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8.06.27 다극화되어가는 세계의 발생

다극화되어가는 세계의 발생

철학/가치론연습 2008. 6. 27. 12:53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다극화한 세계의 증가

by Dilip Hiro


간단요약 ==========================================================================================
이 글은 언론, 경제, 군사 등 다방면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라고 하는 미국에 대항하고 있는 베네수엘라와 러시아,
중국 등의 나라의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은 현재 점점 쇠퇴해가고 있으며, 더이상 미국에게 계속 기대고 있다가는 같이 몰락의 길을 가고 말것이다. 이 글을 읽으면서 우리나라 역시 미국으로부터 멀어지고, 다른 나라와 협조하여 발전을 이룩해나가야 할 것이다.
====================================================================================================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the United States stood tall - militarily invincible, economically unrivalled, diplomatically uncontestable, and the dominating force on information channels worldwide. The next century was to be the true "American century," with the rest of the world molding itself in the image of the sole superpower.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에 따라 미국은 우뚝 서게 되었다. - 무적의 군사, 경제적으로 무적이고, 외교적으로 논쟁할 수 없고, 세계의 정보 채널을 지배하는 힘. 다음 세기는 진정으로 “미국의 세기” 가 될 것이다. 세계의 나머지 지역에서 그 자신이 유일한 초강대국의 이미지를 형성하면서

Yet, with not even a decade of this century behind us, we are already witnessing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in which new powers are challenging different aspects of American supremacy -- Russia and China in the forefront, with regional powers Venezuela and Iran forming the second rank. These emergent powers are primed to erode American hegemony, not confront it, singly or jointly.

그러나 금세기에 들어선지 10년도 채 못 되어 우리들은 이미 새로운 세력이 미국 패권의 다른 측면에 도전하는 다극화 세계가 시작되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 선두에는 러시아와 중국이 있고, 지역 강대국 베네수엘라와 이란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떠오르는 세력은  미국의 헤게모니를 좀먹기 위해 정면으로 맞서지 않고, 단독으로 또는 서로 연대하여 준비한다.

How and why has the world evolved in this way so soon? The Bush administration's debacle in Iraq is certainly a major factor in this transformation, a classic example of an imperialist power, brimming with hubris, over-extending itself. To the relief of many -- in the U. S. and elsewhere -- the Iraq fiasco has demonstrated the striking limitations of power for the globe's highest-tech, most destructive military machine. In Iraq, Brent Scowcroft, national security adviser to two U.S. presidents, concedes in a recent op-ed, "We are being wrestled to a draw by opponents who are not even an organized state adversary."

어떻게 그리고 왜 세계는 이러한 방식으로 빠르게 발전되어 가는가?  이라크에서  부시 행정부의 패배는 오만으로 가득차고 그 자신이 지나치게 확대된 제국주의 권력의 고전적인 예로서 확실히 이 변화의 주요한 요인이다. 다수의 구조를 위해서 - 미국과 다른 곳에서 - 이라크 실패는 세계 최고 기술의 파괴적인 군사무기에 의한 힘에 의한 공격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이라크에서, 2명의 미국 대통령의 국가 안보 보좌관이었던 Brent Scowcroft는 최근 신문의 특집기사에서 시인했다. "우리는 심지어 국가 수준도 안 되는 반대자들에 의해 끌려가며 싸우고 있다.”

The invasion and subsequent disastrous occupation of Iraq and the mismanaged military campaign in Afghanistan have crippled the credibility of the United States. The scandals at Abu Ghraib prison in Iraq and Guantanamo in Cuba, along with the widely publicized murders of Iraqi civilians in Haditha, have badly tarnished America's moral self-image. In the latest opinion poll, even in a secular state and member of NATO like Turkey, only 9% of Turks have a "favorable view" of the U.S. (down from 52% just five years ago).

이라크를 침공했다가 재앙으로 변한 점령,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어설픈 군사 행동은 미국의 신용에 장애를 가져왔다. 이라크의 Abu Ghraib(아부 그레이브) 수용소와 쿠바의 Guantanamo(관타나모) 수용소에서의 스캔들, Haditha(하디타)의 이라크 민간인들의 널리 선전된 살인과 함께, 미국의 도덕적 자부심을 더럽힌다.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심지어 비종교적 국가이고, NATO의 멤버인 터키 같은 국가에서도, 터키사람의 오직 9 %만이 미국에 “호의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5년 전 52 %에서부터 하락)

Yet there are other explanations -- unrelated to Washington's glaring misadventures -- for the current transformation in international affairs. These include, above all, the tightening market in oil and natural gas, which has enhanced the power of hydrocarbon-rich nations as never before; the rapid economic expansion of the mega-nations China and India; the transformation of China into the globe's leading manufacturing base; and the end of the Anglo-American duopoly in international television news.

그러나 거기에는 다른 설명들이 있다. ― 워싱턴의 지독한 불운과는 관계가 없다. - 국제적인 사건에서의 최근의 변화에는. 이것은 무엇보다 석유와 천연 가스의 긴축시장 문제를 포함한다. 석유가 풍부한 국가들은 전례 없이 힘이 커졌다. ;  중국과 인도 같은 인구대국이 급속한 경제 성장을 했고 ; 세계를 이끄는 제조업 기반이 된 중국의 변화 ; 그리고 국제적인 텔레비전 뉴스에서 미국과 영국의 독점 체제가 끝났다.

Many Channels, Diverse Perceptions
많은 Channel, 다양한 이해

During the 1991 Gulf War, only CNN and the BBC had correspondents in Baghdad. So the international TV audience, irrespective of its location, saw the conflict through their lenses. Twelve years later, when the Bush administration, backed by British Prime Minister Tony Blair, invaded Iraq, Al Jazeera Arabic broke this duopoly. It relayed images -- and facts -- that contradicted the Pentagon's presentatio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world witnessed two versions of an ongoing war in real time. So credible was the Al Jazeera Arabic version that many television companies outside the Arabic-speaking world -- in Europe, Asia and Latin America -- showed its clips.

1991년 걸프 전 때, 오직 CNN과 BBC만이 바그다드에 특파원을 두었다. 그래서 국제적인 TV 시청자는 장소에 관계없이 그들의 렌즈를 통하여 충돌을 보았다.  12 년뒤, 부시 행정부가 영국 총리 토니 블레어에 의해 후원을 받아 이라크에 침입하였을 때, 아랍의 Al Jazeera는 이 양대 강국의 패권을 깨뜨렸다. 그것은 이미지를 교체했다 - 그리고 사실들 - 미국 국방부의 발표를 반박했다. 사상 처음으로, 세계는 실시간으로 진행 중인 전쟁의 두 가지 버전을 목격했다.  그래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랍의 버전인 Al Jazeera였다. 아랍 밖의 텔레비전 회사들은 - 생생한 세계 - 유럽, 아시아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알자지라의 영상을 보여주었다. 

Though, in theory, the growth of cable television worldwide raised the prospect of ending the Anglo-American duopoly in 24-hour TV news, not much had happened due to the exorbitant cost of gathering and editing TV news. It was only the arrival of Al Jazeera English, funded by the hydrocarbon-rich emirate of Qatar -- with its declared policy of offering a global perspective from an Arab and Muslim angle -- that, in 2006, finally broke the long-established mold.

이론적으로 볼 때 케이블 텔레비전의 세계적인 성장은 24시간 TV news에서의 미국과 영국의 독점체제가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TV 뉴스의 자료를 모으고 편집하는 터무니없는 비용 때문에.  오직  Al Jazeera 영어방송만이  도착한다. 석유가 풍부한 카타르의 아랍에미리트의 기금으로. ― 그것은 세계적인 관점의 정책을 선언한다. 2006년, 비로소 오랫동안 수립된 틀을 깨뜨렸다. 

Soon France 24 came on the air, broadcasting in English and French from a French viewpoint, followed in mid-2007 by the English-language Press TV, which aimed to provide an Iranian perspective. Russia was next in line for 24-hour TV news in English for the global audience. Meanwhile, spurred by Venezuelan President Hugo Chavez, Telesur, a pan-Latin-American TV channel based in Caracas, began competing with CNN in Spanish for a mass audience.

곧이어 프랑스 24가 영어와 불어로 프랑스의 시각에서 방송을 하기 시작했으며 , 그것에 뒤이어 2007년 중반에 Press TV가 영어 방송을 하였다. 이란 사람의 관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러시아도 뒤를 이어 전 세계 관객을 위한 24시간 TV뉴스를 영어로 하였다. 한편, 베네수엘라 대통령 Hugo Chavez에 의해 박차가 가해진 Caracas에 위치한 pan-Latin-American TV 채널인 텔레수르는 일반대중을 위한 스페인어 방송으로 CNN과 경쟁하기 시작하였다.


As with Qatar, so with Russia and Venezuela, the funding for these TV news ventures has come from soaring national hydrocarbon incomes -- a factor draining American hegemony not just in imagery but in reality.

카타르처럼, 러시아와 베네수엘라는 이들 TV 뉴스 벤처사업을 위해 자금을 조달한다.  치솟는 석유 수입을 통해 - 미국인의 헤게모니를 줄이려는 원인이다.  단지 이미지만이 아니라 실제로.

Russia, an Energy Superpower
러시아, 에너지 강대국

Under President Vladimir Putin, Russia has more than recovered from the economic chaos that followe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1991. After effectively renationalizing the energy industry through state-controlled corporations, he began deploying its economic clout to further Russia's foreign policy interests.

Vladimir Putin 대통령 때,  러시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에 따른 경제적인 혼란으로부터 회복되었다. 국가의 지배를 받는 회사를 통한 에너지 산업의 효과적인 국영화 이후에, 그는 경제적인 영향력을 재배치하기 시작했다. 러시아의 외교 정책 이익을 위해.

In 2005, Russia overtook the United States, becoming the second largest oil producer in the world. Its oil income now amounts to $679 million a day. European countries dependent on imported Russian oil now include Hungary, Poland, Germany, and even Britain.

2005년, 러시아는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석유 생산국으로 떠오르면서 미국을 따라잡았다. 석유 수입은 현재 하루에 6억 7900만 달러에 달한다.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 석유를 수입하는데 의존한다. 현재 헝가리, 폴란드, 독일은 물론 영국까지 포함돼있다. 

Russia is also the largest producer of natural gas on the planet, with three-fifths of its gas exports going to the 27-member European Union (EU). Bulgaria, Estonia, Finland, and Slovakia get 100% of their natural gas from Russia; Turkey, 66%; Poland, 58%; Germany 41%; and France 25%. Gazprom, the biggest natural gas enterprise on Earth, has established stakes in sixteen EU countries. In 2006, the Kremlin's foreign reserves stood at $315 billion, up from a paltry $12 billion in 1999. Little wonder that, in July 2006 on the eve of the G8 summit in St Petersburg, Putin rejected an energy charter proposed by the Western leaders.

러시아는 또한 천연가스의 가장 큰 생산자이다.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가스 중 5분의 3이 27 곳의 EU 회원국 27개국에 수출된다. 불가리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고 슬로바키아는 러시아로부터 그들의 천연가스의 100 %를 얻는다. 터키는 66 %, 폴란드는 58 %, 독일은 41%, 프랑스는 25 %를 수입한다. 지구에서 가장 큰 천연가스 회사인 Gazprom(가스프롬)은 16개의 EU 국가에 회사를 설립했다.  2006년에, 크렘린 궁의 외환 보유액은 3150억 달러로, 1999년에 얼마 안 되는 120억 달러에서 급증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의 2006년 7월 G8 회담의 전날, 푸틴은 서부 지도자들에 의해 제안된 에너지 헌장을 거절했던 것은 이상할게 없다. 

Soaring foreign-exchange reserves, new ballistic missiles, and closer links with a prospering China -- with which it conducted joint military exercises on China's Shandong Peninsula in August 2005 -- enabled Putin to deal with his American counterpart, President George W. Bush, as an equal, not mincing his words when appraising American policies.

급증하는 외환보유액, 새로운 탄도 미사일, 그리고 번영하는 중국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 그것은 2005년 8월 중국의 산둥 반도에서 연합 군사 훈련이 수행된 것과 함께 ― 강화된 푸틴은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와 동등하게 의논했다. 미국 정책을 평가할 때 기탄없이 말했다. 

"One country, the United States, has overstepped its national boundaries in every way," Putin told the 43rd Munich Trans-Atlantic conference on security policy in February 2007. "This is visible in the economic,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ies it imposes on other nations...This is very dangerous."

 "미국은 모든 면에서 국경의 한계를 넘어섰다.” 푸틴은 2007년 2월에 열린 43번째 뮌헨 안보 정책 대서양 항로 동맹에서 말했다. "이것은 명백히 다른 국가의 경제, 정치, 문화와 교육 정책에 강제한다. 이것은 매우 위험한 현상이다.”

Condemning the concept of a "unipolar world," he added: "However one might embellish this term, at the end of the day it describes a scenario in which there is one center of authority, one center of force, one center of decision-making...It is a world in which there is one master, one sovereign. And this is pernicious." His views fell on receptive ears in the capitals of most Asian, African, and Latin American countries.
“단극 세계”의 개념을 강하게 비난하면서 그는 덧붙였다. : "그러나 하나는 이 기간을 장식할지도 모른다. 결국 그것은 한 시나리오에서 묘사한다. 거기에는 하나의 권력의 중심, 하나의 힘의 중심, 하나의 정책결정의 중심이다. 그 세계에는 하나의 지도자가 있고, 하나의 주권자가 있다. 그리고 이것은 유해하다.” 그의 견해는 대부분의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수도에서 경청했다.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Moscow and Washington was noted, among others, by analysts and policy-makers in the hydrocarbon-rich Persian Gulf region. Commenting on the visit that Putin paid to long-time U.S. allies Saudi Arabia and Qatar after the Munich conference, Abdel Aziz Sagar, chairman of the Gulf Research Center, wrote in the Doha-based newspaper The Peninsula that Russia and Gulf Arab countries, once rivals from opposite ideological camps, had found a common agenda of oil, anti-terrorism, and arms sales. "The altered focus takes place in a milieu where the Gulf countries are signaling their keenness to keep all geopolitical options open, reviewing the utility of the United States as the sole security guarantor, and contemplating a collective security mechanism that involves a host of international players."

모스크바와 워싱턴 사이의 관계의 변화, 그 중에서도 특히 석유가 풍부한 페르시아 만 지역에서의 분석자와 정책입안자들에 의해 그러한 변화가 감지되었다. 페르시아 만 연구 센터의 의장 Abdel Aziz Sagar는 Munich 회담이 있은 후, 푸틴이 오랜 미국의 동맹국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에 방문한 것에 대해 논평을 하면서, Doha(카타르의 수도)지역의 신문 The Peninsula에 기고하기를, 한 때 상반되는 이데올로기 진영의 적대국들이었던 러시아와 걸프 만의 아랍 국가들이 석유, 반테러주의, 무기판매에 대한 공동의제를 찾아냈다고 하였다. “초점변화의 조짐이 일어나고 있다. 일체의 지정학적 선택 가능성들을 열어두려는 민감한 신호를 걸프 국가들이 보내는 분위기속에서, 유일한 안전보장국가 신분의 미국의 효용성을 검토하고 동시에 여러 활동국가들이 관련되는 집단안보체제를 재고하면서”

In April 2007, the Kremlin issued a major foreign policy document. "The myth about the unipolar world fell apart once and for all in Iraq," it stated. "A strong, more self-confident Russ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positive changes in the world."

2007년 4월, 크렘린 궁은 주요 외교 정책 문서를 발행하였다. "단극 세계의 신화는 이라크에서 한 번에 무너졌다” 그것은 언급했다. "강력하고, 자신감에 차있는 러시아는 세계의 긍정적인 변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The Kremlin's increasingly tense relations with Washington were in tune with Russian popular opinion. A poll taken during the run-up to the 2006 G8 summit revealed that 58% of Russians regarded America as an "unfriendly country." It has proved to be a trend. This July, for instance, Major Gen Alexandr Vladimirov told the mass circulation newspaper Komsolskya Pravada that war with the United States was a "possibility" in the next ten to fifteen years.

워싱턴과 크렘린 궁의 증대되는 긴장 관계는 러시아의 민중들의 의견과 조화된다. 2006 G8 정상회담이 열릴 당시의 여론조사는 러시아 국민들의 58 %가 미국을 “비우호적인 국가” 로 간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것은 추세가 되었음이 입증되었다. 예를 들면, 7월에 Gen Alexandr Vladimirov는 대량 발행 부수 신문 Komsolskya Pravada에서 미국과의 전쟁은 향후 10년에서 15 년 내에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하였다.

Chavez Rides High
의기양양한 Chavez

Such sentiments resonated with Hugo Chavez. While visiting Moscow in June 2007, he urged Russians to return to the ideas of Vladimir Lenin, especially his anti-imperialism. "The Americans don't want Russia to keep rising," he said. "But Russia has risen again as a center of power, and we, the people of the world, need Russia to become stronger."

그러한 생각은 Hugo Chavez도 동조했다. 2007년 6월 모스크바를 방문하는 동안에, 그는  러시아 사람들이 Vladimir Lenin의 정신을 되돌릴 것을 주장했다.  특히 그의 반제국주의를 "미국은 러시아가 성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가 말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권력의 중심으로 다시 떠올랐고, 그리고 우리들, 전 세계의 사람들은 러시아가 더 강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Chavez finalized a $1 billion deal to purchase five diesel submarines to defend Venezuela's oil-rich undersea shelf and thwart any possible future economic embargo imposed by Washington. By then, Venezuela had become the second largest buyer of Russian weaponry. (Algeria topped the list, another indication of a growing multipolarity in world affairs.) Venezuela acquired the distinction of being the first country to receive a license from Russia to manufacture the famed AK-47 assault rifle.

Chavez는 5개의 디젤 잠수함을 구입하기위해 10억 달러에 최종 계약을 했다. 베네수엘라의 석유가 풍부한 해저의 대륙붕을 지키고, 워싱턴이 미래의 경제적인 통상 정지를 강제하게 될 가능성에서 지키기 위해. 베네수엘라는 이미 러시아 무기를 가장 많이 사들이는 2번째로 고객이 되었다. (알제리는 리스트의 최상위를 차지했다. 이는 국제정치에서 성장하는 다극성의 또 다른 징조이다.) 베네수엘라는 러시아로부터 자격증을 받은 첫 번째 국가가 된 특별대우를 획득했다. 유명한 AK-47 돌격용 자동 소총을 제조하기 위한. 

By channeling some of his country's oil money to needy Venezuelans, Chavez broadened his base of support. Much to the chagrin of the Bush White House, he trounced his sole political rival, Manuel Rosales, in a December 2006 presidential contest with 61% of the vote. Equally humiliating to the Bush administration, Venezuela was, by then, giving more foreign aid to needy Latin American states than it was.

가난한 베네수엘라 사람들에게 그의 국가의 오일머니(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돈)의 몇몇 channeling을 하는 것으로, Chavez는 그의 지지 기반을 넓혔다. 백악관의 부시에게는 매우 유감스럽게도, 그는 그의 유일한 정치적 경쟁자인 Manuel Rosales을 완승했다.  2006년 12월의 대통령 선거에서 61 % 득표하여. 부시 행정부에게 동등하게 굴욕적이다.  베네수엘라는 그때까지보다 가난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 더 많은 대외 원조를 했다. 

Following his reelection, Chavez vigorously pursued the concept of forming an anti-imperialist alliance in Latin America as well as globally. He strengthened Venezuela's ties not only with such Latin countries as Bolivia, Cuba, Ecuador, Nicaragua, and debt-ridden Argentina, but also with Iran and Belarus.

재선 후, Chavez는 반제국주의 동맹을 형성하는 생각을 활발하게 추구하였다. 라틴 아메리카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서.  그는 베네수엘라의 유대를 강화했다. 볼리비아, 쿠바, 에콰도르, 니카라과, 그리고 빚에 허덕이는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이란과 벨로루시(폴란드에 인접한 독립 국가 연합의 하나)와의 

By the time he arrived in Tehran from Moscow (via Minsk) in June 2007, the 180 economic and political accords his government had signed with Tehran were already yielding tangible results. Iranian-designed cars and tractors were coming off assembly lines in Venezuela. "[The] cooperation of independent countries like Iran and Venezuela has an effective role in defeating the policies of imperialism and saving nations," Chavez declared in Tehran.

그가 2007년 6월, 모스크바(Minsk을 통하여)로부터 테헤란에 도착했을 때까지, 180개 경제와 정치적 협정을 맺다. 그의 정부는 테헤란과 계약을 체결했다. 이미 확실한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란 사람이 디자인한 자동차와 트랙터가 베네수엘라에서 생산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란과 베네수엘라 같은 독립 국가들의 협력은 제국주의의 정책을 좌절시키고 여러 나라를 구하는 데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Stuck in the quagmire of Iraq and lashed by the gusty winds of rocketing oil prices, the Bush administration finds its area of maneuver woefully limited when dealing with a rising hydrocarbon power. To the insults that Chavez keeps hurling at Bush, the American response has been vapid. The reason is the crippling dependence of the United States on imported petroleum which accounts for 60% of its total consumed. Venezuela is the fourth largest source of U.S imported oil after Canada, Mexico, and Saudi Arabia; and some refineries in the U.S are designed specifically to refine heavy Venezuelan oil.

이라크의 꼼짝할 수 없는 곤경에 빠지고 치솟는 유가의 바람에 의해 공격당한 부시 행정부는 슬픔에 가득차서 제한된 책략의 지역을 찾는다. Chavez가 계속해서 부시에게 모욕을 하는데도 미국의 반응은 미적지근하다. 그 이유는 미국이 소비하는 석유의 60%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베네수엘라는 캐나다, 멕시코,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의 뒤를 이어 미국이 가장 많이 석유를 수입하는 4번째 국가이다.; 그리고 미국에 있는 몇 개의 정제소는 특별히 베네수엘라의 중유를 정제한다.

In Chavez's scheme to undermine the "sole superpower," China has an important role. During an August 2006 visit to Beijing, his fourth in seven years, he announced that Venezuela would triple its oil exports to China to 500,000 barrels per day in three years, a jump that suited both sides. Chavez wants to diversify Venezuela's buyer base to reduce its reliance on exports to the U.S and China's leaders are keen to diversify their hydrocarbon imports away from the Middle East, where American influence remains strong.

“유일한 초강대국”에 타격을 주려는 Chavez의 구상에, 중국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6년 8월 7년 간 4번째에 해당하는 베이징 방문 동안, 그는 베네수엘라가 3년 내에 중국에 대한 석유 수출량을 현재보다 3배 많은 하루에 50만 배럴 까지 늘이겠다고 발표하였다. 이 도약은 양측에 적합하다.  Chavez는 베네수엘라의 바이어의 기초를 다양화하기를 원했다. 미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그리고 중국의 지도자들은 그들의 석유 수입을 다양화하고자 했다.  미국의 영향력이 강한 중동으로부터 떨어져. 

"The support of China is very important [to us] from the political and moral point of view," Chavez declared. Along with a joint refinery project, China agreed to build thirteen oil drilling platforms, supply eighteen oil tankers, and collaborate with the state-owned company, Petroleos de Venezuela S.A. (PdVSA), in exploring a new oilfield in the Orinoco Basin.

 "중국의 지원은 매우 중요하다.[우리에게]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관점에서” Chavez는 선언했다. 공동 정제소 연구 과제와 더불어, 중국은 13개의 석유 시추탑을 건설학고 18개의 유조선을 공급하기로 했다. 그리고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기업 S.A.(PdVSA)페데베사와 협력하기로 했다.   새로운 유전지역인 Orinoco Basin을 조사하는 것을 

China on a Stratospheric Trajectory
성층권 궤도위의 중국

So dramatic has been the growth of the state-run company PetroChina that, in mid-2007, it was second only to Exxon Mobil in its market value among energy corporations. Indeed, that year three Chinese companies made it onto the list of the world's ten most highly valued corporations. Only the U.S. had more with five. China's foreign reserves of over $1 trillion have now surpassed Japan's. With its gross domestic product soaring past Germany's, China ranks number three in the world economy.

중국의 국영 석유기업 페트로차이나의 성장도 극적이다.  2007년 중반, 페트로차이나는 전 세계 에너지 기업 중 시장가치로  Exxon Mobil에 이어 2위를 했다. 실제로, 그 해에 3개의 중국 회사들은 높은 가치를 가진 세계의 10대 회사의 리스트에 올랐다. 미국이 5개를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1조 달러를 넘어서며 지금 일본의 외환 보유액을 능가하였다. 국내총생산(GDP)도 독일을 능가하며, 중국은 세계 3위의 경제대국으로 떠올랐다. 

In the diplomatic arena, Chinese leaders broke new ground in 1996 by sponsoring the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 consisting of four adjoining countries: Russia and the three former Soviet Socialist republics of Kazakhstan, Kyrgyzstan, and Tajikistan. The SCO started as a cooperative organization with a focus on countering drug-smuggling and terrorism. Later, the SCO invited Uzbekistan to join, even though it does not abut China. In 2003, the SCO broadened its scope by including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its charter. That, in turn, led it to grant observer status to Pakistan, India, and Mongolia -- all adjoining China -- and Iran which does not. When the U.S. applied for observer status, it was rejected, an embarrassing setback for Washington, which enjoyed such status at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외교 분야에서도, 중국 지도자들은  1996년 상하이협력기구(SCO)를 주도하면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4개의 인접 국가들로 구성된 : 러시아와 이전의 소비에트 공화국의 세 나라 였던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SCO는 마약 밀수와 테러에 대응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협력 기구로서 출발하였다. 이후, SCO는 우즈베키스탄이 참여하도록 초대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국과 인접하지 않았을지라도. 2003년, SCO는 그의 헌장에 지역 경제 협력기구의 성격이 포함되면서 범위가 확장되었다. 차례로 옵서버의 자격으로 중국과 인접한 파키스탄, 인도, 그리고 몽골과 중국과 인접하지 않은 이란까지 끌어들였다. 미국이 옵서버의 자격에 참여하기를 원했을 때, 그것은 거부당했다. 동남아시아연합(ASEAN)에서 옵서버 지위를 누려온 미국으로서는 당혹스러운 사건이었다.

In early August 2007, on the eve of an SCO summit in the Kyrgyz capital of Bishkek, the group conducted its first joint military exercises, codenamed Peace Mission 2007, in the Russian Ural region of Chelyabinsk. "The SCO is destined to play a vital role in ensuring international security," said Ednan Karabayev, foreign minister of Kyrgyzstan.

2007년 8월 초, 키르기스스탄의 수도 비슈케크에서 SCO 정상회의가 열리기 전날, SCO가 수행하는 첫 번째 합동군사훈련이 실시되었다.  '평화임무 2007'이라는 코드명을 붙인. 러시아의 남부 첼랴빈스크 시에서. "SCO는 국제안보에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키르기스스탄의 에드난 카라바예프 외교장관은 말했다.
In late 2006, as the host of a China-Africa Forum in Beijing attended by leaders of 48 of 53 African nations, China left the U.S. woefully behind in the diplomatic race for that continent (and its hydrocarbon and other resources). In return for Africa's oil, iron ore, copper, and cotton, China sold low-priced goods to Africans, and assisted African counties in building or improving roads, railways, ports, hydro-electric dams, telecommunications systems, and schools. "The western approach of imposing its values and political system on other countries is not acceptable to China," said Africa specialist Wang Hongyi of the China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We focus on mutual development."

2006년 말, 베이징에서 개최된 중국-아프리카 포럼에는 53개의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48개국의 지도자들이 참여했다. 중국이 미국을 비참하게 따돌렸다. 외교 경쟁에서(그리고 석유와 다른 자원들도). 아프리카의 석유, 철광, 구리, 면화 등을 수입하는 대가로 중국은 저가의 상품을 판매했고, 아프리카 국가들이 도로, 철도, 항만, 수력발전소, 통신설비, 학교 등을 건설하고 개량하는 사업에 협력했다. "다른 나라에 자신들의 이데올로기적 가치와 정치체제를 강제하려는 서구적 접근방식은 중국이 용납할 수 없는 것" 이라고 중국의 국제문제연구소에서 아프리카 전문가로 일하는 왕홍이는 말했다. "우리는 상호발전을 초점을 맞추고 있다."
To reduce the cost of transporting petroleum from Africa and the Middle East, China began constructing a trans-Burma oil pipeline from the Bay of Bengal to its southern province of Yunan, thereby shortening the delivery distance now traveled by tankers. This undermined Washington's campaign to isolate Myanmar. (Earlier, Sudan, boycotted by Washington, had emerged as a leading supplier of African oil to China.) In addition, Chinese oil companies were competing fiercely with their Western counterparts in getting access to hydrocarbon reserves in Kazakhstan and Uzbekistan.

중국은 아프리카와 중동으로부터의 석유 수송비용을 줄이기 위해, 미얀마를 경유하는 석유 파이프라인 공사에 착수했다. 그 파이프라인은 미얀마의 남쪽 지방 유난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수송 거리를 줄여준다. 기존의 유조선을 이용한 방법보다. 이러한 사업은 미국이 미얀마를 고립시키려는 계획에 차질을 가져다주었다. (일찍이 미국에서 수입거부조치를 해왔던 수단은 중국에서는 아프리카의 선도적인 석유공급원으로 등장했다.) 게다가 중국의 석유 회사들은 서구 석유 회사들과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석유 자원 개발 대한 접근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China's oil diplomacy is putting the country on a collision course with the U.S. and Western Europe, which have imposed sanctions on some of the countries where China is doing business," comments William Mellor of Bloomberg News. The sentiment is echoed by the other side. "I see China and the U.S. coming into conflict over energy in the years ahead," says Jin Riguang, an oil-and-gas advisor to the Chinese government and a member of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uncil.

“중국의 석유 외교는 미국과 서구 유럽과의 충돌을 야기 하고 있다. 미국과 서구 유럽은 중국과 비즈니스를 하는 몇몇 나라들에 제재를 가하고 있다.” Bloomberg 뉴스의 윌리엄 멜러가 말했다. 그런 경향은 다른 면에서도 엿보인다. “앞으로 중국과 미국은 에너지를 두고 충돌하게 될 것이다.” 중국 정부의 석유․가스부문 고문이자 중국인민정치자문회 상임위원회 회원인 진 리광이 말했다.

China's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has spurred the modernization of its military as well. The test-firing of the country's first anti-satellite missile, which successfully destroyed a defunct Chinese weather satellite in January 2007, dramatically demonstrated its growing technological prowess. An alarmed Washington had already noted an 18% increase in China's 2007 defense budget. Attributing the rise to extra spending on missiles, electronic warfare, and other high-tech items, Liao Xilong, commander of the People's Liberation Army's general logistics department, said: "The present day world is no longer peaceful and to protect national security, stability and territorial integrity we must suitably increase spending on military modernization."

중국의 산업화와 현대화는 군사 현대화에도 역시 박차를 가했다.  2007년 1월 중국은 첫 번째 위성 공격 미사일 시험 발사를 하여, 자국의 기상 위성을 성공적으로 폭파시켰다. 이것은 중국의 무기 기술이 극적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놀란 미국은 이미 2007년 중국의 국방 예산이 18% 증가했음에 주목한 바 있다. 중국의 국방 예산 증가는 미사일, 전자 무기와 다른 하이테크 장비에 대한 지출 증가에 기인한다며, 인민해방군 일반 병참부 사령관 리야오 실롱은 말했다. “오늘날 세계는 더 이상 평화롭지 않으며 국가 안보, 안전과 영토보전을 위해서 우리는 적당한 수준으로 군현대화에 대한 지출을 증가시켜야한다.”

China's declared budget of $45 billion was a tiny fraction of the Pentagon's $459 billion one. Yet, in May 2007, a Pentagon report noted China's "rapid rise as a regional and economic power with global aspirations" and claimed that it was planning to project military farther afield from the Taiwan Straits into the Asia-Pacific region in preparation for possible conflicts over territory or resources.
중국의 공식 국방 예산은 450억 달러로 미국 펜타곤의 4590억 달러에 비하면 매우 적지만, 2007년 5월 미 국방부의 한 보고서는 ‘야심을 가진 중국의 지역적․ 경제적 파워의 급속한 성장’에 주목한 바 있다. 그리고 그것이 대만 해협을 넘어 아시아-태평양에 이르는 지역에서 이후에 일어날 수 있는 영토 또는 자원에 대한 군사적인 충돌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The Sole Superpower in the Sweep of History
역사를 휩쓴 유일한 초강대국
 
This disparate challenge to American global primacy stems as much from sharpening conflicts over natural resources, particularly oil and natural gas, as from ideological differences over democracy, American style, or human rights, as conceived and promoted by Western policy-makers. Perceptions about national (and imperial) identity and history are at stake as well.

이런 미국의 패권에 대한 도전은 차이를 보인다. 천연자원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를 둘러싼 충돌에서 더 첨예한 갈등을 보인다. 민주주의, 미국식, 또는 인권 같은 서구 정책결정자들의 상상과 달리. 국가에 관한 예외는 (그리고 제국의) 생각과는 달리 정체성과 역사성은 마찬가지로 stake하다.

It is noteworthy that Russian officials applauding the swift rise of post-Soviet Russia refer fondly to the pre-Bolshevik Revolution era when, according to them, Tsarist Russia was a Great Power. Equally, Chinese leaders remain proud of their country's long imperial past as unique among nations.
그것은 주목할 만하다. 러시아 공직자들이 과거 소련의 급속한 성장을 언급하며 박수를 보내면서 볼셰비키 혁명 이전 시대의 제정 러시아가 패권 국가였다는 것을 언급하는 걸 좋아했다는 것은. 동일하게, 중국의 지도자들도 여전히 중국이 오랜 기간 동안 지역 내에서 최고 권력을 가졌었다는 것을 자랑스러워한다.

When viewed globally and in the great stretch of history, the notion of American exceptionalism that drove the neoconservatives to proclaim the Project for the New American Century in the late 20th century -- adopted so wholeheartedly by the Bush administration in this one -- is nothing new. Other superpowers have been there before and they, too, have witnessed the loss of their prime position to rising powers.

세계적 시각으로 그리고 유구한 역사의 관점에서, 미국 예외론의 의견은 신보수주의로 하여금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미국의 시대를 위한 프로젝트를 주장하도록 만드는 - 부시 정부가 성실하게 채택한 - 새로운 것이 아니다. 다른 초강대국들도 자국의 독보적인 지위가 감소하고 새로운 권력이 등장하는 것을 목격했을 때 그렇게 했었다.

No superpower in modern times has maintained its supremacy for more than several generations. And, however exceptional its leaders may have thought themselves, the United States, already clearly past its zenith, has no chance of becoming an exception to this age-old pattern of history.
현대사에서 어떠한 초강대국도 몇 세대를 거쳐 패권을 유지한 사례가 없다. 그러나 미국 지도자들은 자국은 예외라고 생각해왔다. 미국은 이미 분명히 쇠퇴하고 있고, 오랜 역사의 패턴에서 벗어나 예외적 존재가 될 가능성은 결코 없다.

Dilip Hiro is the author of Secrets and Lies: Operation "Iraqi Freedom" and, most recently, Blood of the Earth: The Battle for the World's Vanishing Oil Resources, both published by Nation Books.

Dilip Hiro는 『 비밀과 거짓말: “이라크 자유” 작전』과 최근 『지구의 혈액 : 고갈되는 석유자원을 둘러싼 세계전쟁』의 작가이다. Nation Books에서 두 권을 출간한.

This article first appeared on Tomdispatch.com, a weblog of the Nation Institute, which offers a steady flow of alternate sources, news, and opinion from Tom Engelhardt, long time editor in publishing, co-founder of the American Empire Project and author of Mission Unaccomplished (Nation Books), the first collection of Tomdispatch interviews.]

이 논설은 처음으로 국가가 설립한 웹로그 Tomdispatch.com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것은 다른 출처의 지속적인 흐름, 뉴스와 의견을 제공한다. Tom Engelhardt로부터, 오랫동안 출판사 편집자였고, American Empire Project의 공동설립자이며, Mission naccomplished (Nation Books)의 저자이고, Tomdispatch 인터뷰의 첫번째 collection이다.

: