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가치론연습'에 해당되는 글 27건

  1. 2008.03.30 칸트 영구평화론(Perpetual Peace) - 가치론 연습 자료 4
  2. 2008.03.30 [베니스국제영화제] 미국 대 존 레논(The U.S. vs John Lenon), 기록영화 _ 가치론연습 참고자료
  3. 2008.03.02 2008: The Demi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4. 2008.03.02 Resisting the Globalization of Food
  5. 2008.03.01 The False U,S Economy
  6. 2008.03.01 No Jobs for the New Economy (or the Old), by Paul Craig Roberts
  7. 2008.03.01 비신성동맹

칸트 영구평화론(Perpetual Peace) - 가치론 연습 자료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30. 18:54
 

칸트 영구평화론


과연 인류는 칸트가 주장하는 것처럼 '전쟁을 통한 사악함이 인류로 하여금 많은 국가들이 상호 대립을 넘어 공적인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 세계 시민적 상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인가?
지구의 환경악화만 보더라도 역사는 진보한다고 낙관적으로 보기 어렵다. 오히려 인류는 그 땅을 파괴하여 파멸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비관론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냉전 후 세계정치에 대한 낙관론도 마찬가지다.

칸트는 파라다이스의 타락으로부터 인간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나, 법에 의한 인간의 자유와 질서, 즉 법치국가와 국제법, 그리고 세계시민법의 실현에 따른 정의의 공존에 의해 인류는 진보한다고 믿었다. 그는 법질서의 진보를 믿었다. 그에 의하면 역사의 목적은 법질서의 완성이라 할 수 있다.

칸트는 국내법은 물론 국제법이 완성돼야 평화가 가능하다고 본 최초의 철학자였다. 즉 전쟁은 법에 반하는 불법 상태이므로 금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법질서의 실현을 위해 도덕적 행위가 필요하다고 보았기에 도덕과 자유의 최대 걸림돌인 전쟁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평화에 대한 그의 주장은 현재 UN과 EU의 결성으로 대변될 수 있다.
전쟁과 무질서가 난무하는 21세기, 민족주의나 자국중심주의라는 프리모던, 해체주의라는 포스트모던이 혼재하는 우리의 정신상황에서는 칸트가 주장한 소크라테스적인 이성에 대한 신뢰, 다원주의·오류주의와 연결된 세계시민주의, 코스모폴리타니즘이 우리에게 필요하다.


The Perpetual Peace


First Section
<국가 간의 영구평화를 위한 예비조항>
1. 장차 전쟁의 화근이 될 수 있는 재료를 암암리에 유보한 채로 맺어진 어떠한 평화 조약도 결코 조약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다면 조약은 일시적 중지인 휴전에 불과한 것
→ 지금 국가들이 맺는 조약은 진정한 의미의 조약이라 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게함

2. 어떠한 독립 국가도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상속, 교환, 매매 혹은 증여에 의해 다른 국가의 소유로 전락될 수 없다.
→ 무능한 권력자나 폭정이 일어나는 국가의 국민은 차라리 다른 국가에 소유되어 자신의 행복을 누리는 것을 더 좋아하지 않을까?

3. 상비군은 결국 완전히 폐지되어야 한다.
→ 오늘날 군비경쟁의 딜레마. 신뢰구축은 필요하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 생각됨

5. 어떠한 국가도 다른 국가의 체제와 통치에 폭력으로 간섭해서는 안된다.
→ 내정간섭 vs 인권의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다


Second Section
제 1의 확정조항 <국가 간의 영구평화를 위한 확정 조항>
모든 국가의 시민적 정치 체제는 공화 정체이어야 한다
→ '시민적', '공화적'이란 용어는 현대의 용법과는 다름. 시민적이란 말은 부르주아적이란 의미가 아닌 자유로운 정치공동체 구성원으로 속하는 모든 사람을 지칭, 공화제란 지배형식이 아닌 통치양식을 의미
지배자 수↓, 국가권력을 대표하는 인원의 수↑-점진적인 개혁으로 공화정체로 발전되기를 기대

제 2의 확정조항 <국제법은 자유로운 국가들의 연방 체제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된다>
→ 국제국가를 통한 해결방식을 개별국가들의 의지가 될 것인가, 현실성이 없고 자유의 이념에 반하는 것은 아닌가, 국가와 개인은 다르다는 것을 간과하는 것은 아닌가

제3의 확정조항 <세계 시민법은 보편적 우호의 조건들에 국한되어야 한다>
사람들은 지구 땅덩어리를 공동으로 소유함의 권리를 갖는다
→ 세계시민주의를 이룩하는 것은 여전히 불가능하지 않을까


First supplement <영구평화의 보증에 대하여>
자연이 인간으로 하여금 시민적 체제를 만들게 하고 영구평화의 목적에 접근한다고 봄(운명과 섭리와도 같은 것)
→앞에서 보았던 현실을 무시한 순수한 이념에 따라 구성된 이상주의에서 벗어난 듯한 느낌


Second Supplement<영구평화를 위한 비밀조항>
ㆍ공적인 평화의 실현 가능한 조건에 대한 철학자들의 준칙을 전쟁을 위해 무장한 여러 국가들은 충고로서 받아들여야 하지만, 법률가의 발언보다 철학자의 원칙에 우위를 두어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ㆍ법률이라고 하는 학문은 학문적으로 낮은 단계이지만 , 법률가는 권력의 비호를 받는다.
→ 말에 모순이 있다. 결국 평화를 이룩하려면 자신이 하는 말, 자신의 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국왕을 하늘이 준 권력자가 아닌 하나의 국민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권력의 소유를 자유로운 이성의 판단을 방해하기 때문에 질타하고 있다.

:

[베니스국제영화제] 미국 대 존 레논(The U.S. vs John Lenon), 기록영화 _ 가치론연습 참고자료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30. 14:57

[개통특집] 63회 베니스국제영화제
기록영화의 사실성과 인생의 진실성

<미국 대 존 레논>


 

    감독_데이빗 리프, 존 샤인펠드
   
제작년도_2006 / 상영시간_99분 / 국가_미국

<미국 대 존 레논(The U.S. vs John Lenon)>은 기록영화로서 존 레논이 평화운동으로 어떻게 미국정부의 눈엣가시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그가 처하는 미국정부와의 대립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영화이다.

한 개인의 예술과 사회활동을 기록영화(다큐멘터리)식으로 엮어서 그 주변 인물들 (친구들, 오노 요코, 당시 혁명운동가, 미국정치인, 언론인들, 사진작가 등)의 진술과 평가를 함께 보여주었다.  

1960년대 있었던 베트남 전쟁 그 후에 연이은 미국의 캄보디아공격, 닉슨대통령의 정치적 상황, 이 모든것들과 맞물린 존 레논(또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이라는 한 개인의 평화운동에 대해 마치 신문을 읽어 주듯이 설득력 있게 풀어나갔다.

전개방식은 반복되는 연출과 형식으로 틀에 짜여져 있으나 내용 자체는 대중과 비밀을 공유하는 듯한 메시지 전달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사이사이 나오는 비틀즈의 음악과 영상들, 자료 화면들, 그리고 진술들은 그 성공에 한몫을 톡톡히 한다.

한 개인의 작은 힘이 새삼 강하게 느껴지는 영화. 이것이야말로 허구가 아닌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사실 현실을 다루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칫 개인을 영웅화할 수도 있는 이야기를 서술(내러티브)적인 주변인들의 진술과 영상으로 담담히 그러나 좀 지리하게 풀어나갔다는 것이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존 레논이 대중을 움직일 수 있는 자신의 힘을 이용해 자신의 메시지를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힘썼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 그로 인해 암살당하는 비극으로 끝남에도 비극이라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 이유는 오노 요코의 말로 전해져온다. “실제로 미국정부는 존을 죽이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했어요. 하지만 결국 그들은 그를 죽일 수 없었어요. 그의 메시지가 여전히 살아 있거든요”

‘침묵한다고 해서 죄를 짓지 않는 것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존 레논은 말했다. ‘무언가를 해야 한다. 개인적인 혹은 전문적인 사람으로서의 결과가 어떠하던지, 무언가를 해야 그것이 보이고 현상이 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결국 무엇을 했건 그것이 중요하다기보다 ‘무엇을 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중요한 것이라는 것이다.

매우 전통적인 방식으로 전개되는 -영화가 아니기도 한- 이 기록영화는 기록영화가 가지고 있는 가장 강력한 힘에 대해, 그것이 현실에서 가능했고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기록영화답다.

:

2008: The Demi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2. 17:26

2008: The Demi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by Immanuel Wallerstein (==*)

2008: 신자유주의의 붕괴

MRzine, 01/02/2008

 

2008: The demis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by Immanuel Wallerstein

 

 

The ideology of neoliberal globalization has been on a roll since the early 1980s. It was not in fact a new idea in the history of the modern world-system, although it claimed to be one. It was rather the very old idea that the governments of the world should get out of the way of large, efficient enterprises in their efforts to prevail in the world market. The first policy implication was that governments, all governments, should permit these corporations freely to cross every frontier with their goods and their capital. The second policy implication was that the governments, all governments, should renounce any role as owners themselves of these productive enterprises, privatizing whatever they own. And the third policy implication was that governments, all governments, should minimize, if not eliminate, any and all kinds of social welfare transfer payments to their populations. This old idea had always been cyclically in fashion.

세계화 신자유주의의 이념은 1980년 초부터 시작되어 왔다. 사실 그것은 현대 세계 체제의 역사에서 새로운 사상은 아니다. 비록 그것이 하나의 이념이라고 주장하긴 했지만, 그것은 오히려 오래된 사상이다. 세계의 정부들은 세계시장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하는 노력 속에서 거대하고 효과적인 기업의 노선에서부터 태어났다. 첫 번째 정책적 함의는 정부, 모든 정부들은 이러한 기업들이 모든 국경을 그들의 상품과 돈을 가지고 자유롭게 왕래하는 것을 허락하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 정책적 함의는 정부들, 모든 정부들은 이러한 생산적 기업의 소유자로서의 어떠한 역할이든 포기해야 한다. 그들의 소유가 무엇이든 민영화해야 한다. 그리고 세 번째 정책적 함의는 정부들, 모든 정부들은 축소해야 한다. 만약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모든 종류의 사회 복지를 그들의 국민에게 지출해야한다. 이런 오랜 생각은 현대에 주기적으로 나타났었다.

 

In the 1980s, these ideas were proposed as a counterview to the equally old Keynesian and/or socialist views that had been prevailing in most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at economies should be mixed (state plus private enterprises); that governments should protect their citizens from the depredations of foreign-owned quasi-monopolist corporations; and that governments should try to equalize life chances by transferring benefits to their less well-off residents (especially education, health, and lifetime guarantees of income levels), which required of course taxation of better-off residents and corporate enterprises.

1980년, 이러한 사상들은 세계의 대다수의 나라에서 우세해왔던, 동일하게 오래된 케인스학파와 사회주의에 반대의견으로 제안되었다. 경제는 혼합되어져야 한다. (국가에 민간기업이 더해져서) 반면 정부는 외국 소유의 준독점자본회사의 약탈로부터 그들의 시민들을 보호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그들의 빈민층들에게 보다 더 잘사는 사람들과 기업체에 세금을 요구하여, 이익을 줌으로써 평등한 사람의 기회를 실현시켜야 한다. (특별히, 교육, 건강 그리고 수입정도에 따른 삶의 보장)

 

The program of neoliberal globalization took advantage of the worldwide profit stagnation that began after a long period of unprecedented global expansion in the post-1945 period up to the beginning of the 1970s, which had encouraged the Keynesian and/or socialist views to dominate policy. The profit stagnation created balance-of-payments problems for a very large number of the world's governments, especially in the global South and the so-called socialist bloc of nations. The neoliberal counteroffensive was led by the right-wing governments of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Reagan and Thatcher) plus the two main intergovernmental financial agencies --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the World Bank -- and these jointly created and enforced what came to be called the Washington Consensus. The slogan of this global joint policy was coined by Mrs. Thatcher: TINA, or There is No Alternative. The slogan was intended to convey to all governments that they had to fall in line with the policy recommendations, or they would be punished by slow growth and the refusal of international assistance in any difficulties they might face.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프로그램은 현대(1945)에서부터 1970년 초까지의 전례없는 세계적 경제성장의 오랜 기간 후에 시작된, 이윤의 경기침체에 있는 전 세계에 이점을 가져다주었다. 케인스학파와 사회주의자들이 정책을 지배하도록 고무했던 시기였다. 경기침체는 수많은 세계의 국가들에게, 특별히 남반구와 소위 사회주의권 국가들에게 지출의 균형을 깨도록 만들었다. 신자유주의의 반격은 우익 정부가 이끌어 왔다. -우익정부인 미국과 영국, 중요한 두가지 국가의 금융기관인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이 더해져서- 그리고 이러한 합작은 워싱턴 합의라고 불리는 것을 만들어 냈고 시행하였다. 이런 세계적 합동 정책의 구호는 Mrs. Thacher에 의해 만들어졌다. :TINA, There is no alternative.(달리 대안이 없다.) 그 구호는 모든 국가에 전해질 작정이었다. 그들은 정책권고에 따르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저성장과 직면하게 될 어려움 속에 국제적 조력을 거부함으로써 처벌할 것이다.

 

The Washington Consensus promised renewed economic growth to everyone and a way out of the global profit stagnation. Politically, the proponen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ere highly successful. Government after government -- in the global South, in the socialist bloc, and in the strong Western countries -- privatized industries, opened their frontiers to trade and financial transactions, and cut back on the welfare state. Socialist ideas, even Keynesian ideas, were largely discredited in public opinion and renounced by political elites. The most dramatic visible consequence was the fall of the Communist regimes in east-central Europe and the former Soviet Union plus the adoption of a market-friendly policy by still-nominally socialist China.

워싱턴 합의는 모두에게 새로운 경제적 성장과 세계적 경기침체에서 빠져나갈 방도를 약속하였다. 정치적으로 신주유주의의 옹호자들은 큰 성고을 거두었다. 정부의 임기 후의 새로운 정부는 -남반구, 사회주의권 그리고 서구강대국들에서- 산업을 민영화하고, 그들의 국경을 열어 교류하였고, 금융거래와 사회복지영역을 줄여 나갔다. 사회주의 이념들, 케이스학파의 이념들에서조차도 크게 일반여론의 신용을 잃었고 정치엘리트들에게 포기되었다. 대부분의 드라마틱하고 명백한 결과는 동부유럽의 공산주의의 몰락이었고 최근의 소비에트연방은 여전히 명목상 사회주의인 중국에 의해서 시장 친화적 정책의 채택을 더했다.

 

The only problem with this great political success was that it was not matched by economic success. The profit stagnation in industrial enterprises worldwide continued. The surge upward of the stock markets everywhere was based not on productive profits but largely on speculative financial manipulations. The distribution of income worldwide and within countries became very skewed -- a massive increase in the income of the top 10% and especially of the top 1% of the world's populations, but a decline in real income of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s populations.

이런 대단한 정치적 성공과 함께한 유일한 문제는 경제적 성장과는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산업화된 기업들의 경기침체는 계속되었다. 주식시장의 가격의 치솟음은 어디서든지 생산적 이익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거대한 금융 투기 조작에 의한 것이다. 전 세계와 국내에서의 수익 분배는 매우 양극화 되었다. 정상 10%의 수입은 매우 증가하였고 특별히 전 세계 인구의 정상 1%는 특히 증가하였지만 세계인구의 나머지 인구의 대부분의 수입은 감소하였다.

 

Disillusionment with the glories of an unrestrained "market" began to set in by the mid-1990s. This could be seen in many developments: the return to power of more social-welfare-oriented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the turn back to calling for government protectionist policies, especially by labor movements and organizations of rural workers; the worldwide growth of an alterglobalization movement whose slogan was "another world is possible."

제약을 받지 않는 시장의 영광에 대한 각성은 1990년대 중반에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것은 많은 발전 속에서 보여질 수 있다. ;많은 나라에서 사회복지 지향적인 정부들의 권력으로의 귀환, 특별히 노동조합운동과 농업노동자의 조직들에 의해서 정부의 보호주의적 정책들을 다시 요구하기 시작, 대안 세계화 운동의 전 세계적 성장의 구호는 “또 다른 세계는 가능하다.”이다.

 

This political reaction grew slowly but steadily. Meanwhile, the proponen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not only persisted but increased their pressure with the regime of George W. Bush. Bush's government pushed simultaneously more distorted income distribution (via very large tax cuts for the very well-off) and a foreign policy of unilateral macho militarism (the Iraq invasion). It financed this by a fantastic expansion of borrowing (indebtedness) via the sale of U.S. treasury bonds to the controllers of world energy supplies and low-cost production facilities.

이런 정치적 반발은 천천히 성장해갔으며, 꾸준했다. 그동안 신자유주의의 세계화의 옹호자들은 계속해서 주장했을 뿐 아니라, George W. Bush 정권과 함께 그들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증가시켰다. 부시의 정부는 동시에, 더욱 왜곡된 수입분배(매우 많은 세금을 매우 잘사는 사람들에게는 줄여주기)와 일방적이고 무지막지한 군국주의의 외교정책(이라크 침략)을 밀어부쳤다. Bush 정부는 이러한 외교 정책을, 세계에너지 공급의 독점가들에게 미국 재무부 발행의 장기채권 판매와 낮은 가격의 생산설비를 팔아서, 엄청난 채무의 확장을 통해서 자금을 조달하였다.

 

It looked good on paper, if all one read were the figures on the stock markets. But it was a super-credit bubble that was bound to burst, and is now bursting. The Iraq invasion (plus Afghanistan plus Pakistan) are proving a great military and political fiasco. The economic solidity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discredited, causing a radical fall in the dollar. And the stock markets of the world are trembling as they face the pricking of the bubble.

만약 사람들이 읽고 있는 전부가 주식 시장의 수치라면 서류상으로는 좋아 보일 것이다.

 

So what are the policy conclusions that governments and populations are drawing? There seem to be four in the offing. The first is the end of the role of the U.S. dollar as the reserve currency of the world, which renders impossible the continuance of the policy of super-indebtedness of both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consumers. The second is the return to a high degree of protectionism, both in the global North and the global South. The third is the return of state acquisition of failing enterprises and the implementation of Keynesian measures. The last is the return of more social-welfare redistributive policies.

 

The political balance is swinging back. neoliberal globalization will be written about ten years from now as a cyclical swing in the history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The real question is not whether this phase is over but whether the swing back will be able, as in the past, to restore a state of relative equilibrium in the world-system. Or has too much damage been done? And are we now in for more violent chaos in the world-economy and therefore in the world-system as a whole?

 

--------------------

Immanuel Wallerstein is Distinguished Professor Emeritus of Sociol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inghamton. Among his numerous books are The Modern World-System (1974, 1980, 1989), Unthinking Social Science (1991), After Liberalism (1995),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1999), and The Decline of American Power: The U.S. in a Chaotic World (2003). This commentary was published on 1 February 2008. ⓒ Immanuel Wallerstein, distributed by Agence Global. For rights and permissions, including translations and posting to non-commercial sites, contact: rights@agenceglobal.com, 1.336.686.9002 or 1.336.286.6606. Permission is granted to download, forward electronically, or e-mail to others, provided the essay remains intact and the copyright note is displayed. To contact author, write: immanuel.wallerstein@yale.edu. Visit the archive of Wallerstein's previous commentaries at . These commentaries, published twice monthly, are intended to be reflections on the contemporary world scene, as seen from the perspective not of the immediate headlines but of the long term.


-- 완전 번역해서 올리겠음, 오늘은 여기까지 --

:

Resisting the Globalization of Food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2. 16:03

Resisting the Globalization of Food: The Return of the Bread Riot, by Ashley Dawson

음식의 세계화에 저항하며; 빵 폭동의 부활

December 20, 2007

 

resisting the Globalization of Food

The Return of the Bread Riot

 

By ASHLEY DAWSON

 

 

On September 13th, 2007, Italian shoppers, led by a confederation of consumer organizations, staged one of the country's first pasta strikes. In the elegant but rather grimy deindustrialized city of Turin where I'm currently living, erstwhile home to the FIAT auto factories, there were few signs of consumer anger boiling over. No pickets of irate housewives dressed up in inflatable spaghetti costumes outside local groceries, no sign-wavers at the local farmers' market. Was this simply another risible example of the famous Italian proclivity to strike over virtually everything?

2007년 9월 13일 소비자 연합 조직이 주도하여 이탈리안의 구매자들은 국가의 첫 번째 Pasta 불매운동의 하나를 연출하였다. 고상하지만, 더러워지고 산업의 쇠퇴화된,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이전에 피아트 자동차 공장의 본사였던 토리노의 도시는 소비자의 분노를 넘치게 하는 조짐은 거의 없었다. 부풀어 오른 스파게티 복장으로 차려입은 화난 주부들은 식료품점 밖에서 피켓시위도 없었다. 지역 농산물시장에서도 아무런 시위는 없었다. 실질적인 모든 것들을 깨부수려는 유명한 이탈리안의 기질의 단순하고 또 한편으로는 우스운 사례였던가?

 

Italian consumers were encouraged to boycott pasta for the day in order to protest against price rises of up to 27% over the last year. Pasta was, however, simply a symbolic target. The consumer organizations that masterminded the strike asked shoppers to stay away from markets in general in order to protest against price run-ups in everything from gasoline to rent to the cost of a cup of espresso in the local cafe. Carlo Rienzi, head of one of these organizations, called on the Italian government to pass a decree opening markets on Sundays for special direct sales of food by farmers to consumers, which, he argued, would help lower prices in general.

이탈리아인들은 지난해보다 27% 오른 가격 인상에 대항하기 위하여 하루종일 Psata 불매운동을 하도록 고무되었다. 그러나 Psata는 단순히 상징적인 대상일 뿐이다. 불매운동을 주도한 소비자연합은 가솔린에서 카페에서 에스프레소의 컵을 빌리는 가격에 이르는 모든 것들의 가격이 오르는 것에 저항하기 위하여, 구매자에게 모든 마켓에 가지말 것을 요구하였다. 이들 조직의 대표 Carlo Rienzi는 일요일에 농부와 소비자간의 특별한 직거래를 위한 시장을 여는 법령을 통과시키도록 이탈리아 정부에 요구하였다. 그가 주장하기로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가격으로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Italy is not the only country experiencing growing political turbulence over the cost of staple foods. Last January, 70,000 people marched through the streets of Mexico City in a protest that has become known as the "tortilla riot." In response to these demonstrations, president Felipe Calderon signed an agreement to stabilize tortilla prices, which have skyrocketed more than 700% since 1994, the year that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became law. After NAFTA took effect, many Mexican peasants were pushed off their land as cheap U.S. corn flooded the now tariff-free domestic market. Now that many American farmers are turning over significant portions of their corn harvest to the production of ethanol, Mexican consumers have no hedge against rising international corn prices.

이탈리아는 주요 음식 상품의 가격의 증가로 정치적 격동이 커지는 것을 경험하고 있는 유일한 나라가 아니다. 지난 1월 70,000명의 사람들이 멕시코시티 거리를 행진하였다. “토르티야 폭동”으로 알려지게 된 항의 속에서 이러한 시위들에 응답한 대통령 Felipe Calderon은 북미자유무역협정이 법으로된 그 해인 1994년이래 700% 급등한 토르티야 가격을 안정시키는 협약에 서명하였다. FTFTA가 영향을 미친 후부터, 수많은 멕시코의 소작농들은 그들의 땅에서 밀려났다. 값싼 미국의 옥수수가 관세자유가 된 국내시장에서 흘러넘쳤다. 지금, 그 많은 미국의 농부들은 옥수수 수확물의 상당 부분을 에탄올 생산으로 전향하고 있다. 멕시코 소비자들은 세계적인 옥수수 값의 상승을 막을 방지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

 

Where are such apparently isolated protests leading? It might be useful to get some historical perspective by considering one of the world's most famous bread riots. On the morning of October 5th, 1789, a small girl began banging a drum and chanting a protest in one of Paris's markets. According to the historian George Rude, this protest quickly drew a large crowd of sympathetic women, who set out together on a march to make their complaint heard to the royal household in Versailles. Their numbers grew quickly to six or seven thousand; as they marched, the town guards were disarmed and their weapons were handed to men who followed the crowd of enraged women through the streets. We all know where this protest led ultimately.

그렇게 명백하고 고립된 시위들은 어디로 이끌리는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빵 폭동 중에 하나를 고려해봄으로써 어떤 역사적 견해를 얻는 것이 유용할지도 모른다. 1789년 10월 5일 아침에, 작은 소녀가 북을 치기 시작했고, 파리 시장 중 한 곳에서 항의의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역사가 Geoge Rude에 따르면, 이 항거는 순식간에 호의적인 여인들의 많은 무리를 끌어당겼다. 그들은 베르사유의 구왕실에 그들의 불평이 들리도록 함께 행군을 하였다. 숫자는 순식간에 6,7천명에 이르렀다. 그들이 행진함으로써 도시 호위병들은 무장해제 당했고, 그들의 무기는 거리를 가로지르는 화난 여인들의 무리를 따르는 남자들 손에 쥐어졌다. 이 시위가 결국에 어디로 이르게 됐는지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

 

Yet the march on Versailles, like the storming of the Bastille earlier that year, was motivated not by anger over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royals like Marie Antoinette, but rather by the far more immediate issue of the cost of bread. A laboring family of four in Paris ate 1.2 tons of grain a year in this period, 80 percent of which had to get to the city from the surrounding Paris basin on a poorly maintained road network. In the 1780s a series of floods in this area led to poor harvests, provoking soaring bread prices. By 1789, a worker's daily bread took nearly 90 percent of her or his income. The demand for bread was central to practically all the journees, the popular insurrections and demonstrations that broke out repeatedly in Paris between 1789 and 1795. Women, on whose shoulders the crushing burden of domestic economy rested, were pivotal catalysts and participants in these demonstrations.

베르사유로의 계속되는 행진은, 그해 초 바스티유 습격사건과 같은, 마리앙뜨와네뜨와 같은 왕족의 눈에 띄는 과도한 소비에 화가 난 것이라기보다, 빵의 가격이 직접적인 문제였던 것이다. 파리에 노동에 종사하는 4인 가족은 1년의 기간 동안 1.2톤의 곡물을 먹었다. 1.2톤의 80%는 파리분지로부터 엉망진창으로 유지되는 도로망을 통해서 도시로 들어갔다. 1780년대에 이 지역에서 홍수의 연속은 흉년을 만들었고, 빵 값이 급상승하도록 만들었다. 1789년까지 노동자가 매일 사는 빵은 수입의 90%에 가까이 되었다. 빵의 요구는 매일같이 실질적인 핵심을 이루어왔고, 민중의 폭동과 데모는 1789년과 1759년 사이에 파리에서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가정경제의 압박되는 부담은 여자들의 어깨에 걸려있었고, 그녀들은 이러한 시위의 중심 역할자이고 참여자였다.

 

Of course, nothing like this could happen today, right? The past decade and a half has seen a global wave of democratization, a vital hedge against famine according to the economist Amartya Sen. In addition, we're blessed with a highly flexible 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the product not simply of a few decades of globalization but also of the thoroughgoing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wrought by the Green Revolution following the 1950s. There are signs, however, that the energy-intensive practices of industrial agriculture spread around the world by the Green Revolution are not sustainable. As Michael Pollan recently argued in the New York Times, the mysterious disappearance of bees over the last year and the growth of drug-resistant Staphylococcus bacteria (which is now killing more Americans each year than AIDS) are both signs of the precariousness of the vast monocultures on which our current food system is based. According to Pollan, "whenever we try to rearrange natural systems along the lines of a machine or a factory, whether by raising too many pigs in one place or too many almond trees, whatever we may gain in industrial efficiency, we sacrifice in biological resilience."

 

As important as these symptoms of a brewing crisis are, however, one doesn't have to go as far as a hospital ward or an almond grove to get a sense of the unsustainability of the global agricultural system. A trip to the local supermarket to buy pasta will suffice. The rising cereal prices that drew protests in Italy and Mexico this year are the concrete harbingers of a calamity in the making. Over the last year, the food price index of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ose by more than 40 percent, adding to a significant increase of 9 percent in 2006. According to the head of the FAO, Jacques Diouf, prices of wheat and oilseeds are at record highs; wheat prices have risen by $130 a ton, or 52 percent, since a year ago. In tandem with this inflation in the cost of staple cereals, reserves have become severely depleted. World wheat stores declined 11 percent this year, to the lowest level since 1980. That corresponds with 12 weeks of the world's total consumption. There are only 8 weeks of corn left.

 

Joachim von Braun,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recently pointed out that crises have not materialized despite these dwindling supplies because states have literally eaten into their national grain stocks. According to von Braun, this situation may change soon because China, in particular, has nearly exhausted its supplies. In a speech in Beijing, von Braun stated that "over the next 12 to 24 months we are in a fairly risky situation. Large consuming nations, particularly China, will feel pressed to enter international markets to bid up prices to unusual levels." Chinese consumers are already facing galloping food inflation. According to a local paper quoted by the Manchester Guardian, three shoppers died recently in a stampede at a supermarket that was offering discounted rapeseed oil. With its massive foreign exchange reserves, China could potentially buy the global food crop many times over, driving international commodity prices through the roof.

 

Just as was true in late-eighteenth century Paris, rising food prices are also related to climatic conditions. The early ­ and still relatively mild ­ effects of global warming have seriously damaged crop yields in breadbasket regions such as Australia and Ukraine in recent years. As S. Mark Howden of Australia's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pointed out recently, "If there's a significant change in climate in one of our high production areas, if there is a disease that affects a major crop, we are in a very risky situation."

 

And, just as in the days of the French Revolution, it is the poor who will suffer the most from the spiraling cost of food. International aid agencies are having trouble keeping up with their shipments of food not just as a result of the inflated price of basic foodstuffs, but also because it has become far more expensive to transport food around the world given the surging value of petroleum. High oil prices also directly affect agriculture and, with it, food stocks, because petroleum is a vital ingredient of both fertilizers and pesticides, as well, of course, as being necessary to run the tractors and diesel pumps that are essential to industrial agriculture the world over. In addition,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is affecting poor countries in another way: as bio-fuels have been embraced as an important alternative to petroleum, food and fuel have entered into direct competition. According to a recent article in the Guardian, for example, Bangladeshi officials report that the price of cooking oil - of which it imports 1.2 million tons a year - has almost tripled in the past two years because it is now valued as an alternative to diesel oil.

 

Of course it's hard to say exactly how these disturbing trends will work out, but it's unlikely that there is going to be an easy resolution. The rising cost of oil, one of the central catalysts of the crisis, is not a product of a political showdown as in the 1970s, but rather of speculation prompted by increasingly tight supplies. Moreover, short-term thinking is not likely to resolve our problems. The specter of famine may, for example, lead farmers the world over to expand crop production to ecologically sensitive or otherwise marginal areas. Yet although this may solve a potential crisis in the short term, it obviously does not represent a viable solution to the gathering crisis of the global industrial agricultural system. A more sustainable approach is suggested by FAO head Jacques Diof. With oil and food prices at near record highs, Diof recently argued that rich countries should stop sending food aid to poor nations and should instead concentrate on helping farmers grow food locally. Mr. Diof's plan echoes the call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Via Campesina, which has made food sovereignty a cornerstone of its battle for peasant rights.

 

Until now, however, such an approach has fallen on deaf ears in the halls of powerful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hich have been dominated by the notion of food security advanced by the US, which argues, as always, for free trade since its industrially produced food products have until now been able to undercut the prices of all competitors on international markets. The result has been policies of food dumping, slashing of price supports that keep small farmers solvent, privatization of credit, and the patenting of crop genetic resources that have combined to push millions of farmers off their land and into the metastasizing mega-cities of the global South. Agriculture is now one of the most monopolistic of industries, with a handful of giant transnational corporations like Monsanto controlling both ends of the production process. Mr. Diof's call for food sovereignty thus implies a wide-ranging transformation of the central institutions of globalization and, indeed, of the entire system of globalized industrial agriculture.

 

With the contradictions of the industrial food system piling up to potentially deadly effect, it is high time we rejected this unsustainable model of globalized food and turned instead to the more sustainable model of local production and food sovereignty championed by organizations like Via Campesina. Organizing a local pasta strike might be a good if humble way to make this point. One can only hope that it will not take bloody bread riots and large-scale famines to push the world down a more sustainable path.

 

----------------

Ashley Dawson is the author of Mongrel Nation: Diasporic Culture and the Making of Post-Colonial Britain and co-author with Malini Johar Schueller of "Exceptional State: Contemporary US Culture and the New Imperialism".

 

:

The False U,S Economy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1. 23:48

The False U.S. Economy, by Shepherd Bliss (==*)

허위 미국 경제

January 21, 2008

Nature's Way

The False U.S. Economy

By SHEPHERD BLISS

While tending berry vines on my small farm this fall and winter, I've observed the sharp decline of the US's artificial economy. Nature has a seasonal cycl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Now contracting, the US's manufactured economy has been built on a growth-always fiction.

이번 가을과 겨울에 나의 작은 농장에 덩굴열매를 기르는 동안에, 미국의 인위적인 경제의 급속한 침체를 주시해왔다. 자연은 확장과 수축의 계절적 순환을 가진다. 지금 수축되어 가고 있는 미국의 만들어진 경제는 계속적 성장이라는 허구를 토대로 하고 있다.

My main work for the last fifteen years has been on the organic Kokopelli Farm in Northern California. Watching the US economy descend--while caring for boysenberry vines, apple trees, and chickens--I've noticed a sharp contrast between nature's ways of a real economy and the US's false economy. Nature guides my farming, with permaculture being one system that I employ.

지난 15년간 나의 주된 작업은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kokopelli 유기 농장에서 지내왔다.미국의 경제가 추락하는 것을 보면서 -보이젠베리 줄기, 사과나무, 닭들을 돌보는 동안- 나는 진정한 경제의 자연적인 방향과 미국의 허위 경제 사이에는 현저한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자연은 내가 종사하는 한 가지 시스템인 유기농법으로 나의 농장을 안내해준다.

The US economy, unfortunately, is not nature-based. In fact, it conflicts harshly with nature's rhythms and is now paying the price. The chickens are coming home to roost, unhappy with the all-growth, no-rest pressure.

유감스럽게도, 미국경제는 자연적 토대를 두고 있지 않다. 사실 그것(미국의 경제)은 자연의 리듬과 거칠게 상충하고 있으며, 지금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닭들은 보금자리(공장에서 닭들이 자는 공간, 횃대)로 돌아오며, 계속되는 성장, 끊임없는 압박으로 불행하다.

"Things change,"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Heraclitus declared some 2500 years ago. They go up; they come back down. The US has had its ups; it's now on a down cycle. Pump, pump, pump go the corporations, their media and governments, trying to inflate it back up. I don't think so. The well is running dry.

약 2500년전에 “모든 것은 변한다.”고 고대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얘기했다. 모든 것은 올라가면, 내려온다. 미국은 상승을 탔고, 이제 하강할 차례이다. 물을 끌어올리듯이 공장을 돌리고, 미디어를 돌리고 정부를 돌린다. 경제를 되돌리기 위해 부풀리려고 한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우물은 말라갈 것이다.

Even a military budget larger than those of all the other nations in the world combined cannot protect our fortress. We are besieged, but more internally by our threatening practices than by terrorists or anything external.

다른 모든 나라들의 예산을 합친 것보다 많은 군사비조차도 우리의 성을 지킬 수 없다. 우리는 테러리스트나 어떤 외부적인 것에 의한 것보다 우리가 스스로 위협하는 행동으로 인하여 내부적으로 더 많이 함락당했다.

Oh, our rulers may stimulate it back up a little, for a while. Throwing money at something can have a short-term impact. But it will come back down, and may all fall down. Gravity is a basic law of physics. Things go up, then they come back down, sooner or eventually. Sometimes it feels like a crash, unless one is aware of the inevitable downturn. Once things fall apart, they can re-assemble, often in an improved form.

오, 우리의 통치자는 잠시동안, 어느 정도는 복원할 수는 있을지도 모른다. 어떤 중요한 일에 돈을 투자하는 것은 짧은 순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다시 떨어질 것이고, 완전히 바닥으로 추락할 것이다. 중력은 운동의 근본이다 .모든 것은 상승하면,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조만간 결국에는, 만약 누구라도 불가피하게, 떨어질 것을 인식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때때로 충격적일 것이다. 모든 것이 산산히 흩어진다면 그것(경제)들을 종종 개선된 형태로 다시 모을 수 있다.

All things carry their opposites, Heraclitus taught. Death is inherent to life. Transitions and impermanence prevail. This is not bad news; it just is. Birth/growth/contraction/death is nature's way. All living things follow this natural cycle. Everything that lives perishes.

모든 것들은 그것들의 반대되는 것으로 흘러간다고 헤라클레이토스는 생각한다. 죽음은 삶 속에 내재해 있다. 변화와 일시성만이 만연해있다. 이것은 나쁜 소식이 아니다. 당연한 것이다. 탄생, 성장, 수축, 죽음은 자연법칙이다. 모든 살아있는 것들은 이러한 자연의 순환을 따른다. 살아있는 모든 것들은 죽을 것이다.

The growth-based US economy is contracting. Media economists are alarmed, even panicky. They describe this as a "recession" and wring their hands with woe. They should have expected this downturn and we should accept it. Lets see what will happen. Maybe the Earth will benefit from the declining US economy? Perhaps its pollution and other threats to the global climate and environment will lessen?

성장에 기반을 둔 미국 경제는 수축하고 있다. 매체경제학자들은 경고하였다. 더욱 궁핍해질 것이다라고. 그들은 이것을 불경이며, 고통을 그들의 손으로 짜내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들은 이러한 침체를 예상했어야하며,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어떤 일이 벌어질지 보아라. 어쩌면 지구는 미국 경제의 침체로부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인가? 아마도 그것의 오염과 세계의 기후와 환경에 대한 다른 협박은 줄어들게 될 것인가?

There are too many variables to accurately predict what will happen, or when. But I am planning for a radically different future. It is time to "powerdown," to use the word that Richard Heinberg employs in the title of one of his books on Peak Oil. We should expect some chaos. The manufactured US economy is failing.

무엇이 일어나거나 언제 일어날지에 대한 정확한 예보에는 너무 많은 변수들이 있다. 그러나 나는 근본적으로 다른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Richard Heingerg가 Peak Oil(석유정점)에 대한 그의 책의 타이틀 중에 하나로 사용한 말을 이용하여 이제는 “Powerdown"할 때이다. 우리는 어느 정도의 혼란을 예상해야 한다. 만들어진 미국경제는 몰락중이다.

President Bush has proposed yet another "growth package" of $145 billion to boost the flagging economy by giving each taxpayer up to $800 each. Supported by many Democrats, the plan is to spend our way out of this mess. Go shopping. What a fantasy. This may worsen things, digging the hole deeper, rather than stepping out of it.

부시대통령은 각각의 납세자들에 각 800달러를 면제함으로써 쇠퇴하는 경제를 끌어올리기 위한 145억 달러의 “성장패키지”를 제안하였다. 많은 민주당원들이 지원한 그 계획은 이 혼란을 탈출하도록 돈을 쓰는 것이다. 쇼핑가라. 환상적이다. 이것은 그것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는 것이 아닌, 모든 것을 약화시키고 깊은 구멍을 파는 것이다.

The government's so-called "economic stimulus" is a false solution, attempting to further prop up the false economy. Giving people more money to spend-many of whom are already spending beyond their means-will not solve what is becoming our most serious economic crisis since the Great Depression.

정부가 소위 “경제적 자극”이라고 부른 것은 잘못된 해결책이고, 허위 경제에 더욱 기대려고 하는 것이다. 사람들에게 더 많은 돈을 소비 -그들의 수입을 넘어서 이미 써버린 많은 것- 하도록 돈을 주는 것은 대공황이래 우리의 심각한 경제적 위기가 되어버린 것을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Trying to avoid the economic fall seems futile. A better approach would be to roll with the punches and figure out how to even thrive during this transition from a no-longer to a not-yet. Those who do can even benefit from the changing reality.

경제 침체를 피하려는 시도는 쓸데없어 보인다. 더 나은 접근법은 유연하게 충격을 받아들이고, 더 이상 아니다에서 아직은 아니다라고의 전환 속에서 어떻게 번성할 지를 해결해 내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하는 사람들은 변화하는 현실로부터 유리할 수 있다.

The US economy has expanded for the last seven years. It's time to contract, in spite of the wailing of economists. Economic growth slowed to barely 1% in the final three months of 2007--a big drop from 4.9% in the third quarter. Growth may now be dipping into negative territory, according to a Jan. 17 Associated Press article.

미국의 경제는 지난 7년동안 확장해왔다. 지금은 수축하고 있는 때이다. 경제적 몰락에도 불구하고, 2007년의 마지막 3개월에 경제 성장은 거의 1% -3/4분기의 4.9%로부터의 큰 하락- 가까이 줄어들었다. 1.17 AP통신의 기사에 따르면 성장은 마이너스 국면으로 빠지고 있다.

Mainstream economists do not want to publicly utter words like "depression" or "collapse," which may happen, if the contraction deepens. This will bring great changes, including inconveniences and difficulties. But that is inevitable, as opposed to bad.

주류경제학자들은 공공연히 ‘불황’이나 ‘붕괴’와 같은 직접적 단어를 쓰고 싶어 하지 않는다. 만약 침체가 깊어져, 설사 그러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이것은 불편과 어려움을 동반한 엄청난 변화를 야기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나쁜 것이 아니다.

As the US goes down, it can be a time for others to be up in the sun. A gracious fall is better than a bitter, ballistic, hostile one. The flexibility of bamboo would be a better model for our fall than rigid, fossilized bones likely to break and shatter. Then we may come back up, though hopefully in a different, more mature way.

미국 경제가 추락해감으로써, 태양 아래 다른 것들이 올라갈 때가 될 수 있다. 내림세를 감사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괴롭고, 충격적이며, 내담한 것이라고 욕하는 것보다 낫다. 대나무의 유연성은 우리의 추락에 경직되고 화석화된 뼈가 부서져 박살나는 것과 같은 것보다 더 나은 모델이 될 것이다. 우리는 다시 일어설 수 있을 것이다. 희망컨대, 지금과는 다른 좀 더 성숙한 방식으로.

The indigenous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professor Manu Meyer, who hails from an ancient culture, describes the US as "adolescent." Since setbacks often help a person mature, perhaps this economic fall will help the US evolve.

Hilo의 원주민 하와이대학의 고대문화 전공의 교수 Many Meyer는 미국을 풋내기라고 설명했다. 뒤로 물러서는 것이 종종 사람을 완성시키듯이, 아마도 이번 경제적 추락은 미국이 진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Reinventing Collapse" titles a provocative book by Dmitry Orlov, a Russian living in the US, scheduled by New Society Publishers to appear in April. He compares the evolving US collapse to that of the Soviet Union. Parts of this new book have been posted at www.energybulletin.net and elsewhere. The book's final three chapters are "Collapse Mitigation," "Adaptation," and "Career Opportunities." Orlov draws on his experiences observing the Soviet collapse to help people manage what might happen here in the only remaining superpower.

미국에 살고 있는 러시아인 Dmitry Orlov의 “붕괴의 재걸립”이라는 도발적인 제목의 책은 4월에 New Society Publishers에 의해 출판될 예정이다. 그는 진화한 미국이 붕괴하는 것을 소비에트연합과 비교하였다. 이 책의 일부분은 www.evergybullet.net와 그 밖의 곳에서 게시되었다. 이 책의 마지막 3부는 “붕괴의 완화”, “적응”과 “성공기회”로 되어있다. Orlov는 소비에트가 붕괴하는 것을 관찰한 자기의 경험을 이용하여, 오직 하나남은 대강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사람들이 다룰 수 있도록 도왔다.

Now let me root this analysis in two quite different sources: the farming author Wendell Berry and the humorous gardener Chance, played by Peter Sellers in the classic 1979 film "Being There."

이제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출처로부터 이러한 분석을 파헤쳐 보겠다. 농부이자 작가인 Wendell Berry와 1979년 고전 영화 “Being There"에서 피터 셀러스가 연기한 유머스러운 정원사 Chance.

For over 50 years now Berry has been publishing farm-based essays, poetry, and fiction. Since at least his 1977 book "The Unsettling of America," published by the Sierra Club, he has been writing about the US economy. His field-based analysis is outside the box-based on farm-fresh wisdom rather than merely book learning or crunching numbers.

50년 이상 동안 Berry는 농업에 기초한 에세이, 시, 소설을 출간해왔다. 적어도 그의 1977년, Sierra Club에서 출간된 책 “미국의 동요” 이래로, 그는 미국의 경제에 대해서 써왔다. 그의 현장 중심의 분석은 단지 책을 배우거나 수를 헤아리는 것보다 교실 중심의 바깥인 농장에서의 참신한 지혜에 토대를 두고 있다.

"The human household or economy is in conflict at almost every point with the household of nature," Berry writes in his essay "The Total Economy." Humans tend to look to nature as "merely a supply of 'raw materials,'" Berry bemoans. The results are what he describes as "economic oversimplification" and "the folly" of a "foolish economy." We fail to see the larger picture that one can sometimes see when they lift their eyes up from working in a field to see the sky and clouds above, as well as the expanse between the ground and our majestic blue covering.

"인간의 가정이나 경제는 모든 측면에서 자연 세대와의 투쟁 속에 있다."라고 Berry는 그의 에세이 "Total Economy"에 썼다. 인간은 자연을 단지 원료물질의 공급으로만 보는 경향이 있다고 Berry는 한탄한다. 그는 그 결과를 ‘경제의 지나친 단순화’와 ‘미련한 경제’의 ‘어리석음’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전원에서 일하다가 , 저위에 땅과 장엄한 하늘 지붕 사이의 넓은 하늘만큼의 하늘과 구름을 보기 위해 눈을 들어 올릴 때, 때때로 볼 수 있는 더 큰 그림을 보는 데 실패했다.

"The global economy," Berry asserts, "is based upon cheap long-distance transportation, without which it is not possible to move goods from the point of cheapest origin to the point of highest sale." Now that the price for crude oil has surpassed the $100 a barrel ceiling, we are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decline of cheap oil and the rising price of this black gold that fuels industrialism's food, plastics, transportation, war-making, and much of modern life.

Berry가 주장한 “세계적 경제”는 값싼 장거리 수송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것 없이는 가장 값싼 생산지로부터 가장 비싼 매출에까지 상품을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지금 원유 가격은 한 배럴당 한도가 100달러를 넘어서고 있다. 우리는 값싼 오일의 때는 끝났으며, 산업사회의 음식, 플라스틱, 운송, 전쟁 그리고 현대 삶의 더 많은 부분에 연료를 공급하는 검은 돈의 가격의 상승을 점점 인식하게 되었다.

We need what Berry describes as a "real economy," rather than this house of cards (the cover of Heinberg's new "Peak Everything" book) under which we live. Berry suggests that we work "to preserve things other than money" and advances "the idea of a local economy" based on "neighborhood and subsistence."

우리는 Berry가 설명하는 “real economy"가 필요하다. 우리가 살고 있는 카드의 집(Heinberg의 새 책 "Peak Everything"의 커버)보다는 Berry는 우리가 돈이 아닌 물건을 보존하려는 일을 하고, “이웃과 생존”에 기반을 둔 “지방경제의 개념”을 충고하였다.

"Did you see that old Peter Sellers film 'Being There?'" a farm hand recently asked while we lay wool around the base of berry vines as mulch to suppress the weeds and stimulate activity in the soil. While working with our hands Jeff Snook and I had been talking about the litany of economic woes for banks, housing, the dollar, unemployment, retail sales, consumer confidence, etc.

우리가 잡초를 억제하고 뿌리덮개를 덮고 토양에서의 활동을 자극하기 위해 덩굴 열매 주위에 wool을 까는 동안 “나이든 피터 셀러스의 영화 ‘Being There'를 보았는냐?”고 한 농부가 최근에 물었다. Jeff Snock과 나는 손으로 일하는 동안에 은행, 주택공급, 달러, 실업, 소매, 소비자 신용 등의 경제적 재난에 대한 지겨운 이야기를 했다.

Farmers sometimes talk about such things in fields and elsewhere. My Uncle Dale on his farm in Iowa in the early l950s, before electricity had reached parts of the rural Mid-West, used to talk about the economy. Since I have already lived without electricity-we had an icebox, root cellar, and gas lights-I can imagine doing it again. Instead of TV, we had night-time stories and day-time farm animals to entertain us. It was a good life, even without all the modern conveniences, some of which we may soon have to do without as we powerdown and make a forced transition with less available energy.

농부들은 때때로 전원이나 그 밖의 곳에서 그러한 것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1950년 초에,Iowa에 농장을 갖고 있는 나의 삼촌 Dale은 중서부 시골의 일부분에 전기가 들어오기 전의 경제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다. 내가 이미 전기 없이 살아왔기 때문에, - 우리는 아이스박스, 지하저장실과 가스등을 가지고 있었다. - 나는 다시 그렇게 사는 것을 상상할 수 있었다. TV대신에, 우리는 깊은 밤 이야기를 가졌고, 낮에는 동물들이 우리를 즐겁게 해주었다. 그렇게 사는 것은 현대의 모든 생활의 편리함이 없을지라도 좋은 생활이었다. 조만간 우리는 그 현대적 편리함 없이도 살아야 할지도 모르며, 에너지를 절약하고, 에너지를 좀 더 적게 사용하도록 강요받을 수도 있다.

 

 

Many signs of contraction were visible as Jeff and I recently worked--leaves falling from nearby valley oaks, boysenberry vines shriveling, and beautiful chickens taking their annual break from egg-laying. These things are predictable and happen every year. I plan my yearly cycle accordingly, as do the wise birds and squirrels, putting acorns away.

줄어들 수 있는 많은 징조들 -오크계곡에서부터 떨어지는 낙엽들, 보이센베리 포도나무가 시들고, 연중 산란기를 가지지 않는 기간의 건강한 닭들- 은 Jeff와 내가 최근에 일을 해오면서 보아왔던 것이다. 이러한 일들은 예측가능하고 매년 되풀이되어 일어난다. 현명한 새와 다람쥐가 도토리를 모으는 것처럼, 나는 계절 순환에 따라, 계획을 짠다.

 

"Chance in "Being There" is a simple-minded gardener who observed nature's cycles and acted accordingly," Jeff noted. "He knew that things should be planted in the spring and will then grow and die-a basic, natural rhythm."

“‘Being There’의 Chance는 자연의 순환을 바라보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마음의 정원사이다.” Jeff는 기록하였다. “그는 봄에 모든 것들이 심어질 것이며, 성장할 것이고, 죽는다는 것이 기본적인 자연의 리듬이란 것을 알았다.”

A fictional US president in the film comes to visit a financial advisor and meets Chance. The president is proposing a temporary economic growth plan. "As long as the roots are not severed, all is well in the garden," Chance responds. "Some things must whither," he adds. The "president" wisely takes Chance's simple advice, which our current real president is unlikely to do. He accepts the seasonal, Earth-based wisdom, realizing that a long-term solution is needed, rather than a band-aid.
영화 속에 등장하는 가상의 대통령은 재정고문을 방문하러 와서 Chance를 만난다. 대통령은 임시적인 경제성정계획을 제안한다. “오래된 뿌리는 상하지 않는 이상, 정원은 괜찮을 것입니다.” Chance가 대답했다. “어떤 것은 시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가 보탰다. 그 ‘대통령’은 현명하게도 우리의 현직 대통령이 하지 않을 것 같은, Chance의 단순한 충고를 받아들였다. 그는 일회용 반창고 보다는 계절적인 순환, 하나밖에 없는 지구에 기반을 둔 현명함을 받아들였고, 오랜 기간 동안의 해결책을 실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Our economy, in fact, has been "severed" from its "roots," the Earth itself. We need a down-to-the-Earth approach to the economy, rather than the sugar pill "economic growth stimulus" that Bush is proposing with his tax break.
사실 우리의 경제는 뿌리인 지구부터 병들어 있다. 당위적, 설탕발림의 “경제적 성장의 촉진(부시가 세금을 깎아주는 것 같은 제안)”보다, 우리는 경제에 접근하려면 지구로 내려오는 접근방식(down-to-the-earth)이 필요하다.

We need to get back to basics in the US. Our expectations of being permanently on top, always in control, forever the dominating ruler and evermore the superpower have been excessive. We need to do more than try to shore up a failing economy that requires so much war-making and destruction to keep it growing artificially, at the expense of the environment and other humans, animals, plants, and the elements such as clean water and air that sustain life. We need to accept the natural limits to growth.
미국에서 우리는 기본으로 돌아올 필요가 있다. 영원한 정상, 영원한 지배, 영원한 지배자 그리고 영원한 초강대국이라는 우리의 기대는 지나친 욕심이다. 우리는 실패한 경제에 살목으로 버티려는 시도보다도 더 많은 전쟁을 요구하고, 인위적 성장 유지를 위한 파괴, 환경과 다른 인간, 동물, 식물, 순수한 물과 같은 원료와 삶을 유지시키는 공기를 대가로 치르는 것 이상의 더 많은 일을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한계를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Less than 2% of US citizens now farm. This number must increase, if we are to survive. Farming can be fun and educational, as well as put food on our tables and build communities. Agri-culture, after all, is a basis of culture. May ours continue to prosper, but not by being based on a false, foolish economy, like the one that is now falling. R.I.P.
지금 미국 시민의 농부는 2% 이하이다. 이 숫자는 증가해야 한다. 만약 우리가 살려면, 농장일은 즐거울 수 있고, 교육적일 수 있다. 우리의 식탁에 음식을 놓고,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결국에 농업문화는 문화의 기본이다. 우리의 경제가 계속 번영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미국의 추락해가는 가짜의, 멍청한 경제에 기반을 두게 하지 마소서.

We need to re-align the US economy more around nature's economy.
우리는 자연 경제에 좀더 가깝도록 미국의 경제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

No Jobs for the New Economy (or the Old), by Paul Craig Roberts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1. 23:46
No Jobs for the New Economy (or the Old), by Paul Craig Roberts (==*)  
January 8, 2008

The Big Betrayal
no jobs for the New Economy (or the Old)

By PAUL CRAIG ROBERTS


December did not bring Americans any jobs. To the contrary, the private sector lost 13,000 jobs from the previous month.

12월은 미국인들에게 어떤 직업도 가져다주지 않았다. 반면에 지난달보다 민영부분에서 13,000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If December is a harbinger of the new year, it is going to be a bad one. The past year, hailed by Republican propagandists and "free trade" economists as proof of globalism's benefit to Americans, was dismal. According to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nonfarm payroll data, the US "super economy" created a miserable 1,054,000 net new jobs during 2007.

만약 12월이 새해의 선구자라면, 그것은 안 좋은 일이 될 것이다. 미국에 가져다준 세계화의 이익을 증명함으로써 공화국의 선전자들과 “자유무역”경제학자들에 의해 환호 받았던, 지난해는 암울했다. 노동통계국의 신규고용자수 증가 수치에 따르면, 미국의 “super economy"는 2007년 동안 비천한 1,054,000개의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였다.


This is not enough to keep up with population growth--even at the rate discouraged Americans, unable to find jobs, are dropping out of the work force--thus the rise in the unemployment rate to 5%.

5%에 이르는 실업률 속에 계속되는 인구의 증가를 따라잡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노동력이 쓰이지 않는 일들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실망한 미국인들의 비율 속에)


During the past year, US goods producing industries, continuing a long trend, lost 374,000 jobs.

지난해 동안, 미국 상품제조 산업은 기나긴 추세가 계속됨에 따라 374,000개의 일자리를 잃었다.


But making things was the "old economy." The "new economy" provides services. Last year 1,428,000 private sector service jobs were created.

그러나 만든 것들은 “old economy”였다. “new economy”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근에 1,428,000개의 민영부분 서비스직이 생산되었다.


Are the "free trade" propagandists correct that these service jobs, which are our future, are high-end job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novation, venture capitalism, information technology, high finance, and science and engineering where the US allegedly has such a shortage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hat it must import them from abroad on work visas?

“자유무역”선전자들은 이 서비스직을 바로 잡았는가? 무엇이 우리의 미래인가? 연구와 발전, 혁신, 벤처기업투자, 정보기술, 대형금융거래, 그리고 미국은 이른바 취업비자를 받아 수입해야만 하는 과학자들과 기술자들의 부족이라는 상황 속에 과학과 공학의 고위직종인가?


not according to the official job statistics.

공무원직의 통계를 따른 것은 아니다.



What occupations provided the 1.4 million service jobs in 2007?

무슨 직종이 2007년에 140,000개의 서비스직을 제공하는가?



Waitresses and bartenders accounted for 304,200, or 21% of the new service jobs last year and 29% of the net new jobs.

웨이트리스나 바텐더들은 지난해 새로운 서비스직의 21%(304,200개)에 이르며, 새로운 순수직업의 29%에 이른다.



Health care and social assistance accounted for 478,400, or 33% of the new service jobs and 45% of the net new jobs. Ambulatory health care and hospitals accounted for the lion's share of these jobs.

건강관리와 사회복지는 새로운 서비스직의 33%(478,400개)에 이르며, 새로운 순수직업의 45%에 이른다. 외래건강관리와 병원직은 이러한 직종 중에 큰 몫을 차지한다.



Professional and business services accounted for 314,000, or 22% of the new service jobs and 30% of the net new jobs. Are these professional and business service jobs the high-end jobs of which "free traders" speak? Decide for yourself. Services to buildings and dwellings account for 53,600 of the jobs. Accounting and bookkeeping services account for 60,500 of the jobs.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services account for 54,700 of the jobs. Computer systems design and related services account for 70,400 of the jobs. Management consultants account for 88,400 of the jobs.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서비스들은 새로운 서비스직의 22%(314,000개)에 이르며, 새로운 순수직업의 30%에 이른다. 이런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일들이 “자유무역가”들이 말하는 고위직종인가? 여러분 스스로 결정하라. 빌딩업무와 재택업무는 직종의 53,600개에 이른다. 회계와 부기 서비스는 그 직종의 60,500개에 달한다. 건설과 기술 서비스들은 그 직종의 54,700개에 이른다. 컴퓨터 시스템 디자인과 이와 관련된 직종은 70,400개이다. 경영자문은 88,400개이다.



There were more jobs for hospital orderlies than for architects and engineers. Waitresses and bartenders accounted for as many of last year's new jobs as the entirety of professional and business services.

건축가와 기술자들보다 더 많은 수의 일자리가 있는 것이 간호사이다. 웨이트리스나 바텐더들은 전문적이고 실무적인 서비스들 전체만큼이나 많은 지난해의 새로운 직업이다.



Wholesale and retail trade, transportation, and utilities accounted for 181,000 of 2007's new jobs.

도소매간의 거래, 운송과 공공사업은 2007년의 새로운 직업의 181,000개이다.



Where are the rest of the new jobs? There are a few scattered among arts,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repair and maintenance, personal and laundry services, and membership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새로운 직업의 나머지는 어디있는가? 몇몇개가 미술, 엔터네인먼트, 휴양지, 수리와 생계, 동산 세탁서비스와 멤버쉽 연합과 조직으로 뿔뿔히 흩어져 있다.



That's it.

그렇다.



Keep in mind that the loss of 374,000 goods producing jobs must be subtracted from the 1,428,000 new service jobs to arrive at the net job gain figure. The new service jobs account for more than 100% of the net new jobs.

374,000개의 상품제조산업의 직업의 손실은 1,428,000개의 새로운 서비스직이 순수직업의 형태를 갖추는데 도달할때까지 제외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라. 새로운 서비스직은 순수 직업의 100%보다 더 많은 양을 가지고 있다.



Keep in mind, too, that many of the new jobs are not filled by American citizens. Many of the engineering and science jobs were filled by foreigners brought in on work visas. Indians and others from abroad can be hired to work in the US for one-third less. The engineering and science jobs that are offshored are paid as little as one-fifth of the US salary. Even foreign nurses are brought in on work visas. no one knows how many of the hospital orderlies are illegals.

수많은 새로운 직업들이 미국의 시민들에 의해 채워지지 않았음을 또한 명심해라. 수많은 기술과 과학의 직업들이 취업비자로 데리고 온 외국인들에 의해 채워지고 있다. 미국의 1/3보다 적은 인도인들과 해외의 다른 나라 사람들이 고용되어지고 있다. 기술직과 과학직은 미국 샐러리맨의 1/5보다 적은 급료를 주는 아웃소싱이다. 외국인 간호사들조차도 취업비자로 데려온다. 얼마나 많은 간호사들이 불법행위를 하는지를 아무도 모른다.



What a super new economy Americans have! US job growth has a distinctly third world flavor. A very small percentage of 2007's new jobs required a college education. Since there are so few jobs for university graduates, how is "education the answer"?

무엇이 대단한 미국의 새로운 경제인가! 미국의 직업 증가는 명백히 제3세계적인 특생을 가진다. 매우 적은 비율의 2007년의 새로운 직종에서 대학교육을 요구한다. 소수의 직업이 대학원을 요구한다면, 어떻게 “교육이 대답”이겠는가?



Where is the benefit to Americans of offshoring? The answer is that the benefit is confined to a few highly paid executives who receive multi-million dollar bonuses for increasing profits by offshoring jobs. The rest of the big money went to Wall Street crooks who sold trusting people subprime derivatives.

아웃소싱에 의한 미국의 이익은 어디에 있는가? 그 이익은 소수의 높은 급료를 받는 제한된 간부들, 아웃소싱 직업을 통해 이익의 증대로 수백만 달러의 보너스를 받는 사람들이 그 대답이다. 거대한 자본의 나머지는 잘 믿는 사람들에게 최고급 귀화외국인을 파는 월스트리트의 사기꾼들에게 들어간다.



"Free traders" will assert that the benefit is in low Wal-Mart prices. But the prices are low only because China keeps its currency pegged to the dollar. Thus, the Chinese currency value falls with the dollar. The peg will not continue forever. The dollar has lost 60% of its value against the Euro during the years of the Bush regime. Already China is having to adjust the peg. When the peg goes, Wal-Mart shoppers will think they are in Neiman Marcus.

“자유무역자”들은 그 이익은 궁색한 마트가격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그 가격은 중국이 그들의 환율을 달러로 고정시켰기 때문에 낮다. 그러므로 중국의 환율가치는 달러에 비해 떨어진다. 그 peg(환율설정기준)는 영원히 계속되지 않을 것이다. 달러는 유로와 대비해 60%의 손실을 입었다. 부시의 정권이 있던 지난해동안, 이미 중국은 peg(환율설정기준)을 조정하려고 한다. peg(환율설정기준)가 실행되었을 때, Wal-Mart shopper들은 Bieman Marcous 안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Just as Americans have been betrayed by "their" leaders in government at all levels, they have been betrayed by business "leaders" on Wall Street and in the corporations. US government and business elites have proven themselves to be Americans' worst enemies.

미국인들은 그들의 모든 수준에 있는 정부의 지도자들에게 배신당할 것이고, 월스트리트와 법인회사의 경제지도자들에게 배신당할 것이다. 미국정부와 경제엘리트들은 그들 자신이 미국의 가장 나쁜 적임을 증명할 것이다.



------------------
Paul Craig Roberts was Assistant Secretary of the Treasury in the Reagan administration. He was Associate Editor of the Wall Street Journal editorial page and Contributing Editor of National Review. He is coauthor of The Tyranny of Good Intentions.He can be reached at:
PaulCraigRoberts@yahoo.com

:

비신성동맹

철학/가치론연습 2008. 3. 1. 23:44
An Unholy Alliance: The U.S. and Pakistan After 9/11, by Gary Leupp (==*)  
December 29 / 30, 2007

Blowback from an Unholy Alliance
The U.S. and Pakistan After 9/11

By GARY LEUPP


Immediately after 9-11 the U.S. government began barking orders to the world, especially to the Muslim world. Perhaps echoing unconsciously the Christian scripture passages Matthew 12:30 and Luke 11:23, it proclaimed, "Either you are with us, or with the terrorists." Remember those terrifying days, of omnipresent institutionalized ritualistic grief, anger and mandated unity, when any questioning was met with official indignation, threats, or punishment? When everything was supposed to be so clear? When above all, the national need to attack somebody---some Muslims---was supposed to be obvious, and the attack on Afghanistan in particular framed as common sense?

9.11 이후 미국 정부는 전 세계에, 특히 무슬림세계에 이래라 저래라 명령을 내리기 시작했다. 아마도 무의식적으로 기독교의 마태복음12장30절과 누가복음의 11장23절을 인용하듯이 “우리와 함께하지 않는 자는 테러리스트들이다.”라고 선언하였다. 전 세계에 편재되어있는 제도화되고, 의식화된 고통, 분노와 (부시에게) 모든 군력을 부여한 통합한 그 끔찍한 날, 모든 것이 명백하다고 생각했던 그때, 무엇보다도 국가가 누군가(무슬림 세계)를 공격할 필요가 명백했을 그때, 아프가니스탄을 공격하는 것이 상식적인 것이라는 틀이 갖춰진 그때를 생각해보라.



In Afghanistan, the Taliban was told that Washington w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errorists and the regimes that harbor them. The Taliban was of course one of the fundamentalist Islamist groups emerging from the long U.S. effort (1979-93) to topple the Soviet-supported secular regime. The Taliban in power from 1996 had netted some aid from a Washington deeply interested in Afghan oil pipeline construction, and also received aid and diplomatic support from Pakistan. Pakistan's CIA (the Inter-Service Intelligence or ISI) had helped create the Taliban in order (as Benazir Bhutto later explained) to secure the trade route into Central Asia.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들은 워싱턴(미국정부)이 테러리스트들과 그들을 숨기는 정권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탈레반은 (1979년에서 1993년 동안) 미국이 소비에트정권을 무너뜨리기 위한 오랜 노력 끝에 최근 만들어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 중의 하나였다. 1996년 정권을 잡은 탈레반은 아프가니스탄의 오일파이프라인 공사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미국으로부터의 원조와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외교적 지원과 또 다른 원조를 받아왔다. 파키스탄의 CIA(국제통계협회)는 중앙아시아와 안전한 석유파이프라인 통로를 위해 탈레반의 창설을 도와주었다.



The Taliban, then with U.S. aid suppressing opium poppy production with extraordinary success, and manifesting no special hostility towards Washington, was ordered to hand over 9-11 mastermind Osama bin Ladin. But Pashtun culture (far more than most cultures) mandates that guests receive hospitality and protection, and bin Ladin, a periodic visitor from 1984 and permanent resident since 1996, was no ordinary guest. He had raised or supplied from his personal funds millions of dollars for the anti-Soviet Mujahadeen (which one must always emphasize was supported by him as well as the U.S.), and fought against the secular "socialist" Afghan regime in the name of Islam. Taliban leader Mullah Omar could not simply turn him over to the Americans and maintain any credibility with his own social base. On the other hand, the Taliban did not wish to provoke an invasion. So the Afghans asked for evidence of bin Ladin's complicity in the attacks. Washington treated the request as absurd. The Afghans offered to turn bin Ladin over to an international court of Islamic jurists. The U.S. reiterated its demand that bin Ladin be transferred to American authorities immediately, knowing this was not going to happen and that it would thus have a popularly accepted casus belli.

미국의 원조로 인한 아편생산 금지의 성공과 미국에 대한 어떤 특별한 적개심도 없는 탈레반은 9.11테러의 지도자인 오사마 빈라덴을 인계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푸쉬툰족의 문화는 손님은 환대와 보호를 받는다. 그리고 1984년부터의 주기적인 방문과 1996년 이래로 영주권을 가진 오사마 빈라덴은 더 이상 평범한 손님이 아니었다. 그는 그의 개인적인 수백만달러의 자금을 통해 반소비에트 이슬람무장단체를 키워오고 지원해주었으며, 이슬람의 이름으로 세속의 사회주의 아프간정권과 대항해 싸웠다. 탈레반의 지도자 무하마드 오마르는 그를 간단히 미국에 인도할 수 없었고, 그의 사회적 지위에 어느 정도의 신용성을 유지해주었다. 한편으로 탈레반은 침략이 일어나는 것을 바라지 않았다. 그래서 아프간은 침략 속에서 비란덴과 공범이라는 증거를 요구했다. 미국정부는 터무니없는 대답으로 협박했다. 아프간 정부는 빈라덴을 이슬람 법관의 국제 재판에 인계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을 알게된 미국은 빈라덴을 미국의 법에 인도할 것을 반복하였고, 그것을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개전의 이유로 만들게 된 것이다.



Meanwhile Pakistan's dictator-president Gen. Pervez Musharraf was told by the U.S. State Department that Pakistan must cut ties to the Taliban. "Be prepared to be bombed. Be prepared to go back to the Stone Age," he was told by U.S. Secretary of State Colin Powell, through his deputy Richard Armitage, if he was unwilling to cooperate in the destruction of Afghanistan's Taliban regime. Musharraf was also ordered to host U.S. troops and prevent anti-U.S. demonstrations in his country. Briefly Pakistan protested that it might be better to preserve diplomatic ties with the Taliban government, in order to influence it to cooperate with the U.S. which (one must repeat) had not hitherto had an un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U.S. But caving into the U.S. diktat, angering ISI officers deeply invested in Taliban support, risking a coup or assassination, Musharraf complied with U.S. demands. He was rewarded with the removal of U.S. sanctions imposed after Pakistan's nuclear tests in 1998, and promises of massive aid as the U.S. prepared to bomb Afghanistan, topple the Talibs and impose following their downfall a government of Afghans willing to work with Washington. This of course turned out to be a government dominated by the Northern Alliance, a collection of non-Pashtuns including Uzbek and Tajik warlords hostile to Pakistan and supported by India and Iran.

그동안에 파키스탄의 독재자 대통령이면서 장군인 Pervez Musharraf는 미국 국무부에서 하라는 대로 탈레반과의 교류를 끊어야 했다. 만약 그가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의 붕괴에 협조하지 않는다면, “공습 받을 준비를 하라. 석기시대로 돌아갈 준비를 하라.”라는 미국 국무부 장관 Colin Powell의 말을 그의 비서 Richard Armitage가 전했다. Musharraf는 또한 미군이 주둔할 수 있도록 하고, 그의 나라 안에서 반미 데모운동을 막아야 했다. 당연히 파키스탄인들은 지금까지 미국과 비우호적 관계를 가진 적이 없던 탈레반 정부가 영향을 미치도록 외교적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항의하였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절대적 명령을 받아들여 탈레반의 지원에 투자한 ISI 장교들을 화나게 했고, Musharraf는 쿠데타나 암살을 감수하면서 미국의 요구에 응하였다. 그는 1998년 파키스탄의 핵실험 이후 미국의 제재 철수와 미국이 아프간의 탈레반을 와해하고 다음으로, 그들을 몰락할 수 있는 준비에 대한 약속을 함으로써 미국정부와 함께 할 수 있는 아프간 정권을 보답 받았다. 이것은 당연히 인도와 이란의 지원과 파키스탄에 적의를 품은 우즈베키스탄과 타지마할의 장군들에 속한 비푸쉬툰 족이 모인, 북부동맹에 의한 정부 지배로 실패로 돌아갔다.



The U.S. bombed; the Taliban fell, for the most part retreating to ancestral villages and lying low, monitoring the situation, seeking opportunities for resurgence. Few Americans at the time questioned the Bush administration's ready conflation of the Taliban and al-Qaeda, but the two were and are appreciably different. Al-Qaeda is a mostly Arab but multinational global network of Islamists hostile to the U.S. and its policies towards the Muslim world, growing in strength due to the continuation of those policies; the Taliban is a primarily Pashtun organization reflecting traditional Afghan Muslim fundamentalist values and fiercely opposed to foreign domination. The former is sophisticated, headed by well-educated men; the latter is largely illiterate, headed by clerics learned only in Islamic literature. The former wants to attack multiple targets to foment a generalized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Islam; the latter wants to mind its own house and maintain Afghan traditions with all their xenophobic, medieval, patriarchal, misogynistic, anti-intellectual appeal.

미국은 공습하였다. 그러나 탈레반은 몰락했고, 대부분이 조상들의 마을로 후퇴해야 됬고, 깊이 숨어 재기의 기회를 구하는 상황을 엿보았다. 어떤 미국인들도 텔레반과 알카에다를 위해 부시가 짜놓은 각본이라는 것을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지만, 그들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고, 그러하다. 알카에다는 대다수가 아랍인이지만, 미국에 적개심을 가진 이슬람의 다국적, 세계적 네트워크이며, 그들의 정책은 전통적 아프간 무슬림 근본주의자들의 가치와 외국의 지배에 대한 맹렬한 대항에 대해 반성하는 근본적 푸쉬툰인 탈레반의 정책의 존속을 위해 힘을 기르는 무슬림 세계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는 잘 교육받은 사람을 비롯한 고급 인력들이 있으나, 후자는 이슬람 문화를 배운 성직자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문맹자들도 있다. 전자는 서양과 이슬람 사이의 일반적인 대결을 조장하기 위해 다양한 대상들을 공격하길 원했다. 후자는 그들의 고유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고, 외국인을 배척하며, 낡은 사고방식과 가부장적인 남성우월주의, 반지성주의인 아프간의 전통적인 면이 지속되기를 원했다.



A mix of Taliban militants and al-Qaeda forces resisted the U.S. invasion; hundreds at least escaped into Pakistan's Federally-Administered Tribal Areas and North-West Frontier Province. Having driven bin Ladin and his followers out of Afghanistan, the U.S. declared a great victory and without skipping a beat moved on to invade and occupy Iraq, which had nothing to do with 9-11. The latter crime inevitably produced outrage globally, but particularly in Muslim countries like Pakistan, where the prestige of bin Ladin, already high in 2001, has soared ever since. (A recent poll showed his approval rating at 46%, compared to Musharraf's 38% and Bush's 9%.)

탈레반의 투사들과 알카에다 세력의 협력은 미국의 침략에 저항하였다. 그러나 적어도 백명 정도가 파키스탄의 소수종족 연방보호지인 부족의 지역과 북서병경지방으로 도망쳤다. 비라덴과 그의 무리들을 아프가니스탄의 밖으로 몰아냄으로써, 미국은 큰 승리를 선언하였고, 9.11테러와 관계없는 이라크를 침략하고 점령하기 위한 차례적인 조금의 움직임도 건너뛰지 않았다. 후기의 범죄들은 불가피하게 세계적인 반발을 만들어냈지만, 2001년 이래로, 빈라덴의 명성은 파키스탄과 같은 일부 무슬림지역에서 높이 치솟았다. (최근의 통계는 그의 지지비율은 Musharraf의 38%지지율과 부시의 9%의 지지율과 비교해서 48%에 이른 것을 보여주었다.)



Preoccupied with establishing an empire, U.S. leaders lost interest in al-Qaeda. Indeed in March 2002 President Bush referring to bin Ladin declared, "I truly am not that concerned about him." As for the al-Qaeda forces in Pakistan (whose very existence close U.S. ally Musharraf denied), they were Pakistan's problem. The U.S. had unleashed a huge problem on the Pakistani state by invading its neighbor, toppling the Afghan government, and forcing al-Qaeda to relocate into Pakistan where sympathetic tribesmen (who have always resisted firm incorporation into the state) offered them safe haven. Pashtuns straddle the boundary of the two countries; Pakistani Pashtuns are largely sympathetic to the Taliban, and now a Pakistani Taliban is growing in strength in the Taliban and elsewhere.

하나의 제국의 건설에 골몰한 나머지, 미국의 지도자은 알카에다에 대하 관심을 잃었다. 실로 2002년 3월 부시는 빈라덴에 대해 언급하면서 “나는 진심으로 그를 염려하지 않는다.”라고 선언했다. 파키스탄에서 알카에다(미국과 긴밀한 동맹자인 Musharraf가 그 존재를 부정했던)에 관한 것은 파키스탄의 문제일 뿐이다. 미국은 파키스탄의 상황에 그들의 이웃에 대한 침공으로 아프간 정부를 와해시키고, 알카에다로 하여금 알카에다에 동정적인 부족(그러한 상황 속에 단단히 혼합되는 것을 반대하는)이 제공하는 안정적인 피난처인 파키스탄 국경지역 안으로 다시 들어오도록 힘을 가하였다. 푸시툰 족은 두 나라사이에서 양다리를 걸치며 기회를 엿보았다. 파키스탄의 푸쉬툰 민족들은 탈레반에 굉장히 친밀하고, 현재 파키스탄의 탈레반들은 탈레반과 그 외의 곳에서 세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Thus the "good war" in Afghanistan preceding the generally discredited war-based-on-lies in Iraq was in fact a very bad war so far as Pakistan was concerned. It brought Afghanistan a new warlord government, in which opium is again the chief commercial crop, prettified by a "democratic" election and the appointment of a longtime CIA contact, Hamid Karzai as president and de facto mayor or Kabul. It is increasingly challenged by the recrudescent Taliban and new recruits who have regained control of much of the south. Karzai from his weak position keeps offering them peace talks, which they reject, demanding the invaders leave before any negotiations.

그러므로 (부시가 말한) “선의 전쟁”은 전쟁에 앞서, 전반적으로 불신을 받고 있는, 거짓말에 토대를 한 이라크에서의 전쟁은 사실 파키스탄과 관계하는 한 나쁜 전쟁이었다. 그것은 아프간에 새로운 군사정부를 가져왔고, 그 안에서 아편은 또다시 가장 중요한 상업적인 수확물이 되었고, “민주주의”선거와 오랫동안 CIA의 끄나풀인 Hamid Karzai를 사실상 카불의 시장에 불과한 대통령으로 지명하는 것으로 미화되었다.



For the U.S. the "good war" has meant 474 soldiers dead (116 so far this year); "coalition" dead have increased every year since 2003 and almost as many European troops have died during the last two years as Americans. Support for the Afghan mission has declined in Europe as its relevance to "counter-terrorism" becomes increasingly unclear and its character as an unwinnable counterinsurgency effort becomes more apparent.

미국입장에서의 “선의 전쟁”은 474명의 군인들의 죽음을 의미했다. (올해는 116명 가까이) 연합군의 죽음은 2003년 이래로 매년 늘어나고 지난 2년 동안 유럽의 군인들은 미국의 군인들만큼 죽어갔다. 아프간 지원 미션은 대게릴라계획의 노력이 이길 수 없는 성격이 뚜렷화되고, 마찬가지로 반테러리즘에 대한 적절성이 점점 불문명하게 되어 유럽에서의 지원은 감소하였다.



The war in Afghanistan saddled Musharraf with a mounting Islamist rebellion in the Swat Valley and elsewhere; grave dissatisfaction within the military at the unprecedented deployment in the frontier provinces (where troops have performed poorly and unenthusiastically against Islamists); and personal unpopularity related both to his ties to the U.S. and to his abuses of power. Adding to his woes, the U.S. military struck targets within his country (without his consent, he claims), and threatened to take further action against Taliban or al-Qaeda forces in Pakistan. Then the Pakistani Chief Justice opposed his bid to run for president again, and needed to be arrested, causing a nasty political crisis. In an embarrassment to Musharraf the Supreme Court ordered the justice's release. In the meantime supporters of former prime ministers Benazir Bhutto and Nawaz Sharif clamored for their return.

아프가니스탄의 전쟁은 스왓밸리와 그 밖의 곳에서의 이슬람민족의 반락과 전례없는 국경지방에 대하 군대 배치로 인한 근심스러운 불만(이슬람에 대항한 빈약하고 비열성적으로 움직이는 군대)과 미국에 대한 의지와 권력남용과 관련된 그의 개인적 비인기성을 더해서 Musharraf를 흔들어 놓았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그의 고통을 더한 것은, 미국 군부대는 그의 나라 안에 대상들을 공격했고(그의 따르면, 그의 동의없이), 탈레반과 알카에다를 위협을 가하는 행동을 하라는 협박이었다. 그리고나서 파키스탄의 대법원장은 또 다시 대통령에 출마하려는 그의 청언에 반대하였고, 대법원장은 체포당할 위기에 처했고, 심각한 정치상의 위기를 야기했다. Mushrraf에 대한 곤경 속에 대법원은 판사의 석방을 명령하였다. 그러는 동안에 전 국무총리 Bernazir Bhutto와 Nawaz Sharif의 지지자들이 그들의 귀국을 극성스럽게 요구했다.




The natural thing for a beleaguered strongman to do in such circumstances would be to declare a state of emergency and assume emergency powers. But the U.S. State Department told him no, don't do that, let Bhutto come back, work out some accommodation with her. Let the two of you share power and erect an anti-terrorist united front. So Musharraf hesitated until November, when he did indeed declare a state of emergency, meeting with Washington's public disapproval. The U.S. threatened to cut off some non-military aid if he didn't quickly lift martial law and hold elections in which Bhutto might compete. Musharraf negotiated with Bhutto, trading cancellation of corruption charges against her for his agreement to respect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that disallowed him to be both president and military officer at the same time.

사면초가에 빠진 독재자가 할 수 있는 당연한 일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비상지휘권을 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군무부는 그에게 안된다고 얘기했고, Bhutto를 돌아오게 해서 그녀와 화해를 강구하라고 하였다. 당신 두 사람이 권력을 나누고 반테러 연합전선을 정립시키도록 하였다. Musharraf는 11월까지 주저하였고, 그가 실로 비상사태를 선언하였을 때, 미국의 공식 반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미국은 만약 그가 서둘러 계엄령을 해제하고 Bhutto와의 경쟁 속에 선거를 실시하지 않는다면, 민간의 원조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협박했다. Musharraf는 Bhutto와 협상하였다. 그녀의 부패혐의를 취소시키는 것과 그가 대통령과 군장교가 동시에 될 수 없는 헌법조문에 대해 존중하는 그의 동의와 거래할 것을 협상하였다.



Quite possibly Musharraf was thinking, "These people, who have already done so much to destabilize Pakistan, now want to destabilize it further by forcing me into this." But he did, and Bhutto got killed, maybe by his people (cui bono?), maybe by al-Qaeda, maybe by homegrown Islamists angered by Bhutto's Washington ties, which are even more intimate than Musharraf's.

“이 사람들이 파키스탄을 이미 말아먹었고, 지금도 파키스탄을 말아먹길 원하여 더욱더 강제적으로 이런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 Musharraf가 이렇게 생각한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그러나 그는 그렇게 했고, Bhutto는 암살당했다. 아마도 그으 ltkfka들에 의해, (누구의 이익을 위한 것인가?) 알카에다에 의해, Bhutto의 미국과의 교류에 화가난, Musharrf보다 더 많이 친밀한 토착 이슬람족들에 의해.



Maybe Musharraf will now cancel the election. Maybe he will hold it, arranging to win big. Either way, Washington analysts agree his position is weakened by the assassination. Pakistan, more or less stable as of 2001, has in the interval been knocked off balance by U.S. action in the region. Told it must be for or against the U.S., it was obliged to obey, with grim results.

아마도 Musharrf는 지금 선거를 취소할 것이다. 아마도 그가 선거를 시행한다면, 큰 승리를 얻을 것이다. 어느 쪽이든 워싱턴의 사회분석가들은 그의 위치가 그 암살에 의해 약해졌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다. 2001년 정도의 안전성을 유지하던 파키스탄은 미국의 개입에 의해 박살났다. 미국에 우호적이거나, 반대하든지간에, 미국에 복종하도록 강요받았을 것이라고들 하고, 엄청난 결과를 초래하였다.



Unprecedented militant Islamism. Unprecedented support for bin Ladin and al-Qaeda. Unprecedented support for the Taliban. Unprecedented Taliban-like attacks on Buddhist monuments, parts of Pakistan's cultural heritage. The assassination of a popular pro-Western political figure on whom the U.S. State Department had placed its bets. Anti-Musharraf rioting in the wake of the assassination. Dire consequences indeed of Musharraf's alliance.

전례없이 호전적인 이슬람의 양태. 전례없었던 빈라덴과 알카에다의 지원. 전례없었던 탈레반의 지원, 전례없었던 탈레반과 같은 이들의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파키스탄의 불교도 유적에 대한 공격. 통속적인 친서구의 정치적 계획하의 암살은 미국 정부의 의견에 의한 것이다. 그 암살의 결과로 반 Musharraf들은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 Musharraf의 협약은 실로 무서운 결과이다.


-------------
Gary Leupp is Professor of History at Tufts University, and Adjunct Professor of Comparative Religion. He is the author of Servants, Shophands and Laborers in in the Cities of Tokugawa Japan; Male Colors: The Construction of Homosexuality in Tokugawa Japan; and Interracial Intimacy in Japan: Western Men and Japanese Women, 1543-1900. He is also a contributor to CounterPunch's merciless chronicle of the wars on Iraq, Afghanistan and Yugoslavia, Imperial Crusades.

He can be reached at: gleupp@granite.tufts.ed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