의 서사시적 작품 La Commune(1999) 분명하게 시사했다. 브레히트의 개 안에 삶이 있다고.(?)] 동시에 그 범주의 일부는 덜 명백한 반영과 순수한 리얼리즘으로서의 다큐멘터리의 “실험적인”형식을 버리도록 하게하며, 그러므로 확실한 리얼리스트가 아니면, 복잡성과 작업 중인 아주 작은 수준에 있어서 공식적인 방법들의 조합을 “리얼리즘”의 포괄적인 비평 보다 낮게 과소평가하게 될 것이다. 한마디로, 우리의 무엇보다 소중한 이론적인 범주는 풍부해져야 한다. (단순하게 굳건히 하는 것보다) 개별적인 사례의 의거한 행동을 통해서

Thesis VIII.

The personal is political, as the feminist slogan has it, but only if the personal is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broader social conditions impinging on the person. Surrealism has been one form in which this has been explored,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fantasies, associations and investments that people make and have in the social world around them. Surrealism excavates these dynamics by disrupting the commonsensical patterns of order, sequence, logic and relationships that repress our awareness of them.

개인성은 정치적이다. 페니스트의 슬로건이 정치성을 갖는 것 같이, 오직 개인성이 더 넓은 사회적 조건들에 의해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에 관하여 이해될어질 수 있다면 초현실주의 상상들과 관념의 연합, 사람들이 그들을 둘러싼 사회적 공간에서 창조하고 소유하는 것에 노력을 들이는 것들에 상세하게 초점을 맞춰왔다는 점에서 하나의 형식을 이룬다. 초현실주의는 이러한 역동성을 발굴한다. 순서, 결과, 논리와 그들에 대한 우리의 자각을 억압하는 관계들의 상식적인 패턴들을 분열시킴으로써.

Although “anti-realist” in style, it is eminently realist in terms of the criteria mapped out above, especially in its concern to reveal the link between psychology (consciousness/unconsciousness) and material things, themselves embodiments of material relationships. Simon Aeppli’s surrealist documentary short Eden (2004), focusing on a small Protestant town in Northern Ireland, gently but politically captures a community and identity in decline, living out a fantastic, bizarre and dislocated relation to its real material conditions.

스타일상 반-리얼리즘이지만, 위에서 얘기한 기준에 의하면 분명한 리얼리스트이고, 특히 심리(의식/무의식)와 물질적인 것 사이의 연결을 드러내려고 하는 그것의 관계 속에서, 그들 스스로 물질적인 관계의 구체화이다. Simon Aeppli의 초현실주의 다큐멘터리 단편 Eden (2004)은, 북쪽 아일랜드에 작은 프로테스탄트 마을에 초점을 맞추고, 친절하지만 정치적으로 터무니없고 기괴하게 삶을 이어가고 있고, 진정한 물질적 조건의 관계들이 뒤바뀐, 쇠퇴한 공동체와 개인들을 포착한다.

Thesis IX.

The measure of realism is the depth of its critical and cognitive power. This inevitably brings it into conflict with, and requires interrogation of, the intersection between belief systems and dominant social interests (ideology). The recent emergence of feature film documentary as a prominent player within the sphere of public opinion formation has evidently crystallised around the great assault on corporate capitalism, consumerism and globalisation of market relations that has been such a welcome feature of the recent political landscape. Implicit in this, and sometimes explicit as in Robert Greenwald’s Outfoxed: Rupert Murdoch$7_$_s War on Journalism, is a critique of the inadequacies of the mainstream news media agenda. In many ways media criticism has gone mainstream (see also Michael Moore’s Bowling For Columbine, which features an extensive critique of news media).

리얼리즘의 측정은 그것의 비판적이고 인식력에 대한 깊이이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리얼리즘에게 믿음 체계와 지배적의 사회적 관심사들(이데올로기적인) 사이에 투쟁과, 그것들의 심문을 요구하고, 그것들 사이의 교차점을 가져다준다. 두드러진 활동가로서 영화 다큐멘터리 특성에 대한 최근의 발생은 여론 형성의 범위 내에서, 기업의 자본주의, 소비자 중심주의와 시장관계의 세계화 에 대한 대단한 비난을 둘러싸고 분명하게 구체화되었다. 최근의 정치적 토양의 환영받는 특성이어 왔던, 이것이 내재하고, 때때로 Robert Greenwald’s <Outfoxed: Rupert Murdoch$7_$_s War>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 영화는 주류 뉴스 매체의 협의사항의 부적절한 점에 대한 비평을 담고 있다. 다방면에서 언론 비판은 주류가 되어버렸다.(마이클 무어의 Bowling For Columbine을 봐라, 언론 매체에 대한 광범위한 비평을 특생으로 삼고 있다.

The economic underpinnings of the news media, their closeness to the state, the limits to their repertoire of conventions, all this is in uneven, doubtless partial, but indisputably general, popular circulation. We can detect the effect of this in the use of archival news footage, whose recontextualisation in many contemporary documentaries hints at a reflexive dissatisfaction with the agencies that originally produced the footage.

언론 매체의 경제적 기반, 국가에 대한 그들의 친밀감, 관습의 그들의 레퍼토리에 대한 제한, 이 모든 것은 공평하지 않으며, 의심 없이 편파적다. 그러나 명백하게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상황이다. 우리는 기록된 뉴스 보도를 사용하여 이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많은 동시대의 다큐멘터리에서 재맥락화함은 처음에 보도를 만든 중재자들에 대한 불만족이 반영된 것을 넌지시 비추고 있다.

For example, Michael Moore’s Fahrenheit 9/11 (2004) opens with unbroadcast footage of the principal protagonists’ or rogues’ gallery involved in propagating the war in Iraq. Here they are: Bush, Rumsfeld, Rice, Powell, Wolfowitz, all being prepared on separate occasions for the television cameras prior to broadcast; microphones are being clipped on, make-up applied, hair brushed and so forth. It’s a series of shots over the credit sequence (including Bush making childish faces to the camera) that nicely makes the point about image displacing reality and the lack of critical interrogation of the pro-war case by the television networks.

예를 들어, Michael Moore’s Fahrenheit 9/11 (2004)는 방송을 타지 않은 주요 지도자들과 악당들의 이라크 전쟁 선전과 관련된 사진 보도와 함께 시작한다. 여기서 그들은 Bush, Rumsfeld, Rice, Powell, Wolfowitz, 모든 사람들이 텔레비전 카메라가 방송하기 전의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 있다. 마이크로폰을 고정시키고, 메이크업을 하고, 머리를 빗고 있는 등. 그것은 크레딧 시퀀스 위에 장면의 연속이다. (부쉬가 카메라에 어린이 같은 얼굴을 만드는 것을 포함해서) 그것은 사실성을 바꾸어 놓은 이미지에 관한 포인트와 텔레비전 네트워크에 의한 전쟁 전의 경우에 관한 비판적인 심문의 부족을 훌륭하게 만들어냈다

Later on in the film, in the context of an exploration into who is fighting in Iraq (soldiers from poor backgrounds in the main) and who is dying in Iraq (ordinary Iraqis in the main), we see a clip of a Bush speech. Bush is dressed in a tuxedo and is speaking to the rich and powerful. We know this because he tells us. They are, he suggests, an “impressive crowd: the haves and the have-mores” (cue contented laughter from the audience); and then this: “Some people call you the elite. I call you my base.”

이 영화에서 후에, 이라크 전쟁의 배경에 누가 있는 지에 대한 조사하고 (대체적으로 가난한 배경 출신의 군인들) 이라크에서 누가 죽어가고 있는지(대체적으로 보통의 이라크인들), 우리는 Bush 연설의 클립을 보게 된다. Bush는 턱시도를 입고, 부유하고 강함을 말한다. 우리는 그가 우리에게 말하기 때문에 이것을 알고 있다. 그가 제안한 그들은 “강한 인상을 주는 무리들 : 소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소유한” (관객으로부터 웃음소리를 담고 있는 큐 사인) 그리고 나서 이것 “어떤 사람들은 당신을 엘리트라고 부른다. 나는 당신을 나의 기반이라고 부를 것이다.”

That Bush can so openly make such a joke without fear of repercussion or embarrassment, without fear that it would be picked up “as news” and shown, tells us an awful lot about the agendas of the corporate media and their complicity with power. For this “joke” ought really to be (it has come from his own mouth after all) the last word on what Bush represents. The fact that it wasn’t and that the film, despite being the biggest box office hit for a documentary in US history, failed in its self-appointed task to mortally wound Bush’s re-election campaign, is a testimony to the fact that, while it was an important intervention into the sphere of public debate, that clip and the film as a whole circulate in a context where other representations and discourses overwhelmingly predominate: eg the president as an embodiment of the national interest, the nation as a unified people, the market as a generator of wealth, business elites as “job creators”, riches well earned and so forth. Yet the fact that the film was made at all, that it was as critical as it was and that it was seen by so many people, reminds us agai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its conditions of existence—and that realism is never an isolated property “belonging” to a film but is a product of the relations between theory (eg the critique of imperialism) and practice (the worldwide anti-war movement), their fusion being praxis.

Bush는 공공연하게 영향이나 당혹의 두려움 없이 그러한 농담을 할 수 있을 것이고, “뉴스”로서 꼽게 될 두려움 없이, 그리고 우리에게 보여지고 전해진 기업의 매체의 협의 사항과 권력과 함께한 그들의 공모에 관한 지독히 많은 것들을 이 “농담”에 관해서 Bush가 표현한 것은 정말로 마지막 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어찌됐든 그의 입에서 나오게 됐다.) 그것이 아니라는 사실과 그 영화의 사실은 미국 역사에서 다큐멘터리로서 큰 규모의 박스오피스 히트를 쳤음에도 불구하고, Bush의 재선 운동에 치명타를 입히겠다고 자칭한 임무에 실패했다. 그 사실에 관한 증언이지만, 그것은 공적인 논의의 범위 안에서 중요한 개입이었다. 모든 것을 유포함으로써의 클립과 영화는 다른 표현들과 논쟁들의 배경 하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예를 들어, 국가적 관심의 구체화된 대통령, 단일화된 사람들로서의 전 인류, 부의 발생으로서의 시장, “일자리 창출자”로서의 비지니스 엘리트들, 잘 벌고 있는 부자들 등등. 그 영화가 만들어졌다는 사실, 그만큼 비판적이라는 사실,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줬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의식과 존재의 조건들 사이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 그리고 리얼리즘은 결코 영화에 대해 “개별적인” 성질이 아니며 그것은 이론(예,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과 실천(세계적인 반전쟁의 움직임) 사이의 관계에 대한 생산물이다. 그것들의 혼합은 praxis가 된다.

Thesis X.

The commodity, as Marx noted, is “a very queer thing”. Its universal drive to penetrate every aspect of our lives is built into its indifference to particularity, culture, value-systems, geography, difference and use-value. In the eyes of the commodity, everyone and everything is levelled in an act of practical abstraction. Any consciousness and practice that do not grasp the real differences between what are necessarily antagonistic interests exist within the parameters of a commoditised universe. Where, for example, the media cultivates a “vertical” identification (as with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cross hierarchically arranged differences, there the pseudo universality of the commodity form holds sway.

맑스가 기록하였듯이, 상품은 “매우 기묘한 것”이다. 그것은 우리 삶의 모든 측면에 스며들도록 하는 보편적 경향은 특수성, 문화, 가치 체계, 지역성, 차이와 사용가치에 대해 무관심하도록 만들어졌다. 상품의 시야에서, 모든 사람과 모든 것들은 실용적인 추상적 개념에 의해 수준지어진다. 어떤 의식과 실천도 실제적인 차이를 잡아내지 못한다. 상품화된 다수의 요소 안에서 존재하는 대립하는 관심사들이 필수적으로 무엇인지 예를 들어, 미디어가 “수직적” 동일시를 계층적으로 교차하는 차이들을 조정하여 장려한다면(국가적 정체성의 구성을 위해), 상품형식의 거짓된 보편성이 지배하게 된다.

Because this universality is false, it cannot be the grounds for hoping that the cosmopolitanism of the commodity form will unite the world. Resources that are made scarce for the majority because they are monopolised by the minority can be shorn up by fostering difference and division and misunderstanding where real solidarities and alignments could and should exist. Again the media’s blockage of the possibilities for such “horizontal” identifications (in news and fictional forms) constitutes a fundamental impediment to developing a realist culture. Where the commodity form appears to be most “concrete” and particular it is again concealing its abstraction. The concrete is not to be confused with the physicality of person, place or thing. Taken out of their context, their conditions of existence, people, places and things are empirical ciphers of unacknowledged forces.

이런 보편성은 거짓되기 때문에, 상품 형식의 세계시민주의가 세계를 하나로 통합하려고 하는 희망을 위한 근거일 수 없다. 자원은 대다수에게 부족하게 만들어졌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소수에 의해 독점되어지고, 차이와 나눔과 오해를 심화함으로써 공유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진정한 결속들과 정렬들이 존재할 수 있고 존재해야하는 곳에서. 그러한 “수평적” 동일시를 위한 가능성들에 대한 미디어의 방해는 또다시 (뉴스와 허구적인 형식들에서) 리얼리즘적 문화의 발전에 대한 근본적인 장애물들을 구성한다. 상품 형식이 가장 “구체화”되고 상세화되어 나타날 수 있는 곳에서, 그것은 다시 그것의 추상적 개념을 숨기려 한다. 구체화는 개인, 공간이나 사물의 신체적 특징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의 배경, 그들의 존재의 조건들을 끄집어낸다면, 사람들, 장소들, 사물들은 인정되지 않는 강압의 경험적인 열쇠가 된다.

Thesis XI.

If the social totality is an unsymbolisable limit point to our consciousness and representations, then realism is an open ended and unfinishable project, a spur to renewed efforts rather than a closed and fixed answer to problems. While unfinished and approximate (the hallmark of dialectical knowledge, as Lukács reminds us in a late work) realism remains an indispensable part of our social being and our cultural resources: we can work against the grain of bourgeois economics and the institutions of class society to piece together the conditions of existence that are repressed and disavowed within the reified public sphere.

만약 사회적인 전체성이 우리의 의식과 표현에 대해 비 상징화할 수 있는 한계지점이라면, 리얼리즘은 정해진 답이 없으며 미완성의 연구이다. 문제에 대한 닫혀있고 고정된 답보다는 차라리 새로운 노력을 위한 자극이 될 것이다. 반면에 미완성되고, 가깝게 접근한 (변증법적 지식의 정확한 증명, Lukács가 후기 작업에서 우리에게 상기시켰듯이) 리얼리즘은 사회적 존재와 문화적 자원의 없어서는 안 될 부분으로 남아있다. 우리는 유산과 계급의 성질과 존재의 조건들을 함께 모으는 계층 사회의 제도에 대항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그것들은 구체화된 공적인 범위 내에서 억압받아왔고, 부정되어졌다.

Developing the mediations between social agents means developing their rational critical faculties and that in turn means developing their communicative and decoding abilities—all important aspects of a progressive, realist film culture. In Supersize Me (2004) the director Morgan Spurlock famously vomits up a McDonald’s meal early on in his month-long McDonald’s-only diet. But this is more than a particular incident or an example of bad luck. This vomit is no empirical cipher. He is vomiting up the real relationship between his body and capitalism, a relationship that becomes repressed (kept down) as his body adapts and acclimatises itself to the new diet. The film, through a variety of strategies, builds up the mediations which reveal how corporate junk food penetrates the body and makes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sick in a more long-term and potentially fatal sense.

사회적 중재자들 사이의 매개를 개선시키는 것은 그들의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능력의 발전을 의미하고, 그 전환 은 그들의 활발한 의사소통의 발전과 재능들을 설명을 의미한다. - 진보하는 리얼리즘 영화 문화의 모든 중요한 측면. [Supersize Me (2004)에서 감독 Morgan Spurlock은 초기 한 달 동안 먹은 맥도날드의 식사를 토해냈다. 오직 식사를 위해.] 그러나 이것은 특별한 사건이거나 불운의 한 사례가 아니다. 이 토해냄은 경험적인 열쇠가 아니다. 그는 그의 몸과 자본주의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토해내고 있는 것이다. 관계는 그의 몸이 새로운 음식에 적응하고 순응함으로써 억압되어진다. 그 영화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기업의 정크 푸드가 몸에 어떻게 스며드는지와 오랜 기간 동안 아픈 사람들의 숫자를 증가하게 만들고 몸에 잠재적으로 치명적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매개체를 확립한다.

Realism must inevitably be reflexive, not in a narrow stylistic sense, but in the sense that it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its material ground. When social being is conflictual and contradictory, when what we do (eg harm ourselves with the food we eat) and what we aim at (eg stay alive by taking daily intakes of nourishment) part company so systematically, then consciousness and social being also become estranged. The goal of a critical, dynamic realism is to spin some connecting webs that pull consciousness and social being closer together.

리얼리즘은 반드시 반영적이어야 하고, 협의의 문체적인 의미는 아니며, 의식과 물질적 배경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는 의미이다. 사회적 존재가 투쟁적이고 모순적일 때, 우리가 행해야 하는 것과 우리가 체계적으로 의견을 달리하는 동료들을 도와주어야 하는 것 그리고 나서 의식과 사회적 존재는 또한 멀어지게 된다. 비판적이고 역동적인 리얼리즘의 목표는 의식과 사회적 존재를 모두 가깝게 끌어당기는 연결망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

시리아나(2005)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3. 02:01

영화 첫장면 테헤란. 어딘가 분주할 것 같지만 하늘밑에 고즈넉하게 깔린 먼지같은 막이 열정과 활기의 발산을 막습니다. CIA 요원 밥은 외부와 차단된 차고안에서 정체를 정확히 알수 없는 이와 미사일 거래를 합니다. 물건을 내놓고 그 대가로 돈을 받으면 그만인 비지니스. 그러나 밥은 미사일의 사용 내역을 알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받아쳐 나온 말을 신경끄라는 매몰찬 소리일 뿐. 그리고 얼마나 지났을까요. 한복판 도로의 침묵을 깨뜨리는 자동차 폭파 소리가 영화 관람객의 청각을 놀래킵니다. 그러나 밥은 아무 미동 없이 가던 길을 계속 갑니다.


스위스 투자자문 회사에 근무하는 .우연한 기회로 레바논 왕자의 초청을 받아 파티에 참석하지만 애석하게도 아들이 풀장에 뛰어들었다가 감전사합니다. 눈앞에서, 그것도 화기애애한 파티장에서 일어난 자식의 죽음.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만나줄 의사조차 표현하지 않았던 왕자는 그 사건과 연관지어 그에게 접근하게 되고, 그는 순식간에 왕자의 경제고문이 됩니다.


한편 미국으로 건너가면, 정유계는 거대 정유기업간의 합병문제로 시끄럽습니다. 그 와중에 변호사 베넷 홀리데이는 그 합병건을 담당하게됩니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가면서 법률적 문제라던지 협상이 진행되었던 과정에서 있었던 석연찮은 점이 하나둘 발견되면서 그는 깊은 고민에 휩싸이게 됩니다.


그리고 두 정유업체의 합병으로 졸지에 실업자가 된 레바논 거주 파키스탄인도 있습니다. 개 중에 어떤 이는 점점 서구의 부조리한 세계 운영과 석유를 둘러싼 암투의 그림자를 보게 되고, 결국 캠코터를 향해 유언을 차분하게 읊어나갑니다.


이 영화를 보면서 복잡한 구성의 '트래픽'이 떠오르는 것도 무리는 아닐겁니다. '시리아나'역시 '트래픽'과 매우 비슷한 이야기 체계를 가지고 있죠.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들이 특정 문제에 맞닥드려 서로의 간극이 좁아지거나 아예 하나의 이야기로 귀결되는 테크닉은 시리아나에서도 여실히 구사됩니다. 트래픽의 각본을 쓴 스티븐 개건이 감독과 각본을 겸한 '시리아나'는 전작 '트래픽'보다 한층 직접적이고 스케일또한 커졌습니다. 영화는 검은 황금 석유을 둘러싼, 석유만큼 검은 비리들이 판을 치는 실상을 적나라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흐물흐물하지도 않게 묘사함으로서 그 주제로서 긴장을 유지합니다. 우리가 보고 있는 서구와 이슬람의 갈등은 종교의 차원이 아닌 고갈될 날이 머지않은 석유를 둘러싼 알력다툼이라고 위치는 다르지만 석유문제에 관해 우리와 느끼는 처지나 강도는 비슷할 네 사람을 통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스릴러라고 하기엔 내용이 워낙 복잡하고, 감독 자체도 그다지 스릴러적 요소에 비중을 크게둔것 같지 않습니다.  


스토리는 그 자체의 구성뿐만이 아니라, 인물의 다차원적 성격까지 더해져 점점 복잡하게 진행되갑니다. 여느 영화와 마찬가지로 이 영화 역시 아랍 출신 졸부들을 그다지 좋은 시선으로 쳐다보고 있지는 않지만, 오직 한 사람 레바논 국왕의 첫째 왕자만이 근대적 마인드를 가지고 레바논뿐만 아니라 대서구 관계까지 바꾸려는 긍정적 인물로 그려져 있습니다. 영화 전반을 관통하고 있는 비관성 가운데 유일하게 새로운 변화를 상징하고 있다는 것이죠. CIA 요원 밥은 자신이 뭐 하는지 모른체 계속해서 방황하고 있고, 로버트 역시 아들의 죽음과 맞바꾼 꿈에 한껏 취해있고, 베넷은 불법과 합법사이의 절충안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죠. 어린 파키스탄인 역시 어느 정도 긍정성을 머금고는 있으나 그의 힘은 미약했고 결국 시도할수 있는 경우의 수는 한가지, 테러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레바논 왕자는 보다 구체적이고 확고한 나름의 비전을 가지고 있었고 그리고 그것을 실현할 재력까지 가지고 있었지만, 미국주도의 세계판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왕위계승자리를 한가로이 당구나 치는 동생에게 빼앗기게 됩니다.


하지만 긍정성을 벗어나 희망의 관점에서 찾아본다면, 저는 오히려 맷 데이먼이 연기한 로버트 우드먼에게서 그 것을 찾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우드먼이라는 캐릭터가 석유를 둘러싼 영화속 암투속에서 감독이 관객들에게 선사한 유일한 인간성이 부연된 인물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어쩌면 아들의 죽음에 가장 큰 책임을 져야할자임에도 왕자라는 신분때문에, 그리고 그가 가지고 있는 미래를 향한 비전과 함께 따라올 명예과 금전적 이익 때문에, 왕자에게 탄복하고, 그의 심복을 자처한 우드먼은 오늘날 우리의 모습과 너무 닮아있습니다. 가정에는 점점 소홀해지는건 당연지사. 그러다 왕자가 폭탄테러로 죽게되고 순식간에 모든게 날아간 우드이 찾아간 곳은 가정이었습니다. 남은 어린 아들은 아빠에게 달려가고, 아내는 그를 향해 옅은 미소를 짓고 말이죠.


다양한 이야기들이 중첩되는지라 주연이라는 특권을 누리는 배우는 없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무난한 연기를 펼쳐주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최근작 '마이클 클레이튼'의 연기가 훨씬 훌륭했다고 판단하는 입장이지만 이 영화에서도 조지 클루니는 강한 역을 들고나와 역시 강하게 표현했습니다. 그동안 대외적 이미지와는 달리 영화속에서는 잘생긴 얼굴을 활용한 역할을 맡아온 그에겐 이 영화는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맷 데이먼 역시 기능적으로 무난하게 연기한 편이였고요. 다만 제프리 라이트는 역할 자체가 심심했던지,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캐릭터임에도 다른 캐릭터에 눌린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었습니다.  자살테러의 파키스탄인을 연기한 카이반 노박도 영화 흡인력에는 전혀 지장없는 연기를 보여주었습니다.


조지 클루니는 인터뷰에서 시리아나에 대해 '이 영화의 스타는 각본'이라고 말하면서 이 영화는 특정 배우가 빛을 발하는 영화가 아닌 앙상블의 결과라고 설명한바 있는데, 참 적절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마이클 무어와 같은 다큐멘타리류 영화를 제외해 놓고 최근 할리우드 주류안에서 가장 정치적인 영화지만 결코 흥분하지 않는 시리아나. 트래픽의 엔딩장면 기억나시는지요? 시리아나의 엔딩을 장식하는 새하얀 화면과 그 직전에 등장한 씬 역시 보기에 따라 이런저런 해석이 튀어나올 것 같습니다.



수정 : 윽! 제가 포스팅하면서 순간 '트래픽'과 '크래쉬'를 혼동해서 써버렸네요. 아카데미 작품상과 돈 치들 부분은 수정합니다.

:

Dogme 95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2. 23:27

아래 내용은 영문 위키Dogma 95에서 살짝 베껴 온 것이다. 오역 및 무지로 인한 오도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도그마 선언 Dogma 95는 1995년 Lars Von Trier,Thomas Vinterberg, Kristin Levring,Søren Kragh-Jacobsen에 의해 시작된 아방가르드(Avant-Garde)1
영화제작을 의미한다.

이 운동은 Dogma 95 Collective(도그마95 집단) 또는 Dogma Brethren(도그마 동포, 조합)으로도 불리운다.
도그마 운동은 1995년 3월 22일 상업영화의 불확실한 미래를 정관(靜觀)2 하고 영화
백주년을 축하하기 위해서 모인 영화계의 엘리트들이 모인 자리인 Le cinéma vers son deuxième siècle 회의에서 발표되었다

도그마의 정신은  라스 폰 트리에의 Breaking the waves(비록 도그마 필름은 아니지만)에 영향을 끼쳤다. 첫번째 도그마 필름은 빈터버그의 1998년작인
Dogma #1으로도 알려진 Festen(The Celebration) 평단의 열띤 호응을 이끌어 내었으며, 그해의 칸느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폰 트리에의 유일한 도그마 필름인 백치들(Idioterne-The Idiots, or Dogma #2)는 상대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 두 작품 이후로 다른 감독들에 의해서 도그마 정신을 계승한 작품들이 제작되었는데, 미국 감독인 Harmony Korine의 Dogma #6로도 알려진 Julien Donkey-Boy등이 있다.

도그마 강령의 목적은 고비용의 과도한 특수한 효과, 제작 후 변경등의 기믹(gimmick)3 을 거부함으로써 영화제작의 순수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순수성의 강조는 제작자로 하여금 실제 스토리와 배우들의 연기에 집중할 수 있게끔 해준다. 내러티브, 주제,작품의 흐름에서 유리되어진 과잉생산을 자제함으로써 관객 역시 보다 적극적일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라스 폰 트리에와 토마스 빈터버그는
필름이 따라야 할 10가지 규칙을 발표하게 된다.
순결서약(Vow of Chastity)으로도 불리우는 이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반드시 현지에서 촬영을 해야만 한다.
   영화소도구와 무대가 인위적이어서는 안된다
   (만약 특정 소도구가 스토리 상 필요하다면 그 소도구들이 있는 곳이
   촬영장소로 선택되어져야만 한다)

2. 영상과 관계 없이 사운드가 만들어져서는 안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물론
   (촬영씬내에 존재하지 않는 음악은 사용되어선 안된다)

3. 카메라는 들고 찍어야 한다. 손놀림에 의한 어떤 동작들도 허용된다.
(카메라는 고정되어서는 안되며 연기가 이루어지는 곳에서만 촬영되어져야한다)

4. 촬영은 컬러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별한 조명은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빛이 너무 부족하거나 과도하다면 그 씬은 삭제되거나
   카메라에 하나의 램프를 붙일수는 있다)

5. 시각작업이나 필터는 금지된다.

6. 피상적이거나 천박한 행동이 포함되어선 안된다
   (살인, 무기등 또한 일어나서는 안될만 한  상황)

7. 현실에서 벗어난 시공간은 금지.

8. 장르 영화는 허용되지 않는다.

9. 최종적으로 영화는 와이드 스크린이 아닌 4:3 비율의 35mm필름으로 만들어져야만 한다. (원래는 Academy 35mm필름으로 촬영되어야만 한다고 요구하였으나, 이 원칙은 저예산 제작에 있어서는  유동적으로 적용되어진다)

10. 감독은 크레딧에 올라가서는 안된다.

이 규칙들은 첫번째 도그마 필름에서부터 우회되거나 파괴되어졌다.토마스 빈터버그는 The Cebration(Festen)에서의 한 씬을 촬영하는 동안 창문을 가렸다고 고백했으며, 특별한 조명과 소도구를 사용하기도 했다.

Dogma 95 웹사이트 http://www.dogme95.dk/ 에 도그마 필름들의 리스트가 있다.

  1. 아방가르드 - 군대용어로써 주력부대의 전진을 위한 길을 정찰하고 예비하는 임무를 갖는 전위대를 의미한다. 예술분야에서는 급격한 진보적성향을 일컫는 말이다 [본문으로]
  2. 정관 - 심사숙고하다, 고요히 사물을 관찰하여 그 이치를 생각함,[철학]대상의 안에 있는 본질적인 것을 마음의 눈에 비추어서 바라보는 것 [본문으로]
  3. 기믹 gimmick
     ①관심을 끌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생각 또는 트릭. 본래는 장터의 약장수나 요술장이가 군중을 교묘히 속이  수법. 오늘날에는 관객의 주의를집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상의 트릭으로 극적인 순간에 충격효과를주기 위해 준비되며, 갈등의 막바지해결에 자주 이용된다.
     문학에서는오 헨리의 단편에서 볼 수 있으며 영화에서는 히치콕(Alfred Hitchcock)의 위기영화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다. 신문광고의 경우 자기회사에 관한 기사가 퍼블리시티로서 신문에 기사화되는 당일에 광고를 게재하거나,TV CM의 경우 상품의 일부가 돌출되어 움직이는 것 등을 말한다.
    ②다른 유사 프로그램과 구분되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특성.
    ③상황을 풀어나가기 위한 구도 장치
    [본문으로]

출처 : kanerho.tistory.com/142

:

브레히트 [Bertolt Brecht, 1898.2.10~1956.8.14]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5. 21. 22:09
독일의 시인 ·극작가. 제1차 세계대전 중에 위생병으로 육군병원에서 근무하였다. 반전적이며 비사회적 경향을 보였다. 제대군인의 혁명 체험의 좌절을 묘사한 《밤의 북소리》(1922)로 클라이스트상()을 수상하였다.
국적 독일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독일 바이에른주 아우크스부르크
주요수상 클라이스트상(1922)
주요작품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1939) 《푼틸라씨와 그의 하인 마티 Herr Puntila und sein Knecht Matti》(194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생애 Das Leben des Galileo Galilei》(1943)
 

바이에른주 아우크스부르크 출생. 뮌헨대학 의학부 재학 중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위생병으로 소집되어 육군병원에서 근무하였다. 반전적이며 비사회적 경향을 보이면서, 제대군인의 혁명 체험의 좌절을 묘사한 《밤의 북소리 Trommeln in der Nacht》(1922)로 클라이스트상()을 수상하였다. 희곡 《바알 신 Baal》(1919)과 《도시의 정글》(1923) 등이나, 풍부한 환상과 냉정한 객관성, 그리고 시민사회에 대한 도발을 곁들인 서정시 《가정용 설교집 Die Hauspostille》(1926)으로 주목을 받았다. 정서적이며 환상적인 연극과 오페라의 부정을 목적으로 한 스캔들에 찬 오페라 《마하고니시()의 흥망》(1929)과 음악극서푼짜리 오페라 Die Dreigroschenoper》(1928)를 시도하는 한편, 서사적 연극의 발상을 발전시켜, 사회 기구를 비판하는 희곡에 많이 반영시켰다.

1920년대 후반부터 마르크스주의에 접근하여, 교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교육극과 고리키의 작품을 각색한 《어머니 Die Mutter》(1930)와 《도살장의 성() 요한나 Die heilige Johonna der Schlachthöbe》(1932)를 썼다. 1933년 나치스가 정권을 잡자 그는 덴마크로 망명하여, 반()파시즘 활동을 계속하면서 《제3제국의 공포와 빈곤 Furcht und Elend des Dritten Reiches》(1938)과 《카라르 부인의 소총 Die Gewehre der Frau Carrar》(1939) 등의 희곡을 집필하였고 동시에 많은 정치시()를 썼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종전의 사실주의 수법으로의 접근이 다소 보이며, 다음 완성기의 여러 작품으로 계승되어 갔다. 1940년에는 핀란드로 옮겼고, 1년 뒤 다시 미국의 캘리포니아에 정착하였는데, 대표작인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 Mutter Courage und ihre Kinder》(1939) 《푼틸라씨와 그의 하인 마티 Herr Puntila und sein Knecht Matti》(194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생애 Das Leben des Galileo Galilei》(1943), 그리고 《코카서스 백토()의 테 Der Kaukasische Kreidekreis》(1945) 등은 극장과의 관계가 모두 단절되었던 망명 중에 완성하였다. 또한 《루쿨루스의 심문 Das Verhör des Lukullus》(1941)《시몬 마샤르의 환각 Die Gesichte der Simone Machard》(1943),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중의 슈베이크 Schweyk in zweiten Weltkrieg》(1943) 등도 이 시기의 작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비미()활동위원회의 ‘빨갱이잡기’가 시작된 1948년, 그는 일단 스위스로 갔다가 그 곳에서 《안티고네 Antigone》(1948)와 《파리 코뮌의 나날 Die Tage der Commune》(1948)을 썼으며, 당시까지의 그의 연극론을 《소사고 원리()》라는 책으로 간추렸는데, 이때 동독으로부터의 초청을 받고 동베를린으로 옮겼다. 1949년에는 아내인 여배우 헬레네 바이겔을 중심으로 극단 ‘베를리너 앙상블’을 결성하여, 그의 망명 중의 여러 작품과 고전을 개작한 《가정교사》《북과 나팔》 등을 연출하면서 실천활동에 정력을 쏟았다. 만년에는 더욱 자기의 연극 체계를 발전시켜 ‘변증법의 연극’을 창도()하면서 연극인을 양성하였다.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지가 베르토프 Dziga Vertov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5. 21. 21:22
출처 욕망하는 영화기계 | 새움
원본 http://blog.naver.com/2gamdok/40014302144 

 "Camera Cogito"

  러시아 혁명의 성공은 예술의 낡은 형태에 대한 적대감을 가지게 하며 사회주의 사회의 건설이라는 목적 속에 우선 스토리나 내러티브에 대한 거부를 드러낸다. 특히 지가 베르토프는 <<카메라를 든 사나이>>와 같은 영화를 통해 새로운 사회에 새로운 감수성을 발전 시키려고 한다. 즉 그의 영화는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하는 것 처럼 전통적인 잔존들을 모조리 해체하여 영화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가능성에 상당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에이젠슈타인은 그의 영화를 보고 너무 난해하여 민중들을 깨우기는커녕 잠들게 할 것이다라는 투로 비판하였고, 영화의 혁명성을 찬양하던 레닌 조차도 영화를 보는 도중에 나와 버렸다는 소문이 있다. 하지만 베르토프의 영화는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비젼도 드러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영화의 새로운 시점을 제시하였고, 변증법적 현실 포착을 통해 일상적인 실체속의 배후에 있는 사실을 보여주었다는데 매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전통적 양식의 잔존은 '문학의 우위'로 대표된다. 문학적 내러티브의 지배는 영화라는 매체의 자체적 특수성이 발현되지 않는다. 그리고 과거나 지금이나 그러한 문학적 내러티브와 연극적 연출에 의해 영화는 다지 상업거리일 뿐이고, 인간 지각의 한계를 '정박'시켜 아무런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지 못한다. "지금까지의 모든 영화는 단지 문학적 뼈대에 영화라는 피부를 입힌 것에 불과하다. 기껏해야 그 피부 아래 약간의 영화적 지방분이나 영화적 살코기가 자라날 뿐이다. 우리는 영화의 뼈대를 절대로 보지 못한다." 베르토프는 이러한 상황을 다시 "문학적 구두를 영화적 왁스로 닦는 것"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영화가 해야 할 일은 영화적 구두를 만드는 것이다.


  '영화의 눈 Kino-eye'(혹은 카메라의 눈)은 인간의 자연적 눈에의한 시야의 협소함을 넘어서서 비가시적이었던 영역을 가시화 시켜준다. 지표면에 국한된 인간의 눈은 매우 제한적이며 이동속도도 느리다. 하지만 영화의 눈은 그러한 시점의 한계를 극복하여 이데올로기적 제약에 정박된 시선을 구하여 한계를 극복한다.


  이러한 카메라에 의한 지각의 특징은 첫째, 인간의 눈이 지각 내용을 의식의 장치(뇌)를 통해서 보완하고 교정하는 반면에, 기계적 눈은 그와 같은 왜곡이나 조정없이 사물을 지각한다. 둘째, 인간의 몸에 구속되지 않은 자유로움은 인식의 확장과 시선에 자율성을 부여하여 '세계에 대한 새로운 시선의 가능성'을 영화에 남겨둔다. "이제 우리는 카메라를 해방시키기 시작하면서 영화 카메라가 모사에서 벗어나 정반대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베르토프는 '영화-눈'의 목적이 '영화-진실 Kinopravda'에 있다고 한다. 그것은 카메라의 광학적 사용을 통해서 일상적 현실의 배후에 있는 법칙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예를들어 우리가 민족의 신화를 연구하여 우리 기층의 사유를 찾아내듯이 영화를 통해 미로에 갇힌 뇌를 끄집어 내는 것이다. "해방되고 완성된 카메라와 감독하고 관찰하는 인간의 전략적 두뇌가 집중되어 결과물을 만들게 된다."


  하지만 베르토프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보면 화면분할, 오버랩, 촬영속도의 변화, 명암대비 조절과 같은것들을 영화의 눈을 통해 본 진실이라고 할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것에 대해 베르토프는 영화-눈의 방법의 실행이 단순히 현실의 조각들, 사실의 파편들을 기록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있다. 그는 당시의 다른 몽타주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몽타주에 상당한 이론적, 실천적 중요성을 부여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영화-눈을 통한 진실은 몽타주와 기타 영화장치에 의한 효과로 새로운 독해를 가지게 되고, 대중의 의식에 침투하는 것이다. 즉 현실은 단순히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영화적 장치를 통해서 해독되어야 한다. "이는 일종의 변증법으로 영화-눈의 방법은 한편으로는 삶의 사실들이 외부 현실에서 나타나는 그대로를 다루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가능한 영화적 장치를 사용하여, 새로운 시각적 구조를 창조하는 것이다."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는 영화에서의 카메라 시점이 몸에 구속되고 정박되어 있는 인간의 시점인 지각보다 우월하다고 말한다. 그가 전개시킨 '이미지 존재론'에 따르면 어떤 의미에서 인간보다 영화가 훨씬 주요한 사유의 원천과 대상이 될 수 있기때문이다. 우리는 베르토프의 영화를 통해 진부함과 상투성의 '질식할 것 같은 상황'에서 벗어나 무한한 사유를 할 수 있을것이다.


- 2005/06/17 이주영(2gamdok@naver.com)

:

세르게이에이젠슈타인 _ 가치론연습 _ 리얼리즘과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5. 21. 21:18

출처 MS. WOO'S LIBRARY | mswoominji
원본 http://blog.naver.com/mswoominji/60049761027

소련의 위대한 영화감독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이미지는 그 특징과 역사적 가치에 대해 정확하게 평가받았다. 때로는 너무 잔인한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하는 그의 최고의 영화들은 처음 공개된 후로 오랫동안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무표정한 군인들이 그 유명한

긴 계단을 무릎을 펴고 다리를 높이 든 자세로 내려오고, 군인들의 행진에 이어 아이 혼자 탄 유모차가 불행을 향해 곤두박질하는 장면이

삽입된 '전함 포템킨 (The Battleship Potemkin)' (1925), 온통 전사한 군인들의 시체로 뒤덮인 툰드라의 드넓은 설원에서

사랑하는 사람의 시체라도 찾고 싶은 마음에 손전등을 든 여인들이 뻣뻣하게 굳은 시체들 사이를 뒤지고 다니던 '알렉산더 네프스키

(Alexander Nevsky)' (1938), 그리고 숱이 많은 둥근 눈썹이 클로즈업 되는 불길한 분위기 속에서 증오에 찬 대귀족들이 위협하듯

서 있는 어두운 복도를 담은 1945년과 1946년의 '폭군 이반 (Ivan the Terrible)' 1, 2부는 관객의 뇌리에서 한동안 떠나지 않았다.

영화 이론가이자 지성인이며, 소련 공산당의 유능한 선전원이기도 했던 에이젠슈테인은 시각적 체험을 원래의 목표인 예술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치적, 사회적 개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일에 전념했으며, 전혀 새롭고 예상치 못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미학적

형태로 받아들였다. 에이젠슈테인은 그러한 개인적 변용이 가능하다고 믿었다. 영화에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변증법적 유물론을 표현할

탁월한 기능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술을 갈등으로 이해했으며, 몽타주 기법 -- 두 가지 이미지가 결합함으로써 보는 이의

마음속에 제3의 이미지가 생겨나는 것 -- 을 사용해서 한 장면은 테제로, 그 다음 장면은 안티테제로 만들었다. 그렇게 해서 생겨는

신테제는 보는 사람에게 정치적으로 의미있는 통찰력을 전달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에이젠슈테인은 D. W. 그리피스를 숭배하기는 했지만 그의 표현기법들은 모두 할리두으식 사고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 공산당

내부에서 자행되는 정적들의 처절한 응징과 만족을 모르는 소련 독재자 스탈린의 파괴적 행동에도 불구하고 에이젠슈테인의 믿음은 결코

흔들리지 않았다. 대중은 실험적이면서도 항상 현실적이었던 그의 예술의 관객이자 영웅이었다 (그는 일반인을 배우로 출연시키기를

좋아했다).

라트비아의 리가에서 러시아인 어머니와 독일계 유대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에이젠슈테인 (Sergei

Mikhailovich Eisenstein)은 기독교 교육을 받았다. 가정의 문화적 분위기는 그의 천재적 재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는 이미 열 살 때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나중에 일본어도 배웠다. 열일곱 살 되던 해에는

기술자인 아버지를 따라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토목공학과 건축학을 배웠다. 그러나 혁명이 일어나자 아버지와 아들은 보수당과

혁명당으로 각각 노선을 달리함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반목이 빚어졌다.


전쟁 동안 부대의 심리 전담 부서에서 교육선전 담당관으로 일했던 에이젠슈테인은 전쟁이 끝나자 모스크바에서 자신의 아마추어

연극단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그는 격동기를 맞이할 러시아 아방가르드 연극계에서 혜성같은 존재가 되었다. 당시 러시아 사회에서는

모든 전통적인 이론도 순수하다고 인정받기 전까지는 결점이 있는 것으로 의심을 받았다. 작가이자 감독이며 세트와 의상 디자이너였던

그는 25세의 나이에 모스크바에 있는 실존주의 연극인들 중에서 최고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빠른 이미지 변화를 사용하여 확인한 갈등과 변화의 강도는 오직 필름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만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새로운 기술에 제도, 공학 기술, 그리고 건축학적 기술이 보완된 날카로운 통찰력이 더해지면서 그는 모든 영화 제작 과정에

참여했으며, 그가 일평생 영웅으로 삼았던 레오나르도 다 빈치에게 기대한 것과 똑같은 지성과 에너지와 창의력을 가지고 열심히

일했다. 그리하여 1924년에 '스트라이크 (Strike)'를 필두로 다음 해에 '전함 포템킨'을 발표했다. 그는 '전함 포템킨'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실패로 끝난 1905년의 혁명을 상징하는 반란군이란 아주 단순한 소재를 이용해, 그는 비평가들의 찬사와 함께 영화

역사상 가장 영향력이 있는 걸작을 탄생시켰다.


공산당이 '10월 (October - 혹은 '세계를 뒤흔든 열흘 (Ten Days That Shook the World)이라고도 함)'의 상당 부분을

삭제하라고 강요하자 에이젠슈테인은 1930년에 할리두으로 건너갔다. 그는 파라마운트와 일하고 싶었지만 자신이 기획한 영화를

인정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는 정치적 신념 탓에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찰리 채플린의 충고를 받아들인 그는 미국의 좌파

작가 업튼 싱클레어 (Upton Sinclair) 에게 접근하여 멕시코에 관한 영화를 만드는 데 동의를 받아냈다. 그러나 '멕시코 만세!

(Que Viva Mexico!)로 인해 싱클레어가 인내심의 한계를 드러냈고 미국 세관 관리가 에이젠슈테인의 소지품에서 동성애를 다룬

그림을 발견하자, 스탈린은 외국을 돌아다니는 이 감독을 모스크바로 불러들였다. 한편 모스크바에 도착한 그는 영화 안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원칙을 고수하지 못한 것에 대해 정부와 동료 영화감독들에게서 강한 질타를 받아야 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충실한

대변인이 되기로 마음먹은 감독은 마침내 첫 번째 유성영화 '벤진 초원 (Benzhin Meadow)'을 촬영해도 좋다는 허락을 받아냈다.

그러나 수개월에 걸친 준비 작업에도 불구하고 최대의 정적이었던 소비에트학파 책임자에 의해 결국 영화 촬영이 중단되었다.

'폭군 이반'의 결정적인 성공 후에도 그는 2부에서 야만적인 독재자를 너무 나약하고 우유부단하게 묘사했다는 죄로 기소되었으며, 결국

영화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그는 1948년 심장마비로 사망했고 무한한 창의성의 실패와 미학적 성공으로 점철된 삶도 막을 내렸다. 그는 스탈린의 지나친 주문에

항상 복종했으며 악의적인 박해를 받을 때도 공개적으로 불평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공론가의 정확성이라는 이름으로 작품이 훼손되는

것을 허용한 그의 처사에 대해 영화 순수주의자들은 용서할 수 없는 타협을 한 기회주의자라고 비난했다. 과연 그가 다른 길을 선택할 수

있었을까? 촬영기사 네스토르 알멘드로스 (Nestor Almendros)는 사르트르를 거론하면서 인간은 언제든지 자유롭게 감옥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이젠슈테인은 영화를 찍지 말았어야 했다. 아니, 최소한 그렇게 잘 만들어서는 안 되었다" 라고 알멘드로스는

말했다.

:

마야데런 <오후의 올가미>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5. 18. 19:34





*실험영화 영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전설적인 예술가 마야 데렌이 1943년,
남편이었던 Alexander Hammid와 공동 제작한 첫 영화. 1917년 키에프 출생으로, 40년대와 5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의 핵심 인물이 되었던 그녀는 실험영화의 근본을 뒤흔들어 놓은 작품들과
부두교 광신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1961년 뉴욕에서 사망했다.(씨네서울)







*마야 데렌은 우크라이나 키에프에서 1917년(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해) 4월 29일에 태어났다. 음악을 전공한 어머니 마리 피들러와 정신과 의사인 아버지 솔로몬 데렌스코프스키 사이에서 태어난 그녀는 부모의 영향 아래 일찍부터 문화적 혜택을 누리며 자라났다. 하지만 1922년 계획적인 유대인 학살, 경제적 급변, 그리고 정치적으로 트로츠키에 가까웠던 그녀의 아버지의 축출에 따라 몰락한 이 유대계 가족은 러시아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녀의 가족은 아버지의 형제들과 함께 뉴욕 주 시러큐스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녀의 아버지는 병원을 개업했고, 이때부터 가족은 공식적으로 '데렌'이라는 성을 쓰기 시작했다.  

1930년 그녀의 부모가 이혼함에 따라 데렌은 스위스에 있는 기숙학교인 제네바 국제학교로 보내졌고, 거기서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를 공부했다. 1933년에 미국에 돌아온 그녀는 그후 시러큐스 대학(저널리즘을 전공했으며, 아울러 영화에의 열정이 처음으로 점화된 시기이다), 뉴욕 대학, 스미스 칼리지에서 공부하였으며, 1939년에 영문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그녀는 여러 작가들과 출판업자들의 조수로 일하는 한편 시詩에 몰두했다.

그녀가 비서로 일한 사람 중 한 명이 바로 안무가이자 무용수이며 인류학자인 캐서린 던햄이었다. 캐서린은 블랙 댄스(흑인들이 추던 리듬 댄스의 일종)의 창시자이자  1936년에는 아이티에 대한 인류학 논문을 발표한 저자였다. 던햄의 작업을 돕는 동안 데렌은 '춤에 있어서의 종교적 몰입'이라는 에세이를 쓰고 싶은 강한 영감을 받게 되었다. LA에서 던헴과 지내는 동안 데렌은 두 번째 남편, 체코인 영화제작자 알렉산더 하켄쉼드(나중엔 함미드)를 만나 결혼했다. (데렌은 1935년에서 1938년까지 학생 신분으로 반전 운동을 하면서 한 러시아 사회주의자와 결혼생활을 했었다.) 그녀는 아버지가 물려준 약간의 유산으로 중고 16미리 볼렉스 카메라를 샀는데, 이 카메라로 남편과 함께 헐리우드에서 그녀의 첫 번째 영화이자 대표작인 <오후의 올가미>를 찍었다. 이 영화는 1940년대와 50년대 미국 아방가르드 영화들을 위한 길을 닦았으며, 최고의 실험영화 작품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1943년 데렌은 뉴욕으로 돌아와 마야(붓다의 어머니의 이름이자, 물의 古語이며 힌두 신화에서 '환영의 장막'이란 뜻)라는 새 이름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그녀가 주재하는 사교모임에는 Andre Breton(앙드레 브레통:쉬르리얼리즘의 대가), Marcel Duchamp(마르셀 뒤샹:변기 갖다 놓고 샘물이라고 이름 붙인 프랑스 화가), Oscar Fischinger와 Anais Nin(프랑스의 여성 일기 작가) 등이 참여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Willard Maas, Kenneth Anger( 미국 언더그라운드 영화의 역사에서 가장 도발적이고 혁신적인 작업을 한 감독), Stan Brakhage(스탠 브래키지:미국의 유명한 실험영화 작가, 올해 사망.), Sidney Peterson, James Broughton(제임스 브로튼: 게이 영화 감독이자 시인, 극작가), Gregory J. Markopoulos와 Curtis Harrington(마타 하리의 감독) 같은 영화 감독들의 작품에서 그녀의 영향력이 표면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후 몇 년은 그녀가 [At Land(1944)], [Study in Choreography for Camera (1945)] 등의 선구적 16미리 영화들을 창조한 시기였다. 1946년, 그녀는 뉴욕에 있는 프로방스타운 플레이하우스의 밤시간을 빌려 '세 편의 버림받은 영화들'이란 타이틀로 위의 작품들(그리고 다른 한 작품)을 며칠 동안 상연했다. 이 대담한 시도는 자신들이 제작한 영화를 스스로 배급하려는 다른 영화감독들을 고무시켰다. 같은 해에 그녀는 구겐하임 재단이 최고의 영화감독들에게 수여하는 '영화부문 창조상'을 받았다. 그녀의 사진과 에세이들 -그 중 하나가 《An Anagram of Ideas on Art, Form and Film》-이 이때부터 전위적인 출판물로 서서히 주목을 받았다. 또한 그녀는 '트랜스(trance)'와 의식儀式에 대한 영화를 구상하기 시작했는데, 그 내용은  춤과 아이들의 유희, 그리고 그레고리 베이트슨(문화인류학자)과 마거릿 미드(미국의 여성 인류학자)가 발리 섬의 트랜스와 춤(Trance and Dance in Bali. 1952 filmed 1936-8. 20 min.)을 소재로 만들고 있었던 민족지학적 영화들을 함께 녹여내는 것이었다.
*트랜스는 무아지경이나 황홀, 도취-부두교에서 말하는.

1947년 칸느는 〈오후의 올가미〉에게 16미리 실험영화 부문 그랑프리를 안겨주었다. 이것은 칸느가 이 부문에서 미국에게, 그리고 여성영화인에게 최초로 수상한 것이었다. 그리고 데렌은 같은 해 공동감독이었던 남편과 이혼했다.

1947년에서 1955년 사이, 데렌은 아이티 섬에서 21개월 동안 부두교 의식과 춤을 영화에 담았다. 그 결과 [the Haitian Film Footage]라는 이름으로 몇 시간 분량의 필름으로 남았는데, 최종 영상물은 미완이었다. 신화학자 조셉 캠벨의 지도 아래, 그녀는 부두교에 관한 상세하고 전례가 없이 뛰어난 민족지학적인 연구서 《신성한 반인반마:아이티의 살아 있는 신들(1953)》을 썼다.  

그녀의 마지막 영화는, 아이티의 수도 포르토프랭스에서 특별 개봉한 〈The Very Eye of Night (1955)〉였다. 제작자가 재정적 어려움에 빠져 이 영화는 1959년까지 뉴욕에서 상영되지 못했다. 1960년, 데렌은 18살 연하인 일본인 음악가 테이조 이토와 결혼하는데, 그는 1950년대 중반 데렌이 마지막으로 아이티 여행을 갔을 때 그녀와 동반한 사이였다. 이토는〈The Very Eye of Night〉를 포함하여 데렌의 영화 두 편의 사운드 트랙을 맡았다. (또 한 편은 '오후의 올가미')

1961년 10월 13일, 데렌은 갑작스레 뇌출혈로 죽고 말았다. 이 때의 나이가 44세였다. 뇌출혈을 일으킨 정확한 원인이 무언지에 대해선 의견이 분분했다. '부두의 저주'라는 여러 가지 소문도 난무했다. 즉, 암페타민(환각성분)이 함유된 비타민 과용, 이른바 '닥터 필굿 Dr. feelgood'(자아도취에 빠지게 하는 환각제)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또 이토가 그의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유산을 두고 뜨겁게 싸웠던 법정 논쟁도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마야 데렌의 영화적 비전은 세상의 모든 영화 감독들(아방가르드는 물론 다른 장르들의)에게 여전히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그녀의 작품은 세계의 유수한 영화 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최근의 특별판 DVD 발매(마야 데렌 영화 모음)로 그녀는 더 많은 관객을 얻고 있는데, 여기엔 [Haitian footage]에서 발췌해서 만들어진 영화들도 들어가 있다. 1985년에는 아메리칸 필름 인스티튜트는 그녀가 독립영화에 기여한 성과를 기리기 위해 '마야 데렌 상'을 제정했다. 뉴욕에 있는 앤솔로지 필름 아퀴브스는 66좌석의 '마야 데렌 씨어터'를 세워 독립영화들의 필름과 비디오를 전시하고 있다. 최근 *〈우트네 독자:UTNE READER〉는 2003년 예술분야 특별판에서 마야 데렌을 '여전히 중요한 40명의 과거의 거장' 중의 한 명으로 뽑았다. 아주 당연하게!

*UTNE READER: Eric Utne가 1984년 설립한 UTNE READER는 다양한 대중매체들이 소개한 2,000개 이상의 방송 기사 및 정보를 재 출판함으로써 우리 시대 문화의 흐름과 새로운 문화적 비전을 제시하려는 미국의 대안문화잡지.



*translated from 'http://www.zeitgeistfilms.com/current/mayaderen/mayaderenbio.html'
*translated by p & k.k.h




**데렌에 관한 다큐영화도 있다고 하더군요

<마야 데런의 거울 속 / In the Mirror of Maya Deren>
*Austria | 2001 | 103min | Color | 35mm
Director_ 마르티나 쿠들라첵 | Martina Kudlacek
Screenwriter_ Martina Kudlaek
Cinematography_ Wolfgang Lehner
Editor_ Henry Hills
Sound_ Jan Mclaughlin
Music_ John Zorn
Cast_ Stan Brakhage, Maya Deren, Jonas Mekas
*비엔날레 2001 비엔나 영화상 수상

출처 : http://www.zeha.co.kr/cgi-bin/read.cgi?board=nagne&y_number=29&nnew=1

:

신즉물주의 _ 가치론연습 _ 사실주의와 영화에 관한 테제

철학/가치론연습 2008. 5. 14. 14:37
신즉물주의

신즉물주의 회화는 전쟁 후 표현주의가 찬미했던 인간과 그가 만들어낸 가치척도 전체를 부정하는데서 출발하였으며 바우하우스나 러시아 전위 미술가들의 활약을 통해 산업사회의 합리적 이상과 결합하였다. 1923년 하르트라우프가 1920년대 회화에 있어서 사실주의적 경향을 총칭하기 위해 “신자연주의”라 칭하였다가 그가 속한 만하임미술관에서 <신즉물주의 : 표현주의 이후 독일회화> 라는 전시회를 개최하면서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 키리코에 의해 1910년 이후 시작된 형이상학적 회화를 연상시키면서 불가사의한 분위기를 내는 풍경화나 인물화에서 기계와 같은 정확함과 수공업적 소묘기술로 그려진 차가운 느낌의 정물화, 고도의 인플레이션 이후 경제의 합리화 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와 시민의 변모를 보여주는 도시풍경화까지 모두를 총칭한다. 신즉물주의는 발달함에 따라 사회비판적 의도나 효과에 따라 좌익과 우익으로 분리되는데, 좌익은 진실주의라 불리웠다가 신즉물주의로 정의되고, 우익은 불가사의한 사실주의라 칭해지게 된다. 신즉물주의는 시대의 표정이라 불릴 정도로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대상을 직시하고 격렬하게 사회를 비판하였다.

신즉물주의의 특징
1. 의도적으로 대상을 소묘적으로 정확히 그렸다
2. 감정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와진 비감상적 사물관찰방식으로 냉정하고 날카로운 시각을 가지고 있다.
3. 추한 것을 꺼리지 않고 일상적이고 평범한 것들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4. 대상이 고립적이다.
5. 정적인 것을 선호한다.
6. 붓자국을 없앰으로써 개인의 필체와는 무관하게 표현된다.


신즉물주의의 표현형식상 특징은 “콜라주원칙”인데, 이는 다른 맥락으로부터 대상을 가져와 모은 듯하고 인물이 동떨어지고 주변이 진공상태처럼 느껴지는 효과이며 이는 전통회화나 사진과의 구별점이라 할 수 있다. 신즉물주의는 사회여론으로부터 거센 비난과 법적 제재를 받았으며 나치에 의해 전시금지의 제약을 받았고 그 후에도 이데올로기에 의한 정치적 해석으로 공정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의 사실주의 미술인 신구상회화, 포토리얼리즘 등의 모델이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